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기업 개요
Ⅱ. 환경분석
1) 엔진 오일 시장특성
2) 경쟁사
3) 구매행태
4) 일본 시장의 SWOT 분석
5) 한국 시장의 SWOT 분석
Ⅲ. STP 전략
1) 일본 시장의 문제점과 마케팅 목표
① Segmentation
② Targeting
③ Positioning
2) ZIC의 한국시장 문제점과 마케팅 목표
① Segmentation
② Targeting
③ Positioning
Ⅳ. 4P MIX
1) 일본 시장의 4P MIX
① Prodoct
② Place
③ Price
④ Promotion
2) 한국 시장의 4P MIX
① PRODUCT
② Place
③ price
④ Promotion
Ⅴ. 마케팅 활동의 성과
① 개괄적인 성과
② 광고 성과 및 이미지
③ 소비자 평가
④ CRM적 측면
Ⅵ. 요약 / 결론
붙임) 참고자료 및 신문 기사
Ⅰ. 기업 개요
Ⅱ. 환경분석
1) 엔진 오일 시장특성
2) 경쟁사
3) 구매행태
4) 일본 시장의 SWOT 분석
5) 한국 시장의 SWOT 분석
Ⅲ. STP 전략
1) 일본 시장의 문제점과 마케팅 목표
① Segmentation
② Targeting
③ Positioning
2) ZIC의 한국시장 문제점과 마케팅 목표
① Segmentation
② Targeting
③ Positioning
Ⅳ. 4P MIX
1) 일본 시장의 4P MIX
① Prodoct
② Place
③ Price
④ Promotion
2) 한국 시장의 4P MIX
① PRODUCT
② Place
③ price
④ Promotion
Ⅴ. 마케팅 활동의 성과
① 개괄적인 성과
② 광고 성과 및 이미지
③ 소비자 평가
④ CRM적 측면
Ⅵ. 요약 / 결론
붙임) 참고자료 및 신문 기사
본문내용
적으로 유가의 폭등으로 인해 자동차 시장 자체의 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그로인해 대중교통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윤활유 자체의 소비가 줄어 들 위험이 있다.
- 기회의 위협요인으로 변화 가능성
FTA의 협상으로 활발한 자유 무역이 이루어지지만 그로 인한 극심한 경쟁으로 오히려 시장 진입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
5) 한국 시장의 SWOT 분석
① Strength
- 강력한 브랜드 파워
윤활유 지크는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윤활유 부문 3년 연속 브랜드 파워 1위인 국내 대표 윤활유 브랜드로서 2001년에는 국내 업계 최초로 매출 3000억원을 돌파했다. 이러한 지크의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켜주며 지속적인 소비로 이어진다.
- 고급형 엔진 오일
지크 XQ는 자동차 선진국인 미국석유협회(API), 유럽자동차 제조사 협회(ACEA) 및 고급 승용차의 대명사인 벤츠, BMW, 폭스바겐의 인증을 얻은 공인된 고급 엔진 오일로서 신뢰를 확고히 얻고 있다.
- 환경 친화적 윤활유
지크(ZIC)는 업계 최초로 환경부로부터 환경 마크인증을 획득했다. 지크의 경우 고온고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초고점도지수 기유인 유베이스(YUBASE)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점도 유지력과 내구성능이 뛰어나고 고온의 엔진 열에도 산화, 증발 없이 엔진을 완벽하게 보호하여 연비향상 및 폐유 발생 저감 효과가 탁월하다. 지크가 환경마크 인증을 받음에 따라 정부물품 조달 시에 우선 납품이 가능하게 되고, 해외 선진시장 진출 시에도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높은 브랜드 인지도
지크 광고는 캠페인으로 전개되어 높은 효과를 보고 있다. 사용자가 라디오 안에서 들을 수 있는 라디오광고로 소리가 좋은 엔진오일 지크 카피가 설득력이 있으며, 연예인인 송강호와 배철수를 내세워 “차 값이 얼만데”라는 슬로건으로 TV광고에서도 고객 마음속에서도 확실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 세분화된 상품
중대형 고급 승용차량 및 고급 수입차량, LPG 차량 즉 지크는 차종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한다.
② Weekness
- 지나친 시장 세분화
지나친 제품 세분화를 통해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차량에 적합한 윤활유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크 XQ는 출시 초기에는 가솔린용과 RV용 겸용으로 출시되었으나, 그 후에 RV용에 맞는 윤활유 제품이 출시됨으로 인해, 기존 고객들의 혼돈을 야기 시키고 있다.
