본문내용
목 차
서론 북아메리카
본론 미국의 식문화
1)식생활 문화의 배경
2)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성
3)대표적인 음식
4)일상식
5)식음료
6)특별식
7)행사 상차림
8)식사예절
캐나다의 식문화
1)식생활 문화의 배경
2)음식문화의 특징
3)대표적인 음식
4)식사예절
결론 느낀점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는 다양한 국적의 이민자들이 이룩한 나라이다. 다문화적 특성은 용광로니 샐러드 볼이니 하는 용어로 묘사되곤 한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개척하여 일구었기 때문에 역사가 짧아 뚜렷한 국가적 전통을 찾기는 어렵지만 자연적·경제적 규모와 위력이 세계에서 가장 크다.
유럽 식민자들이 도래하기 전까지 북아메리카 대륙은 아메리칸 인디언이라고
불리는 토착 인디오들의 영토였다. 따라서 엄밀히 말해 북아메리카의 토착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콜럼버스 이전에 북아메리카 대륙에 살고 있던
토착 인디언들에 의해 개발된 음식들이라고 볼 수 있다. 초기 유럽에서 건너온
이주자들은 옥수수의 경작법과 식용법 등을 토착 인디오들에게 배웠다. 부족을
이루며 살던 이들의 음식 문화는 그 지역에 정착하게 된 유럽인들에 의해
수용되었으며, 오늘날 북아메리카각 지역의 향토음식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 후 스페인과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고 다시 강자로 부상한 앵글로 색슨계의 영국 식문화 등이 기초를 이루어 각 민족의 식문화가 혼합되어 이제는 다민족이 더불어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특징이 혼합된 새로운 형태의 음식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1.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
1) 식생활 문화의 배경
미국은 북동부, 남동부, 서해안, 남서부 등의 5개 지역으로 나뉘는데 편의상
동부, 서부, 남부로 나뉘어진다.
-동부지역
대서양 연안의 습윤한 온대계절풍 기후가 나타나지만 내륙으로 갈수록 대륙성
기후 성격이 잘 나타나 여름은 상당히 더우나 겨울에는 영하로 내려가는 일이 많아 우리나라 보다 더 추운 편이다. 미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서
중심이 되고 있으며 이 지역은 주로 영국과 독일에서 이주해온 이민자에 의하여
개척되었기 때문에 영국과 독일의 음식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지역특산물인 블루베리, 크랜베리, 옥수수, 감자, 콩, 토마토, 돼지감자, 고추,
오크라, 호박(펌킨), 칠면조, 조개, 굴, 홍합, 바닷가재, 대구, 치즈 등을 이용한
음식이 지역의 전통 음식이다.
-서부지역
농사짓기에 적합한 토지가 드물고 비가 적어 초지와 목장이 발달했고 소와 말을
방목한다. 아이다호 주는 통재로 구워먹는 길쭉한 모양의 아이다호 감자로
유명하고 콜로라도, 덴버, 애리조나 같이 관개가 잘된 지역에서는 과실과 야채,
면화가 많이 생산된다. 캘리포니아는 겨울에 비가 많고 여름에 비가 적어
고온건조한 기후지역이어서 토마토, 샐러드용 채소, 사탕수수, 딸기도 대량
생산되고 미국에서 소비하는 과일과 채소의 50%이상을 생산하며, 특히 캘리포니아 북부의 소노마 지역은 세계 최대의 포도 생산지로서 미국에서 생산하는 포도주의 90%를 생산한다. 서북의 끝에 위치한 알라스카 지역은 연어와 각종 게가 많이
생산되어 다른 국가로 수출하기도 하며 특히 화와이에서는
세계 파인애플 40%가 생산되며, 그 밖의 열대성 과일도 풍부하다.
