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교육A+] 어휘의미론, 문장의미론 및 의미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법교육A+] 어휘의미론, 문장의미론 및 의미변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어휘의미론
1.1. 반의 관계
1.2. 중의적 표현
1.3. 상하관계
2. 문장 의미론
2.1.문장 유형들의 의미
2.2. 긍정문과 부정문의 의미
2.3. 능동문과 피동문의 의미
2.4. 주동문과 사동문의 의미
2.5. 중의문
3. 의미변화

본문내용

나영이아 혜림이를 좋아한다.
③ 부정문에 의한 중의성
* 한국인이 다 정직하지 않다.
: 한국인 전부가 정직하지 않다. / 한국인 모두가 정직한 것은 아니다. (부분 부정)
* 미애는 어제 공원에서 고향 친구를 만나지 않았다.
: 부정하고 싶은 대상의 차이. : 어제, 공원에서, 고향 친구를, 만남의 행위.
④ 화용론적(누가 누구에게 어떤 상황에서) 중의성
* 날씨가 덥다.
* 저는 밤 늦게 다니는 게 무서워요.
⑤ 관용적 중의성
* 그들은 손을 잡았다.
: 신체 / 함께 일하게 되다(한 편이 되다).
* 우리 어머니는 나보다 눈이 밝으셔.
: 신체 / 잘 알다, 예리하다.
⑥ 은유적 중의성
* 요즈음엔 주말에 더 찬바람이 부는구나. : 차가운 바람 / 시장 경기가 나쁘다.
* 이제 총을 버리고 삽을 잡자.
: 무기(총)를 버리고 농사 짓는 기구(삽)를 잡자.
/ 물리적 힘의 해결 방식을 버리고 땀 흘려 일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자.
3. 의미 변화
- 의미 변화의 원인에 따른 유형
① 언어적 원인: 하나의 단어가 다른 단어와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써 그 의미까지 변화.
* 주책 없다, 엉터리없다: ‘주책’: 일정하게 자리 잡힌 주장이나 판단력.
* 주책 없다, 엉터리없다: ‘엉터리’: 대강의 윤곽.
- 이들이 ‘없다’와 자주 인접하여 쓰이면서, 원래의 뜻과는 달리 부정적인 의미로 변화.
* 우연치 않게: 원래 ‘우연하게’가 옳으나, 오용이 거듭되면서 의미가 바뀐 예.
② 역사적 원인에 의한 의미 변화: 단어가 가리키는 지시 대상은 바뀌었음에도, 단어는 그대로 남아 필연적으로 의미 변화가 일어난 것.
*배(船)(우주선), 역(驛): 역(驛)-여행자에게 말을 태워주던 곳→철도 정거장.
③ 사회적 원인에 의한 의미 변화: 일반적인 단어가 특수 사회 집단에서 사용되거나, 특수 집단에서 사용되던 어휘가 일반 사회에서 사용됨으로써 의미 변화가 일어난 것.
* 영감, 성경: 일반적인 단어가 각각 법조계, 기독교에서 사용됨으로써
‘판검사, 신구약’을 가리키는 단어로 의미 변화.
* 안타, 공양: 야구, 불교라는 특수 집단에서 사용되던 단어가
각각 ‘히트를 치다, 적중했다’와 ‘웃어른을 모시고 음식 이바지를 하다.’의 의미로 일반화.
④ 심리적 원인에 의한 의미 변화: 비유적 용법, 완곡어 등에 자주 사용됨으로써, 단어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여 단어의 의미까지 변화한 예.
* 동무, 인민: 반사적으로 정치적인 의미가 전달되기 때문에 기피하는 현상이 있다.
★ 새겨알기
의미 변화의 유형
① 의미의 확대: 의미가 변화하여 그 적용 영역이 원래 영역보다 넓어지게 된 것.
단어가 다의성을 가지게 되는 것은 대개 의미의 확대에 해당한다.
다리: 사람짐승의 다리 → ‘책상’이나 ‘지게’의 다리 같은 무생물에까지 적용.
먹다: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작 → ‘욕을마음을겁을 먹다’ 등에까지 적용.
영감: 당상관에 해당하는 벼슬을 지낸 사람 → 남자 노인.
세수하다: 손만을 씻는 동작 → 얼굴을 씻는 행위까지 포함.
방석: 네모난 모양의 깔개 → 둥근 것까지도 포함.
핵: 열매의 씨를 보호하는 속껍데기 → 사물의 중심이 되는 알맹이, 원자의 핵으로 확대.
② 의미의 축소: 의미가 변화하되, 그 정용 영역이 원래 영역보다 좁아지게 된 것.
짐승: 이 말은 원래 ‘중생’에서 온 말로, 유정물 전체를 가리키는 불교 용어였으나 →
지금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 축소.
놈, 계집: 일반적인 남자, 여자 → 욕된 의미로 사용.
사랑하다: ‘사랑하다’, ‘생각하다’ → ‘사랑하다’의 의미만으로 축소.
③ 의미의 이동
어리다: ‘어리석다’ → ‘나이가 어리다’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6.03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