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둥이가족의 개념과 특성, 대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둥이가족의 개념과 특성,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외둥이 및 외둥이 가족의 개념
2. 외둥이 가족의 출현 배경
3. 외둥이의 일반적 특성
4. 외둥이 관련 기사
5. 외동가족의 이론적 관점
6. 외동가족의 문제
7. 외둥이 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8. 외동이 문제의 결론

본문내용

되고 교육 기회가 균등해짐에 따라 여성의 사회활동참여율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자연적으로 가사노동이나 자녀양육 등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곧 육아 부담으로 작용하여 적은 수의 자녀를 두는 가족의 형태를 취하게 되었고 급기야 저 출산현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3. 외둥이의 일반적 특성
외둥이(Only Child)라 함은 남·여 형제의 구별 없이 가정에서 단 하나만 성장하고 있는 아동을 말하며, 외동아 혹은 외둥이라고도 한다. 본고에서는 외동이라 하기로 한다. 이러한 외동이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외동이와 형제아의 특성을 서로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외동이의 단점
외동이와는 달리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 이들은 서로에게 지지자, 치료자의 역할을 하는데, 특히 조화롭지 못한 가정에서 중요한 지지를 제공한다. Azmitia와 Hersser(1993)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손위 형제는 교사와 보호자의 역할을 하고, 동생은 학습자와 추종자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보고하고 있어서 형제 유무가 개인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였다. 그래서 Gardner 등은 외동이는 모든 면에서 장애를 가지며, 외동이는 형제아가 지닌 동일한 적응능력을 갖고 인생을 살아갈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없다고 했다(김재은, 1997).
따라서 외동이는 혼자 생각하는 것처럼 자신만이 특별하거나 중요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가르쳐 줄 형제자매가 없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미숙하여 외롭고 제멋대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여긴다. 이와 같이 외동이는 형제아보다 더 자기중심적이고 덜 협동적이며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할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는 형제관계는 아동에게 결정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형제의 부재로 인한 불이익을 경험하게 된다는 견해이다(송나리, 1995).
다음의 사례는 외동이 가족 중 특히 외동아들의 실태와 문제에 관한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동아일보, 2003.6.).
외동아들 키우기 1
올해 초등학교 3학년 진수(가명·9)의친가, 외가는 모두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다. 진수가 태어나자 친조부모는 “손자가 보고 싶어서 ···” 외조무모는 “맞벌이하는 딸도 돕고 손자도 직접 키워보고 싶어서···” 진수집 근처로 이사했다. 역서ㅣ 맞벌이를 하는 진수의 고모도 육아 때문에 친정 부모 집 근처로 옮겨오면서 진수로 인한 ‘패밀리 타운’이 형성 됐다. 요즘 진수는 것 두 돌을 넘긴 사촌 동생이 영 못 마땅하다. 사촌동생이 생긴 후부터는 이전에 없었던 욕심도 생겼다. 사촌동생이 태어나기 전까지 진수는 친·외가를 통틀어 양가의 유일한 아이로 7년을 군림했다. 그러나 집에서 ‘왕 노릇’을 하는 것과 달리 학교에서는 친구들 사이에서 주도권을 잡지 못했다. 엄마의 관찰 결과 진수는 집단을 이뤄 공부하거나 어울려 놀 때 항상 ‘행위자’가 아닌 ‘관찰자’에 머물렀다.
외동아들 키우기 2
정민이(가명·7)가 18개월 되던 때 엄마B씨(34·주부)는 아이가 영재라고 믿게 됐다.
엄마의 조기교육 욕구, 할머니의 과잉보호, 육아관이 다른 엄마와 할머니의 곡부갈등에 지친 것은 정민이었다.
유치원에 들어가면서 소극적은 아이가 돼 버리더니 초등학교 진학 후에는 말수가 부쩍 줄어들어 학습에 지장을 줄 정도로 언어능력이 떨어져 버렸다. 엄마와 정민이는 요즘 언어치료를 받고 있다. “같은 치료를 받는 도래 아이들 가운데 외동아들의 수가 많아요. 어떤 엄마는 병원에까지 영어 낱말카드를 들고 와 대기실에서 가르치는 바람에 엄마도 함께 치료 명령을 받았어요.”
이와 같이 외동아들의 경우 유아교육기관에 보내기 시작하면 조숙하지만 덜 사교적이고, 욕심이 많으며, 여성적인 성향을 띠는 경우가 많고, 초등학교 저학년 외동아들의 경우 부모의 육아방식, 본인의 성격 등에 따라 지나치게 소극적이든지 지나치게 사교적인 ‘성격의 양극화 현상’을 보이는 예도 많다.
2) 외동이의 장점
외동이는 부모를 동료 의식으로 나눌 상대로 여기거나 놀이터의 친구들을 즐겁게 하는 것보다 부모를 기쁘게 하는 데 주력한다. 또 부모와 동일한 행동을 하고 동일한 가치관을 가짐으로써 그들을 만족시키려 하는 경향이 있다.
Hurlock은 외동이가 형제가 없기 때문에 사화성이나 인간적인 면의 발달이 더딜 우려는 있으나 형제간의경쟁심이나 질투에 의해 성격이 비뚤어지게 될 가능성은 적은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서희정, 1995). Tony Falbo는 외동이 집단과 형제아 집단의 개인 성격을 비교한 결과 외동이 집단에서 오히려 성취욕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6.04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7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