-남부 지역
습기가 많은 아열대 지방으로 농업은 대농장 제도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채소와 과일이 풍성하고 특히 바다를 접하고 있는 지역이 많아서 다른 지역보다
생선 · 게 · 새우 등 해산물 이용한 음식이 다양하다. 뉴올리언즈 지역의 매콤한
케이준요리가 유명하며 특히 옥수수 가루를 이용한 죽 · 빵 · 튀김(허시퍼피)을
즐겨 먹는다. 텍사스에서는 특히 쇠고기를 즐겨 먹는데 스테이크 ·
저키(육포의 일종)와 매운 맛의 소스를 발라서 굽는 바비큐요리가 유명하다.
옛 지배세력이었던 스페인, 멕시코, 프랑스 식습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2) 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성
(1) 미국인은 1인분 식사량이 매우 많다.
(다른나라 음식에 비해 1인분의 양이 크기 때문에 에너지 섭취량이 많아지고 단 것을 후식으로 많이 먹어 비만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2) 간편 조리식품을 활용한다.
(식사준비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2~10분 내에 먹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다양한 냉동 냉장, 분말 캔 등 가공식픔을 많이 사용한다.)
(3) 햄버거, 핫도그, 샌드위치 등의 패스트 푸드가 발달하였다.
(4) 아침식사와 점심식사는 간단히 하고 저녁식사는 육류, 샐러드, 여러 종류의
익힌 채소, 후식으로 구성된 비교적 균형 있는 식사를 한다.
(5) 저녁 식사에 주류를 이루는 것은 비프스테이크이며, 해물 요리도 자주
이용된다.
(6) 주로 고칼로리, 고단백질, 고지방식의 음식이 많다.
(7) 최근에는 저염, 저당, 저열량의 ‘3저 형태’로 변하고 있다.
(8) 미국 내의 모든 소수 민족 사람들이 그들 고유의 전통음식에다 새로운
음식문화가 혼합되어 식재료와 조리법까지도 독특하면서도 새로운 미국음식을 만들고 있다.
(9) 파티문화가 활성화 되어 여러 형태의 파티를 즐긴다.
(능률과 합리성이 식문화의 상징일 만큼
서론 북아메리카
본론 미국의 식문화
1)식생활 문화의 배경
2)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성
3)대표적인 음식
4)일상식
5)식음료
6)특별식
7)행사 상차림
8)식사예절
캐나다의 식문화
1)식생활 문화의 배경
2)음식문화의 특징
3)대표적인 음식
4)식사예절
결론 느낀점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는 다양한 국적의 이민자들이 이룩한 나라이다. 다문화적 특성은 용광로니 샐러드 볼이니 하는 용어로 묘사되곤 한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개척하여 일구었기 때문에 역사가 짧아 뚜렷한 국가적 전통을 찾기는 어렵지만 자연적·경제적 규모와 위력이 세계에서 가장 크다.
유럽 식민자들이 도래하기 전까지 북아메리카 대륙은 아메리칸 인디언이라고
불리는 토착 인디오들의 영토였다. 따라서 엄밀히 말해 북아메리카의 토착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콜럼버스 이전에 북아메리카 대륙에 살고 있던
토착 인디언들에 의해 개발된 음식들이라고 볼 수 있다. 초기 유럽에서 건너온
이주자들은 옥수수의 경작법과 식용법 등을 토착 인디오들에게 배웠다. 부족을
이루며 살던 이들의 음식 문화는 그 지역에 정착하게 된 유럽인들에 의해
수용되었으며, 오늘날 북아메리카각 지역의 향토음식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 후 스페인과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고 다시 강자로 부상한 앵글로 색슨계의 영국 식문화 등이 기초를 이루어 각 민족의 식문화가 혼합되어 이제는 다민족이 더불어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특징이 혼합된 새로운 형태의 음식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1.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
1) 식생활 문화의 배경
미국은 북동부, 남동부, 서해안, 남서부 등의 5개 지역으로 나뉘는데 편의상
동부, 서부, 남부로 나뉘어진다.
