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치매의 정의
2. 치매를 유발하는 원인 질환들
3. 치매의 증상
4. 치매의심 증상
5. 치매가족들의 심리
6. 치매가족들의 문제점
7. 치매진단을 받은 환자와 가족의 대처요령
8. 예 방
2. 치매를 유발하는 원인 질환들
3. 치매의 증상
4. 치매의심 증상
5. 치매가족들의 심리
6. 치매가족들의 문제점
7. 치매진단을 받은 환자와 가족의 대처요령
8. 예 방
본문내용
발생할 수 있다. 말기에 이르러서는 전혀 말을 하지 않거나 한 단어나 구절을 계속 반복하는 현상이나 첫단어나 구절을 반복하는 현상 혹은 마지막 단어나 구절을 반복하는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구음장애도 동반된다.
혈관성 치매나 두부외상으로 인한 치매는 손상부위에 따라 실어증 (aphasia)의 양상이 달리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중 좌측상부 중대뇌동맥이 관장하는 전좌반구(anterior hemisphere)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언어구사가 힘들어져 전보문에 사용되는 문장처럼 간단한 문법만 구사되고 문장이 짧아지며 유창하지 못하게 된다. 어떤 사물을 보여주면서 이름을 대개 했을 때 제대로 말하지 못하거나 착어증 (paraphasia)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초기부터 구음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5) 실행증 (apraxia)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상 손상이 없으며, 상대방의 요구를 잘 이해하고, 협조할 수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행동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치매환자의 경우 담배갑에서 담배를 꺼내어 불을 붙이거나, 커피를 끓이는 것 같이 여러가지 다양한 연속된 동작을 필요로 하는 행동을 흉내내지 못하는 관념실행증 (ideational apraxia)과, 같은 행동이라도 자발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지시에 의해서는 제대로 흉내내지 못하는 관념운동성 실행증 (ideomotor apraxia)을 보인다. 실제로 빗질이나 칫솔질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행동을 흉내 내보게 했을 때 못하는 경우에는 관념운동성 실행증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언어장애로 인한 이해력 부족이나 기억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순수한 실행증을 감별하는 것은 어려우며 주로 알쯔하이머병과 같은 피질성 치매에서 흔히 동반된다.
(6) 실인증 (agnosia) 지적기능 장애, 언어장애, 혹은 감각기능 장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물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그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치매환자는 제시한 사물의 모양이나 색깔은 파악할 수 있지만 그 사물이 무엇인지 혹은 어디에 사용하는 것인지는 인지하지 못하는 시각실인증 (visual agnosia)이나, 정상적인 시각인지 기능을 유지하고 시각실인증은 없음에도 불구하고 평소 잘 아는 사람의 얼굴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눈을 감은 채 손바닥에 사물을 얹혀놓고 촉각을 이용해 사물이름을 말하게 했을 때 이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들을 보인다.
실행증과 마찬가지로 실어증이나 기억장애 혹은 시공간 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순수한 실인증을 감별하는 것이 어려우며 알쯔하이머병과 같은 피질성 치매에서 흔히 동반된다.
(7) 시공간기능 장애 (impaired visuospatial function) 시공간 기능은 시각적 주의력 (attention), 지각 (perception), 내부시상 (internal image), 시공간 기억 (visuospatial function) 및 구성능력 (constru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자가 길을 잃어버린 과거력이 있거나 거리를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 일단 시공간기능 장애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간단한 검사를 통해서도 이러한 장애를 추정할 수 있다. 즉 환자에게 그림을 보여주면서 그려보게 했을 때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시계판이나 집 혹은 사람을 그리는데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알쯔하이머병과 같은 우측 두정엽 (parietal lobe) 손상이 있는 경우에 잘 발생한다.
