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제 모델 요약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의 제 모델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심리사회적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2. 기본가정 및 주요 개념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제 2절 기능주의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2. 기본가정 및 주요 개념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제 3절 문제해결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2. 기본가정 및 주요 개념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제 4절 위기개입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배경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들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제 5절 인지행동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배경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제 6절 임파워먼트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들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제 7절 인간중심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제 8절 현실치료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제 9절 사례관리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2. 기본 가정 및 주요 개념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제 10절 생활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들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색하기
③ 전행동 탐색하기 ④ 행동계획을 위한 자기평가하기
⑤ 계획하기 ⑥ 계획에 대한 약속하기
4) 주요 원칙
① 인격화 한다 ② 자신을 드러낸다
③ ‘지금-여기’에 집중한다 ④ 감정보다는 행동을 강조한다
⑤ ‘왜’라고는 잘 묻지 않는다 ⑥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도록 돕는다
⑦ 클라이언트가 앞으로의 행동에 대한 더 훌륭한 계획을 세우도록 돕는다
⑧ 변명을 거부한다 ⑨ 동정을 보내지 않는다
⑩ 책임 있는 행동을 칭찬하고 승인한다
⑪ 사람들이 그들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
⑫ 집단을 활용하도록 한다 ⑬ 포기하지 않는다
⑭ 사람에게 낙인을 찍지 않는다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학교사회사업, 교정사회복지, 정신보건 및 정신재활, 아동 및 청소년복지, 가족상담, 집단상담, 산업상담 등의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고 행동하려는 성향을 가진 클라이언트들에게 적절한 모델
제9절 사례관리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19세기 후반부터 발달시작한 미국의 사례관리는 주로 정신보건, 발달장애, 재활, 아동복지, 재가복지 및 노인복지 등의 휴먼서비스 영역들에서 서비스 조정과 책임성을 강조하는 한 과정으로
이용,Heporth와 Larsen은 사회복지사가 효과적 사관리자로서 적합함 강조하며 지역사회의 자원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 및 옹호를 위한 기술 등의 보유를 이유로 들음
2. 기본가정 및 주요 개념
1) 사례관리의 기본 원칙
① 서비스의 개별성 ② 서비스의 포괄성 ③ 규모 있는 서비스
④ 자율성의 증대 ⑤ 지속성
2) 사례관리의 기능
⑴ 클라이언트의 발견 ⑵ 사정
⑶ 서비스 계획의 수립 ⑷ 서비스의 연결 및 조정
⑸ 모니터링 ⑹ 권익옹호
3) 사례관리자의 역할
Weil과 Karls의 15가지 일반적 역할 제시
문제해결자, 옹호자, 중개자, 진단자, 계획자, 서비스 조직자, 시스템영역 확장자, 서비스모니터, 기록관리자, 평가자, 자문가, 동료 혹은 협조자, 서비스 조정자, 카운슬러 또는 치료자, 조정자나 감독자의 역할들
4) 사례관리의 모델
⑴ 일반주의 모델- 현재 활용되는 사례곤리 모델중 전통적인 케이스워크 모델과 가장 가까움
⑵ 치료자 모델- 사례관리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치료를 우선한다는 특징
⑶ 통합된 팀 모델 - 통합적인 전문팀이라는 개념에 기초해 팀 구성원 각자가 각 분야의 전문 영역 내의 서비스 활동에 대한 특별한 책임을 맡게 된다는 점이 장점
⑷가족 모델 - 가족구성원들이 전문가들보다 클라이언트에게 더 많은 사례관리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 기본적인 책을을 간과 할 수 있다는 점이 단점
⑸ 지지적 원조모델-지지적 원조 사회복지사에 대한 수퍼비전은 계속되는 정기적인 훈련과정과 사례회의 등을 통해 이루어짐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사례관리 단계의 7가지 기능
1) 사례발견 2) 사정 3) 계획 4) 계획 이행 5) 점검 6) 재사정 7) 사례 종결
제10절 생활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정신의학자 Bandler의 영향받아 Germain과 Gitterman에 의해 개발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들
Germain과 Gitterman의 생활모델은 7가지 중요 생태계적 개념들을 기본으로 형성
1) 교환 혹은 교류
2)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성
3) 생활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4) 관련성, 능력, 자긍심 및 자기방향성
5) 취약성, 억압, 힘의 남용, 사회적 및 과학기술상의 오염
6)생태적 생육지와 생태적 지위 / 활동공간 7)생애과정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1) 생활 모델 사회복지실천의 특징
①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대상의 실천 및 조직적. 정치적 옹호 등을 포함하는 전문적 기능
② 다양성에 대한 민감성, 임파워먼트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5.2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