-동부지역
대서양 연안의 습윤한 온대계절풍 기후가 나타나지만 내륙으로 갈수록 대륙성
기후 성격이 잘 나타나 여름은 상당히 더우나 겨울에는 영하로 내려가는 일이 많아 우리나라 보다 더 추운 편이다. 미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서
중심이 되고 있으며 이 지역은 주로 영국과 독일에서 이주해온 이민자에 의하여
개척되었기 때문에 영국과 독일의 음식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지역특산물인 블루베리, 크랜베리, 옥수수, 감자, 콩, 토마토, 돼지감자, 고추,
오크라, 호박(펌킨), 칠면조, 조개, 굴, 홍합, 바닷가재, 대구, 치즈 등을 이용한
음식이 지역의 전통 음식이다.
-서부지역
농사짓기에 적합한 토지가 드물고 비가 적어 초지와 목장이 발달했고 소와 말을
방목한다. 아이다호 주는 통재로 구워먹는 길쭉한 모양의 아이다호 감자로
유명하고 콜로라도, 덴버, 애리조나 같이 관개가 잘된 지역에서는 과실과 야채,
면화가 많이 생산된다. 캘리포니아는 겨울에 비가 많고 여름에 비가 적어
고온건조한 기후지역이어서 토마토, 샐러드용 채소, 사탕수수, 딸기도 대량
생산되고 미국에서 소비하는 과일과 채소의 50%이상을 생산하며, 특히 캘리포니아 북부의 소노마 지역은 세계 최대의 포도 생산지로서 미국에서 생산하는 포도주의 90%를 생산한다. 서북의 끝에 위치한 알라스카 지역은 연어와 각종 게가 많이
생산되어 다른 국가로 수출하기도 하며 특히 화와이에서는
세계 파인애플 40%가 생산되며, 그 밖의 열대성 과일도 풍부하다.
-남부 지역
습기가 많은 아열대 지방으로 농업은 대농장 제도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채소와 과일이 풍성하고 특히 바다를 접하고 있는 지역이 많아서 다른 지역보다
생선 · 게 · 새우 등 해산물 이용한 음식이 다양하다. 뉴올리언즈 지역의 매콤한
케이준요리가 유명하며 특히 옥수수 가루를 이용한 죽 · 빵 · 튀김(허시퍼피)을
즐겨 먹는다. 텍사스에서는 특히 쇠고기를 즐겨 먹는데 스테이크 ·
저키(육포의 일종)와 매운 맛의 소스를 발라서 굽는 바비큐요리가 유명하다.
옛 지배세력이었던 스페인, 멕시코, 프랑스 식습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2) 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성
(1) 미국인은 1인분 식사량이 매우 많다.
(다른나라 음식에 비해 1인분의 양이 크기 때문에 에너지 섭취량이 많아지고 단 것을 후식으로 많이 먹어 비만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2) 간편 조리식품을 활용한다.
(식사준비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2~10분 내에 먹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다양한 냉동 냉장, 분말 캔 등 가공식픔을 많이 사용한다.)
(3) 햄버거, 핫도그, 샌드위치 등의 패스트 푸드가 발달하였다.
(4) 아침식사와 점심식사는 간단히 하고 저녁식사는 육류, 샐러드, 여러 종류의
익힌 채소, 후식으로 구성된 비교적 균형 있는 식사를 한다.
(5) 저녁 식사에 주류를 이루는 것은 비프스테이크이며, 해물 요리도 자주
이용된다.
(6) 주로 고칼로리, 고단백질, 고지방식의 음식이 많다.
(7) 최근에는 저염, 저당, 저열량의 ‘3저 형태’로 변하고 있다.
(8) 미국 내의 모든 소수 민족 사람들이 그들 고유의 전통음식에다 새로운
음식문화가 혼합되어 식재료와 조리법까지도 독특하면서도 새로운 미국음식을 만들고 있다.
(9) 파티문화가 활성화 되어 여러 형태의 파티를 즐긴다.
(능률과 합리성이 식문화의 상징일 만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