(8) 전두엽 수행능력 장애 (impaired frontal executive function) 어떤 행동양상을 인지하고,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전략을 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략을 필요에 따라 이용하면서 제대로 수행했는지 평가하고, 만약 잘못 수행한 경우 새로운 전략을 만들기도 하면서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모든 행동은 모든 감각기관을 통해서 유입된 감각자극이 전두엽에서 과거의 기억정보와 비교검토된 후 서로 연계와 조합을 통하여 행동전력이 짜여지고 이러한 전략정보가 운동성 피질로 보내짐으로써 발생된다. 이 과정에는 피질하 통로 및 구조물 즉 시상 (thalamus), 대뇌기저핵 (basal ganglia), 백질 (white matter) 등이 관여한다. 따라서 전두엽 수행능력 장애는 전두엽 (frontal lobe) 및 전두엽과 연계되어 있는 피질하 통로상에 있는 구조물에 병소가 발생하는 경우의 초기에 나타나며, 알쯔하이머병과 같이 측두엽 (temporal lobe)과 두정엽 (parietal lobe)에 병소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임상적으로 특수검사를 통해서 밝혀지는 경우가 많다. 2) 정신 증상
치매가 진행되면서 이차적으로 정동장애, 망상, 환각, 행동 및 인격장애 등의 증상이 흔히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자를 관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동반되므로 결국 조기 수용화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1) 정동장애 (affective disorder) 치매에는 불안, 조증, 주요 우울증, 심한 감정의 굴곡 (emotial lability) 혹은 감정실조(emotional continence), 무감동, 이자극성 등의 정동장애 증상들이 흔히 동반된다. 피질하 치매환자들은 피질성 치매환자들에 비해 활기가 없고 무관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질하 치매는 우울증을 잘 동반하며, 우울증이 기억장애 혹은 실어증과 같은 신경인지기능 장애증상보다 선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감별진단에 유의해야 한다.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의 약 50%에서 우울증이 발생하고,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에서는 38%에서 정동장애가 발생하는데 이중 우울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에서는 약 30-70%에서 우울증이 동반되며, 다발성 경색치매 (multi-infarct dem정동장애a)에서는 60%가 우울증상을 보이고 이중 약 25%는 주요 우울증 진단기준에 부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
혈관성 치매나 두부외상으로 인한 치매는 손상부위에 따라 실어증 (aphasia)의 양상이 달리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중 좌측상부 중대뇌동맥이 관장하는 전좌반구(anterior hemisphere)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언어구사가 힘들어져 전보문에 사용되는 문장처럼 간단한 문법만 구사되고 문장이 짧아지며 유창하지 못하게 된다. 어떤 사물을 보여주면서 이름을 대개 했을 때 제대로 말하지 못하거나 착어증 (paraphasia)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초기부터 구음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5) 실행증 (apraxia)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상 손상이 없으며, 상대방의 요구를 잘 이해하고, 협조할 수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행동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치매환자의 경우 담배갑에서 담배를 꺼내어 불을 붙이거나, 커피를 끓이는 것 같이 여러가지 다양한 연속된 동작을 필요로 하는 행동을 흉내내지 못하는 관념실행증 (ideational apraxia)과, 같은 행동이라도 자발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지시에 의해서는 제대로 흉내내지 못하는 관념운동성 실행증 (ideomotor apraxia)을 보인다. 실제로 빗질이나 칫솔질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행동을 흉내 내보게 했을 때 못하는 경우에는 관념운동성 실행증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언어장애로 인한 이해력 부족이나 기억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순수한 실행증을 감별하는 것은 어려우며 주로 알쯔하이머병과 같은 피질성 치매에서 흔히 동반된다.
(6) 실인증 (agnosia) 지적기능 장애, 언어장애, 혹은 감각기능 장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물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그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치매환자는 제시한 사물의 모양이나 색깔은 파악할 수 있지만 그 사물이 무엇인지 혹은 어디에 사용하는 것인지는 인지하지 못하는 시각실인증 (visual agnosia)이나, 정상적인 시각인지 기능을 유지하고 시각실인증은 없음에도 불구하고 평소 잘 아는 사람의 얼굴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눈을 감은 채 손바닥에 사물을 얹혀놓고 촉각을 이용해 사물이름을 말하게 했을 때 이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들을 보인다.
실행증과 마찬가지로 실어증이나 기억장애 혹은 시공간 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순수한 실인증을 감별하는 것이 어려우며 알쯔하이머병과 같은 피질성 치매에서 흔히 동반된다.
