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1) 사회복지의 개념과 분야
2) 사회사업의 개념과 기능
3) 사회사업의 원리
2.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조직
1) 지역사회복지의 의미
2) 지역사회복지의 전개과정
3)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정의와 목표
3.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유형
1) 유형의 개괄
2) 유형의 제속성
3) 지역사회실천모델
4)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의 관계
1) 사회복지의 개념과 분야
2) 사회사업의 개념과 기능
3) 사회사업의 원리
2.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조직
1) 지역사회복지의 의미
2) 지역사회복지의 전개과정
3)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정의와 목표
3.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유형
1) 유형의 개괄
2) 유형의 제속성
3) 지역사회실천모델
4)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의 관계
본문내용
휘.
소비자: 공적pg·sv의수혜자, 공공주택이용자,
여가선용pg이용자.
체제의 희생자, 체제:
ct집단에 불이익을 주는 정부,기업,조직,제도 등
⑫ ct나 구성원역할에
대한 견해
문제해결 위한 상호작용과정의 적극적 참여자.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또는 수혜자
수혜자, 참여자.
3) 지역사회실천모델
지역사회실천모델로 와일(Weil)과 겜블(Gamble)이 여덟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p.60 <표2-3> 참조
4)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의 관계
- 세라드(Sherrard)의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의 유사점.
① 지역사회욕구에 관심을 둔다.
② 문제해결에 관심을 둔다.
③ 주로 주민들과 함께 일하는 데 관심을 두어 개인, 집단, 집단 상호간의 관계를 중시한다.
④ 많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다.
⑤ 요원의 역할은 반드시 활동은 그러하지 않지만, 유사하다.
⑥ 일반적으로 양자 다 같이 기술직 또는 전문적 원조를 행한다.
⑦ 미국(다수 민주주의 국가)에서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은 유사한 철학과 가치관을 가진다.
-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의 차이점 -
지역사회개발
지역사회조직
취급하는 문제
전지역사회의 생활과 욕구 등 지역사회의 기본수요와 경제생활의 문제.
보건과 복지, 도시개발, 교육과 시민권 같은 지역사회생활의 관련분야.
범 위
전지역사회, 근린지역 등 지역주민 전체대상.
지역사회전체, 지역의 아동, 노인, 정신박약아 등.
사회변화에의 관심
사회적 변화 추구.
사회적 변화를 추구, 현상 개선에 관심.
철 학
자조와 민주주의 이념을 갖는다.
실제로는 이 이념과 다를 수 있다.
인 사
다방면의 일반전문가의 활동 필요.
사회사업의 전문형태로서 사회복지전문요원이 필요.
방법과 기술
광범위한 방법과 기술 사용.
사실발견, 분석, 계획, 회의, 조직, 협상, 해설 등.
프로그램
가능한한 주민들의 욕구반영
정부기관 혹은 관심있는 지역주민집단, 기관, 협의회 등에서 제기.
합의 · 갈등
합의를 중시하고 갈등은 무시되기 쉽다.
합의가 많이 이용되며 갈등도 민주주의의 자연적인 요소로 수용.
참여차원
직접적인 참여를 강조.
특별한 자격을 갖춘 전문직원들, 한정된 자원봉사자들이 제공
참고문헌 -----------------------------------------------------
1. 최일섭 지음,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 오정수 외 지음,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04.
소비자: 공적pg·sv의수혜자, 공공주택이용자,
여가선용pg이용자.
체제의 희생자, 체제:
ct집단에 불이익을 주는 정부,기업,조직,제도 등
⑫ ct나 구성원역할에
대한 견해
문제해결 위한 상호작용과정의 적극적 참여자.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또는 수혜자
수혜자, 참여자.
3) 지역사회실천모델
지역사회실천모델로 와일(Weil)과 겜블(Gamble)이 여덟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p.60 <표2-3> 참조
4)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의 관계
- 세라드(Sherrard)의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의 유사점.
① 지역사회욕구에 관심을 둔다.
② 문제해결에 관심을 둔다.
③ 주로 주민들과 함께 일하는 데 관심을 두어 개인, 집단, 집단 상호간의 관계를 중시한다.
④ 많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다.
⑤ 요원의 역할은 반드시 활동은 그러하지 않지만, 유사하다.
⑥ 일반적으로 양자 다 같이 기술직 또는 전문적 원조를 행한다.
⑦ 미국(다수 민주주의 국가)에서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은 유사한 철학과 가치관을 가진다.
- 지역사회개발과 지역사회조직의 차이점 -
지역사회개발
지역사회조직
취급하는 문제
전지역사회의 생활과 욕구 등 지역사회의 기본수요와 경제생활의 문제.
보건과 복지, 도시개발, 교육과 시민권 같은 지역사회생활의 관련분야.
범 위
전지역사회, 근린지역 등 지역주민 전체대상.
지역사회전체, 지역의 아동, 노인, 정신박약아 등.
사회변화에의 관심
사회적 변화 추구.
사회적 변화를 추구, 현상 개선에 관심.
철 학
자조와 민주주의 이념을 갖는다.
실제로는 이 이념과 다를 수 있다.
인 사
다방면의 일반전문가의 활동 필요.
사회사업의 전문형태로서 사회복지전문요원이 필요.
방법과 기술
광범위한 방법과 기술 사용.
사실발견, 분석, 계획, 회의, 조직, 협상, 해설 등.
프로그램
가능한한 주민들의 욕구반영
정부기관 혹은 관심있는 지역주민집단, 기관, 협의회 등에서 제기.
합의 · 갈등
합의를 중시하고 갈등은 무시되기 쉽다.
합의가 많이 이용되며 갈등도 민주주의의 자연적인 요소로 수용.
참여차원
직접적인 참여를 강조.
특별한 자격을 갖춘 전문직원들, 한정된 자원봉사자들이 제공
참고문헌 -----------------------------------------------------
1. 최일섭 지음,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 오정수 외 지음,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04.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유형'에 관한 보고서
지역사회복지 실천이론 중 갈등이론에 입각해서 우리나라 지역사회 갈등현상과 그 원인을 다...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가운데 Rothman의 지역사회조직의 실천유형에 대해 설명하고 현대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가운데 Rothman의 지역사회조직의 실천유형에 대해 설명하고 현대 한국...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공동모금회, 자원봉사센터, 사회복지협의회, 건강가정지원센터, 지역자...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에 있어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사 역할)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주민이 중심되어 지속가능한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1) 지역주민...
지역사회복지론_지역사회정의와 지역사회가 새로이 주목된 이유를 자신의 생각과 함께 서술하...
지역사회복지론-현재, 자신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문제는 무엇이며 ...
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에 관한 이론중 퇴니스의 공동사회와 이익사회에 대해 설명하고 이상...
지역사회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과정(효과적인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개입과정)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실천모델 및 실천과정, 지역사회조직 사업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