- 지크 상품의 진위 여부 및 위조 가능성
소비자가 엔진오일 교체 시 , 일반 정비소에서 일반 오일과 지크를 반반씩 섞어서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점에서 SK사는 특수 캡을 사용함으로써 고객에게 믿을 수 있는 정품을 제공하고자 하나, 이미 고객들은 많은 신뢰감을 상실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지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 고급화 지향으로 인한 2000cc미만 고객의 상실
지크 광고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크는 고급형 차의 고급엔진오일임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2000cc이하 차량 소유주들은 자신의 차량이 2000cc이하이기 때문에 지크를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크의 사용을 꺼려한다.
- SK의 전륜 기어유의 개발 부재
SK를 제외한 타 윤활유 회사에서는 전륜 기어류를 생산하고 있으나, 아직 SK에서는 생산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지크 소비자들조차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③ opportunity
-지속적으로 TV와 라디오 매체 등을 통한 프로모션으로 소비자인지도 높음
인기 연예인의 출연과 “차 값이 얼만데”라는 광고 카피로 소비자의 의식제고와 인지도를 높이는데 성공했다. 또 제품 편익에 대한 슬로건으로 고품질의 프리미엄 제품으로 포지셔닝되어 있다는 것도 큰 기회요인이다.
-엔진오일 시장에서 뚜렷한 경쟁자가 없다.
ZIC는 현재 중형급 고급 차량 엔진오일 시장에서는 선도입장에 있는 위치이다. 시장에 가장 먼저 진입한 선도자로서 시장점유율, 학습효과 등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④threat
-좁은 시장세분화
시장 세분화를 중대형 급 고급 승용차만을 대상으로 하여 소형 급 승용차 엔진 오일시장에서 입지가 불확실하다.
또한, 소형 자동차용 엔진오일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이 있을 수 있다.
-비교적 고가인 제품
비교적 가격을 고가로 책정함으로써 내수 침체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윤활유 시장뿐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시장 구매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Ⅲ. STP 전략
1) ZIC 일본 시장의 문제점과 마케팅 목표
현 상태의 ZIC는 산업재료 등의 용도인 드럼형태로 일본시장에 진출해있다. 아직은 자동차 윤활유로의 도입기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자동차 윤활유 브랜드의 가치인식이 필요하다.
일본시장에서의 ZIC가 전혀 생소한 브랜드가 아닌 만큼, 확실한 포지셔닝을 위한 세밀한 마케팅 또한 필요하다. 산업재료 윤활유라는 이미지를 벗기 위해서는 일본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급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일본시장에서의 경쟁자로서 이미 선두로 자리매김 되어진 많은 해외윤활유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보다 차별화되고 신선한 이미지로 다가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으로써 made in Korea라는 이미지보다 제품자체의 품질로 다가가야 한다.
① segmentation
엔진오일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위해 고품질 윤활유로서의 이미지를 구축, 시장세분화단계에 있어서 일본시장 내에서의 중상층을 타겟으로 한 고급차에 맞는 「고급형 ZIC엔진오일」을 부각시킨다. 따라서 고소득과 지식층을 기준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였다.
저소득 & 저관여
상대적 고소득
고소득 & 고관여
자동차에 대한
관심, 지식정도와
경제력
관심도 별로 없고
지식도 거의 없으며
경제력도 미흡
적정 수준의 관심과 지식정도, 경제력 보유
고소득집단에
소속되려하는 심리상태
높은 수준의 관심과 지식과 경제력 보유
엔
진오일 선택과정
정비소 직원에게 전적으로 위임
브랜드에 대한 개념없음
의견 제시 후 정비소 직원과 상의하에 결정
OR
고소득집단의 구매를
- 기회의 위협요인으로 변화 가능성
FTA의 협상으로 활발한 자유 무역이 이루어지지만 그로 인한 극심한 경쟁으로 오히려 시장 진입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
5) 한국 시장의 SWOT 분석
① Strength
- 강력한 브랜드 파워
윤활유 지크는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윤활유 부문 3년 연속 브랜드 파워 1위인 국내 대표 윤활유 브랜드로서 2001년에는 국내 업계 최초로 매출 3000억원을 돌파했다. 이러한 지크의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켜주며 지속적인 소비로 이어진다.
- 고급형 엔진 오일
지크 XQ는 자동차 선진국인 미국석유협회(API), 유럽자동차 제조사 협회(ACEA) 및 고급 승용차의 대명사인 벤츠, BMW, 폭스바겐의 인증을 얻은 공인된 고급 엔진 오일로서 신뢰를 확고히 얻고 있다.
