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농협의 인사 구조적 특징(임원 선출)
(2) 농협의 의사 결정 특징
(2) 농협의 의사 결정 특징
본문내용
주식 20%, C는 주식29%를 가졌다고 가정했을 때 B, C가 의견을 합쳐서 어떠한 의안을 통과 시키려고 해도 A가 반대한다면 B, C가 가지고 있는 주식을 합친 것 보다 많은 주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의 의견을 따를 수 밖에 없는 것이 일반 주식회사의 의안 결정 방법이다.
하지만 농협의 경우는 다르다. 앞의 주식회사와 같은 상황이 일어난다면 농협은 주식 51%를 차지하고 있는 A, 즉 소수의 의견보다는 합쳐서 주식 49%를 차지하고 있는 B, C, 즉 다수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 농협의 의사 결정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이다. 다시 말해 농협은 단 1%의 주식을 가진 조합원이라도 99%의 주식을 가진 조합원과 동등한 입장으로 인정해주면서 의사결정에 있어 다수의 의견을 수렴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농협의 경우는 다르다. 앞의 주식회사와 같은 상황이 일어난다면 농협은 주식 51%를 차지하고 있는 A, 즉 소수의 의견보다는 합쳐서 주식 49%를 차지하고 있는 B, C, 즉 다수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 농협의 의사 결정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이다. 다시 말해 농협은 단 1%의 주식을 가진 조합원이라도 99%의 주식을 가진 조합원과 동등한 입장으로 인정해주면서 의사결정에 있어 다수의 의견을 수렴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