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산업정책 현황과 방향에 관한 고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산업정책 현황과 방향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2004년 주요업무 추진실적

Ⅱ. 2005년 생활산업 전망

Ⅲ. 2005년 중점 추진방향

Ⅳ. 2005년 분야별 업무계획
1. 섬유패션산업과
2. 생물화학산업과
3. 디지털전자산업과
4. 반도체전기과
<참고 1> 세부 사업별 추진일정
<참고 2> 2005년도 생활산업 수출전망

본문내용

인은,
1 월드컵, 부산아시안게임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
2 21\"/29\" 평면형 TV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③ 동남아·남미 등 신흥시장 개척 등임.
□ 2005년 수출전망
ㅇ 2005년 세계시장 규모는 4.2% 성장한 268억불 전망
- 프로젝션용 브라운관 수요가 브라운관 성장을 주도하고, TV 및 모니터용 브라운관(CDT)는 LCD로의 대체가 가속화됨에 따라 소폭 성장하거나 축소 전망
* \'03년 세계시장전망(억불,증가율): TV용 179(1.1), 모니터용 53(△7.0),프로젝션용 36(56.5)
- LCD와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브라운관 가격도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
ㅇ 2005년 브라운관 수출은 브라운관 평균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고화질 평면TV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 확대로 지난해 대비 3.4% 증가한 30억불 전망
- 모니터용 브라운관의 평균가격도 계속 하락할 것으로 예상
* 가격전망(불/개, 17\"모니터기준): (\'02.4분기) 87 → (\'03.상) 85~86 → (03.하) 82~84
- 국내업체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일본업체의 사업축소 등으로 \'02년 42%에서 45%으로 확대될 전망(해외공장 포함)
⑭LCD
(실 제) (\'02) 63.0억불, +40.0% → (\'03) 70.0억불, +11.1%
(HS기준) (\'02) 2.18억불, +11.2% → (\'03) 2.2억불, +0.9%
□ 2004년 수출실적 평가
ㅇ \'02년 LCD 수출은 지속적인 수요증가와 국내업체의 신규투자로 지난해 대비 40.0% 증가한 63억불 추정
- HS기준으로는 11.2% 증가한 2.18억불 추정
* 대부분의 LCD 수출은 현행 HS분류상 컴퓨터 부분품으로 집계
□ 2005년 수출전망
ㅇ 2005년 세계시장 규모는 브라운관 대체수요 증가로 전년대비 17.8% 증가한 277억불 전망
* \'03년 세계시장 전망(억불,증가율): 모니터용 134(22), 노트북용 87(9), TV용 12(140), 기타 44(18)
- 주요 생산국인 한·일·대만 등은 \'03년에도 신규 투자를 계획중에 있어, 국가간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 TFT-LCD 가격은 공급물량 증대와 기술혁신이 가속화됨에 따라 160불(15\" 모니터 기준) 수준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
ㅇ \'03년 수출은 국내업체의 신규투자에 따른 공급물량 증대와 17\"이상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확대로 지난해 대비 11.1% 증가한 70억불 전망
- HS기준으로는 0.9% 증가한 2.2억불 전망
⑮중전기기
(\'02) 22.84억불, △6.4% → (\'03) 26억불, +13.8%
□ 2004년 수출실적 평가
ㅇ 중전기기는 초고압 전력기기등 고부가제품 개발과 독자기술 확보로 11%이상 증가하였으나, 전선 수출이 IT산업의 불황여파로 34.6% 감소함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6.4% 감소한 22.84억불 예상
ㅇ 품목별로는 가격경쟁력이 우세한 중국을 생산거점으로 하는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이 치열한 변압기(-2.5%)를 제외한 차단기(58.5%), 전동기(17.9%) 등 대부분의 품목이 수출증가세를 유지
ㅇ 지역별로는 아시아가 56.1%로 여전히 주요 수출지역이며, 중동지역(5.1%)이 중남미(4.7%)지역을 추월하여 신흥수출 유망지역으로 부상
- 중국은 4억불로 27.8%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며 최대수출국으로 부상
□ 2005년 수출전망
ㅇ 2005년도 수출은 국내 제품의 상대적 이미지 부각에 따른 신규수요 창출과 중동지역 안정화이후 건설경기 활성화 기대 등으로 13.6% 증가한 26억불 전망
- 중국 등 동북아 지역의 전력설비 투자에 따른 고효율 기자재 수요 증가 등 지속적인 시장확대와 미국의 캘리포니아 전력 부족으로 인한 송배전 사업 투자 참여, 일본의 해외전력 기자재 아웃소싱으로 인한 신규 수요창출이 예상됨
<품목별 수출실적 및 전망>
(단위: 백만불, %)
구분
2003(실적)
2004(추정)
2005(전망)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중전기기
1,481
-8.2
1,654
11.7
1,800
8.8
-발전기
125
-5.4
130
4.0
140
7.7
-전동기
436
-10.7
514
17.9
573
11.5
-변압기
439
-19.8
428
-2.5
415
-3.0
-차단기
53
16.4
84
58.5
110
31.0
-배전 및 제어기기
91
36.9
106
16.5
126
18.9
-변환 및 안정기
176
-0.6
201
14.2
223
10.9
-원자로 및 전기로
14
-44.5
18
28.6
25
38.9
-기타 중전기기
147
11.4
173
17.7
188
8.7
전 선
964
34.3
630
-34.6
800
27.0
-광케이블
370
168.8
90
-75.7
145
61.1
-기타 전선
594
2.4
540
-9.1
655
21.3
총 계
2,445
4.8
2,284
-6.6
2,600
13.8
<지역별 수출실적 및 전망>
(단위: 백만불, %)
구분
2003(실적)
2004(추정)
점유율
2005(전망)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아시아
중전기기
828
-10.4
926
11.8
56.1
1,002
8.2
전선
422
15.1
420
-0.5
66.7
487
16.0

1,250
-3.1
1,346
7.7
58.9
1,489
10.6
중동
중전기기
68
6.8
85
25.0
5.1
99
16.5
전선
58
-14.3
55
-5.2
8.7
71
29.1

126
-4.5
140
11.1
6.1
170
21.4
유럽
중전기기
104
-21.4
138
32.7
8.3
147
6.5
전선
130
97.2
48
-63.1
7.6
83
72.9

234
18.2
186
-20.5
8.1
230
23.7
북미
중전기기
389
-3.4
401
3.1
24.2
442
10.2
전선
169
46.2
61
-63.9
9.7
98
60.7

558
7.7
462
-17.2
20.2
540
16.9
중남미
중전기기
73
-0.2
78
6.8
4.7
80
2.6
전선
154
109.0
25
-83.8
4.0
38
52.0

227
54.4
103
-54.6
4.5
118
14.6
  • 가격1,900
  • 페이지수86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