- 환경 친화적 윤활유
지크(ZIC)는 업계 최초로 환경부로부터 환경 마크인증을 획득했다. 지크의 경우 고온고압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초고점도지수 기유인 유베이스(YUBASE)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점도 유지력과 내구성능이 뛰어나고 고온의 엔진 열에도 산화, 증발 없이 엔진을 완벽하게 보호하여 연비향상 및 폐유 발생 저감 효과가 탁월하다. 지크가 환경마크 인증을 받음에 따라 정부물품 조달 시에 우선 납품이 가능하게 되고, 해외 선진시장 진출 시에도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높은 브랜드 인지도
지크 광고는 캠페인으로 전개되어 높은 효과를 보고 있다. 사용자가 라디오 안에서 들을 수 있는 라디오광고로 소리가 좋은 엔진오일 지크 카피가 설득력이 있으며, 연예인인 송강호와 배철수를 내세워 “차 값이 얼만데”라는 슬로건으로 TV광고에서도 고객 마음속에서도 확실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 세분화된 상품
중대형 고급 승용차량 및 고급 수입차량, LPG 차량 즉 지크는 차종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한다.
② Weekness
- 지나친 시장 세분화
지나친 제품 세분화를 통해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차량에 적합한 윤활유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크 XQ는 출시 초기에는 가솔린용과 RV용 겸용으로 출시되었으나, 그 후에 RV용에 맞는 윤활유 제품이 출시됨으로 인해, 기존 고객들의 혼돈을 야기 시키고 있다.
- 지크 상품의 진위 여부 및 위조 가능성
소비자가 엔진오일 교체 시 , 일반 정비소에서 일반 오일과 지크를 반반씩 섞어서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점에서 SK사는 특수 캡을 사용함으로써 고객에게 믿을 수 있는 정품을 제공하고자 하나, 이미 고객들은 많은 신뢰감을 상실하였으며, 이런 현상이 지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 고급화 지향으로 인한 2000cc미만 고객의 상실
지크 광고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크는 고급형 차의 고급엔진오일임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2000cc이하 차량 소유주들은 자신의 차량이 2000cc이하이기 때문에 지크를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크의 사용을 꺼려한다.
- SK의 전륜 기어유의 개발 부재
SK를 제외한 타 윤활유 회사에서는 전륜 기어류를 생산하고 있으나, 아직 SK에서는 생산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지크 소비자들조차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③ opportunity
-지속적으로 TV와 라디오 매체 등을 통한 프로모션으로 소비자인지도 높음
인기 연예인의 출연과 “차 값이 얼만데”라는 광고 카피로 소비자의 의식제고와 인지도를 높이는데 성공했다. 또 제품 편익에 대한 슬로건으로 고품질의 프리미엄 제품으로 포지셔닝되어 있다는 것도 큰 기회요인이다.
-엔진오일 시장에서 뚜렷한 경쟁자가 없다.
ZIC는 현재 중형급 고급 차량 엔진오일 시장에서는 선도입장에 있는 위치이다. 시장에 가장 먼저 진입한 선도자로서 시장점유율, 학습효과 등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④threat
-좁은 시장세분화
시장 세분화를 중대형 급 고급 승용차만을 대상으로 하여 소형 급 승용차 엔진 오일시장에서 입지가 불확실하다.
또한, 소형 자동차용 엔진오일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이 있을 수 있다.
-비교적 고가인 제품
비교적 가격을 고가로 책정함으로써 내수 침체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윤활유 시장뿐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시장 구매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Ⅲ. STP 전략
1) ZIC 일본 시장의 문제점과 마케팅 목표
현 상태의 ZIC는 산업재료 등의 용도인 드럼형태로 일본시장에 진출해있다. 아직은 자동차 윤활유로의 도입기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자동차 윤활유 브랜드의 가치인식이 필요하다.
일본시장에서의 ZIC가 전혀 생소한 브랜드가 아닌 만큼, 확실한 포지셔닝을 위한 세밀한 마케팅 또한 필요하다. 산업재료 윤활유라는 이미지를 벗기 위해서는 일본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급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일본시장에서의 경쟁자로서 이미 선두로 자리매김 되어진 많은 해외윤활유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보다 차별화되고 신선한 이미지로 다가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으로써 made in Korea라는 이미지보다 제품자체의 품질로 다가가야 한다.
① segmentation
엔진오일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위해 고품질 윤활유로서의 이미지를 구축, 시장세분화단계에 있어서 일본시장 내에서의 중상층을 타겟으로 한 고급차에 맞는 「고급형 ZIC엔진오일」을 부각시킨다. 따라서 고소득과 지식층을 기준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였다.
저소득 & 저관여
상대적 고소득
고소득 & 고관여
자동차에 대한
관심, 지식정도와
경제력
관심도 별로 없고
지식도 거의 없으며
경제력도 미흡
적정 수준의 관심과 지식정도, 경제력 보유
고소득집단에
소속되려하는 심리상태
높은 수준의 관심과 지식과 경제력 보유
엔
진오일 선택과정
정비소 직원에게 전적으로 위임
브랜드에 대한 개념없음
의견 제시 후 정비소 직원과 상의하에 결정
OR
고소득집단의 구매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