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에 관한 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충에 관한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해충이란?

해충의 구분

인간에게 유해한 해충들

본문내용

nia)
흉복부와 다리 : 흑색 비늘로 된 무늬
알 : 한쪽끝이 가시모양의 돌기를 하고 있고 난괴를 형성
호흡관 : 짧음, 끝부분이 각질화, 이가 있고 끝이 뾰족함
흡혈활동 : 주로 야간에 하며 옥외흡혈성임
한국산 모기의 분류
1) 작은빨간집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
성충은 4.5mm 정도의 비교적 소형이며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하고 뚜렷한 무늬가 없다. 알의 부화기간이 약 1일 내외며 성충의 일부는 10부터 다음해 5월까지 상당히 긴 동면을 한다. 숙주는 돼지, 소, 사람이다. 유충은 주로 논, 늪, 물고인 웅덩이에 서식하고 성충은 주로 큰 동물을 흡혈하며 흡혈활동 시간은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이나 밤8시부터 10사까지가 가장 활발하다.
체형 : 암갈색, 각복절기부에 흰띠, 주둥이 중앙에 백색띠를 보임
유충발생장소 : 논, 늪, 웅덩이
흡혈습성 : 동물기호성(소, 돼지)
인체흡혈율은 5%이내
질병 : 일본뇌염
2)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
체형 : 날개에 흑색반점이 있음
월동장소 : 숲, 볏집단, 갈대밭 등
유충발생장소 : 논,관개수로,웅덩이
흡혈습성 : 동물기호성(소, 돼지)
인체흡혈율은 1.7%
질병 : 말라리아, 사상충
3) 토고숲모기 (Aedes togoi)
체형 : 흉부에 줄무늬가 있음
유충발생장소 : 해변가의 바위고인물
흡혈습성 : 사람, 가축
질병 : 사상충
모기매개 질병
1) 말라리아
말라리아는 아직도 세계적으로 볼때 가장 중요한 질병으로 악성3일열 말라리아,양성3일열 말라리아,4일열 말라리아, 난형 말라리아 이 네 종만이 인체에 질병을 유발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양성3일열 말라리아만이 발견되고 있고, 주 매개종은 중국얼룩날개모기로 추측되어진다.
2)사상충병
선충의 기생에 의한 질병으로 인체에 전염시키는 종류는 반크로프티사상충,말레이사상충 두 종류가 있으며 이 중 말레이사상충은 동남아시아, 인도, 중국, 일본, 한국 등에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도 말레이 사상충이 있는데 야간 주기성이며 주요 매개종으로는 제주도와 해안지방에서는 토고숲모기, 내륙지방에서는 중국얼룩날개모기가 있다.
3) 황열병
4) 뎅그열 및 뎅그출혈열
뎅그열 : 에집트숲모기와 흰줄숲모기(우리나라에서도 발생)를주 매개종으로 하며 사람과 원숭이를 감염원으로 하고 있다. 주된 증상으로는 5~7일간 고열, 심한 두통, 근육통, 발진 등을보이고 치사율은 거의 없다.
뎅그출혈열 : 에집트숲모기를 매개종으로 하며 10~50%의 치사 율을 보인다.
5) 뇌염
바이러스성으로 매개종은 작은빨간집모기로 알려져 있으며 구제방법으로는 백신에 의한 면역성을 높이는것, 증폭숙주인 돼지에 백신을 주사하는 것, 매개종인 작은 빨간집모기를 구제하는 것이 있다.
모기의 구제
1) 물리적인 구제방법
- 유충의 서식장소인 웅덩이, 늪, 기타 저지대를 매몰, 배수시킴
- 하수관이나 관개수로를 시켄트 벽으로 만듬
- 빈 깡통, 헌 타이어, 화병, 빈 독, 등의 인공용기를 제거
- 방충망 설치 및 모기장 사용
- 모기의 습성을 이용한 유문등 및 트랩 사용
2) 화학적인 구제방법
(1) 유충구제
- 웅덩이, 늪, 하천 등의 발생원에 살충제,발육억제제 처리
- 발육억제제는 유충이 번데기로 혹은 번데기가 성충으로 탈피할 때 탈피호르몬의 작용이 억제되어 죽음
-발육억제제의 장점 : 환경오염 없음 포유류 및 사람에 대한 독성 없음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문제 해결
(2) 성충구제
- 공간살포
공간살포로 옥내에 침입한 모기를 구제하기 위해 에어로졸을 사용하고 옥외에서는 휴식중이거나 활동중인 모기를 구제하기 위해 가열연무기나 극미량연무기를 사용한다.
- 잔류살포
실내와 축사의 천정 및 벽면에 살포하며 살포시기는 늦은봄이나 초여름으로 연 1회 분무한다.
3) 생물학적 방법
(1) 포식동물
새, 거미, 잠자리 등은 성충을 잡아먹고, 물고기, 플라나리아, 히드라 등은 유충을 잡아먹음
(2) 기생충 및 병원체
모기에는 선충, 원충, 곰팡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 많은 종류의 생물이 기생하고 있으며, 그 중에는 모기에 치명적인 종류도 있어서 이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선충 : Reesimermis nielseni - 모기유충에 기생
- 원충 : Nosemastegomyiae,Amblyospora sp - 모기에 기생- 곰팡이류 : Coelomomyces - 유충 지방체에 기생
- 세균류 : Bacillus thringinsis islaelensis H-14 -모기유충에만 기생하는 것으로 살충력이 강하며 인축에는 독성이 없다. 모기 이외의 다른 동물에는 독성이 거의 없고, 잔효성이 없으므로 환경오염 문제도 없다.
(3) 불임웅충의 방산
구제대상의 모기를 사육식에서 대량사육하여 그 중 유충만을 불임시켜 자연계에 방산하여 자충과 교미하는 방법으로 불임웅충과 교미한 자충은 일생동안 무정란만을 산란하므로 다음 세대가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다. 숫모기를 불임시키는 방법으로는 방사선을 성충에 조사하던가 방사성화학물질을 유충에 섭취시키는 것 등이 있다.
의복 해충

좀목 좀과의 곤충. 몸길이는 8∼11㎜. 몸은 흑갈색으로 길고 납작하며, 머리에는 1쌍의 채찍모양 촉각이 있다. 몸에는 비늘이 덮여 있고, 구기(口器)는 씹는 형이며 큰 턱의 관절은 2개의 관절구로 머리와 연결되어 있다. 겹눈은 작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홑눈은 없다. 배 끝에는 1개의 중앙 꼬리털이 있고 배 끝마디에 3개의 꼬리부속기가 있다. 배는 11마디이나 끝마디가 퇴화되어 있는 것도 있다. 작은 턱수염은 5마디이며 가슴은 활모양으로 굽어 있지 않다. 옆판은 노출되고 다리의 끝마디에 침이 없으며 발목마디는 2∼5마디이다. 여러 번 변태를 하며, 성체가 된 후에 허물을 벗는 것도 있다. 대부분 인가 주변에 살면서 종이·풀 등 탄수화물류를 먹고 사는데 질병을 매개하는 일은 드물다. 개미나 흰개미집 등에 기생하는 소형종도 있다.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참고문헌
www.naver.com
http://www.roachpolice.com
http://www.danbee1.com/
http://www.pestek.com/

키워드

모기,   바퀴벌레,   ,   생쥐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5.1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21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