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분절음소 (suprasegmental phonemes)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초분절음소 (suprasegmental phonemes)

◉강세와 높낮이(stress & pitch)

◉억양(intonation)

◉길이(length)

본문내용

다.
이렇게 말소리의 이음새의 위치가 언어수행에서 의미의 차이를 야기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한국말의 실예를 한 가지 더 들어 보면, 서울서/방을 얻었다와서울/ 서방을 얻었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이음새의 현상은 모든 언어에서 나타난다. 영어도 예외가 아니다. a name과 an aim의 의미차이, night rate와 nitrate의 의미차이도 말소리의 이음새에 의해 연유된다.
a name과 an aim을 살펴보면 이음새(즉 내부휴지 +로 표기함)의 위치의 차이 때문에 /n/ 음소의 길이가 달라진다. 즉, 다음의 표기가 보이는 바와 같이 내부휴지가 /n/ 앞에 오면 /n/는 짧게 발음되고, /n/ 뒤에 오면 상대적으로 긴 /n:/로 발음된다.
Night rate와 nitrate에 있어서는 음소의 길이는 달라지지 않고, 이음새의 위치의 차이가 /t/-음소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night rate에서는 /t/가 정상적으로 약하게 파열되는 말소리로 발음되는데 반하여 nitrate에서는 /t/와 /r/이 밀접해 있기 때문에 /t/가 파찰음화(affrication)한다. 이를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nitrate에서 이렇게 /t/가/t∫/로 파찰음화한 현상은 tree와 history등의 낱말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음새의 또 한 가지 예를 ice cream과 I scream에서 볼 수 있다. 이 때에는 어떠한 음소상의 변화가 일어나는지 다음의 표시로 설명해보자.
이와 같이 말소리의 강세, 높낮이, 말소리의 이음새(내부휴지, 혹은 말소리의 길이)는 영어에서 초분절음소를 이룬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1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2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