(7) 시공간기능 장애 (impaired visuospatial function) 시공간 기능은 시각적 주의력 (attention), 지각 (perception), 내부시상 (internal image), 시공간 기억 (visuospatial function) 및 구성능력 (constru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자가 길을 잃어버린 과거력이 있거나 거리를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 일단 시공간기능 장애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간단한 검사를 통해서도 이러한 장애를 추정할 수 있다. 즉 환자에게 그림을 보여주면서 그려보게 했을 때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시계판이나 집 혹은 사람을 그리는데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알쯔하이머병과 같은 우측 두정엽 (parietal lobe) 손상이 있는 경우에 잘 발생한다.
(8) 전두엽 수행능력 장애 (impaired frontal executive function) 어떤 행동양상을 인지하고,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전략을 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략을 필요에 따라 이용하면서 제대로 수행했는지 평가하고, 만약 잘못 수행한 경우 새로운 전략을 만들기도 하면서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모든 행동은 모든 감각기관을 통해서 유입된 감각자극이 전두엽에서 과거의 기억정보와 비교검토된 후 서로 연계와 조합을 통하여 행동전력이 짜여지고 이러한 전략정보가 운동성 피질로 보내짐으로써 발생된다. 이 과정에는 피질하 통로 및 구조물 즉 시상 (thalamus), 대뇌기저핵 (basal ganglia), 백질 (white matter) 등이 관여한다. 따라서 전두엽 수행능력 장애는 전두엽 (frontal lobe) 및 전두엽과 연계되어 있는 피질하 통로상에 있는 구조물에 병소가 발생하는 경우의 초기에 나타나며, 알쯔하이머병과 같이 측두엽 (temporal lobe)과 두정엽 (parietal lobe)에 병소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임상적으로 특수검사를 통해서 밝혀지는 경우가 많다. 2) 정신 증상
치매가 진행되면서 이차적으로 정동장애, 망상, 환각, 행동 및 인격장애 등의 증상이 흔히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자를 관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동반되므로 결국 조기 수용화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1) 정동장애 (affective disorder) 치매에는 불안, 조증, 주요 우울증, 심한 감정의 굴곡 (emotial lability) 혹은 감정실조(emotional continence), 무감동, 이자극성 등의 정동장애 증상들이 흔히 동반된다. 피질하 치매환자들은 피질성 치매환자들에 비해 활기가 없고 무관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질하 치매는 우울증을 잘 동반하며, 우울증이 기억장애 혹은 실어증과 같은 신경인지기능 장애증상보다 선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감별진단에 유의해야 한다.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의 약 50%에서 우울증이 발생하고,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에서는 38%에서 정동장애가 발생하는데 이중 우울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에서는 약 30-70%에서 우울증이 동반되며, 다발성 경색치매 (multi-infarct dem정동장애a)에서는 60%가 우울증상을 보이고 이중 약 25%는 주요 우울증 진단기준에 부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
추천자료
재가 치매노인 가족의 대처과정과 복지서비스 개선방향 : 재가노인복지
치매환자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치매노인 및 부양가족 문제해결 위한 정책개선방안 및 대안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위한 서비스 방향과 내용
[노인복지론] 치매노인 부양가족 스트레스
치매환자와 가족
전국제안기획사업 사업계획서(양식) - 치매 노인 가족의 부양부담경감 및 소진 예방 프로그램
최근 치매노인 가족의 실태와 서비스 조사결과
[노인복지론] 치매노인 부양가족 실태, 분석, 문제점
[정신건강론] 치매의 종류와 원인 그리고 증상에 대한 이해와 주변 치매환자를 보호하고 있는...
치매에 대해 설명하고 정부가 치매 예방과 치매환자 및 그 가족들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정책...
치매환자(치매노인)와 가족지원을 위한 관련체계의 역할
치매, 중풍 등 다양한 노인성 질환을 노인의 입장과 가족의 입장에서 볼 때 가정보호와 시설...
영화감상문 엄마의 공책 - 치매 가족 이야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