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층권의 오존층 파괴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
가. 오존층 개요
(1) 오존층
(2) 오존층의 중요성
나. 오존층 파괴
(1) 오존층 파괴 현상 관측
(2) 오존층 파괴 원인
(3) 남극 상공의 오존 구멍 생성 원인
다. 오존층 파괴에 의한 기후에 미치는 영향
라. 우리나라에서 성층권 오존층 관측
마. 오존층 파괴 물질 규제를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와 관련한 국제 협의 내용
바. 오존층 파괴 물질 대체 기술
사. 오존층 회복 전망

본문내용

역시 매우 작다. CFCs에 해당하는 각각의 대체물질은 다음과 같다.
CFC-11 ---> HCFC-123
HCFC-141b
CFC-12 ---> HFC-134a
HFC-124
HCFC-142b
HCFC-22
HFC-152a
CFC-113 ---> HCFC-225ca
HCFC-225cb
(3) HCFCs가 CFCs의 대체물질로 잘 활용되고 있지만 이것 역시 염소원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ODP가 0은 아니다. 그리고 2030년 까지 HCFCs를 완전히 감축(Phase-out)하기로 국제적인 조인이 되어 있는 실정이다. 고로 HCFCs도 HFCs로 완전히 교체되어야 할 전망이다.
HFC-22 ---> HFC-32
HFC-125
(4) 한국과학기술원(KIST)의 CFC 대체기술연구센타에서 대체물질인 HFC-32를 개발하였고, HFC-134a를 냉매로 사용한 냉장고가 국내에 등장하였음
사. 오존층 회복 전망
(1) 오존층 파괴물질들이 성층권으로 이동되어 분해되기까지는 수십년이 요구되므로 오존층 회복이 시작되는 시기를 정확히 예상하기는 매우 힘들다
(2) 과학적 수치모형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염소농도는 대류권에서 1997년, 성층권에서 2005년에 최고치를 달할 것이며 그 이후부터 염소농도는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 괄목할 만한 오존층 회복은 다음 세기 후반 이후에나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선진국들에서는 CFCs감축과 발맞춰 나름대로 개발한 대체물질로 해외시장을 겨냥하여 활로를 개척하고 있다. 다행히 우리나라도 KIST를 주축으로 연구개발에 성공하여 HCFC를 포함한 일부 항목들을 생산중에 있지만 부족한 기술과 실효성 있는 공정 등에 대해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국립환경연구원(1992), 지구환경연구를 위한 기초 조사(I)
2. 환경부(1995), 지구환경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오존층 감시 기반 기술)
3. The Federal Minister of Research and Technology in Germany(1991), Global Change our
World in Transition
4.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1995), Textbook for Seminar on Promotion of
Ozone Layer Protection in Asian Countries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30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5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