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연구가 가능한 중 형 또는 소형 저서생물의 채집용으로 제한된다.
- Phleger corer: 유공충 채집용으로 만들어져 간단할 뿐만 아니라 채집효율이 좋다.
- Willemoes corer: 관의 하단부에 구형의 stopper로 닫을 수 있어 모래지역에서 좋다.
- Hand corer: 조간대에서는 간단히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사용.
- 'Mouse trap'형 채집기: 코아러는 아니지만 방형구 틀이 붙은 자루로 해저의 일정 면적을 긁어모아 패충류와 착저한 직후 의 각종 저서생물의 어린 것과 중형 저서생물 등을 정량채집하는데 적당하다.
5. 국가 해양 기본도에 대해 쓰시오
국가해양기본도(Basic map of the Sea)란,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른 주권해역의 과학적 조사 자료를 확보함은 물론 해양부존자원 및 에너지개발 등 해양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의 제공과 해상교통의 안전 항로 확보, 해양환경보존 및 해양정책 수립시 필수 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해저지형도·중력이상도·지자기전자력도·천부지층분포도로 구성되어있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1996년부터 우리나라 관할 해역 375,000㎢ 에 대한 국가해양기본도조사를 년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가. 국가해양기본도 조사장비
① 심해용 다중음향 탐사기(Multi-Beam Echo Sounder)
② 천부지층탐사기(Sub-Bottom Profiler)
③ 중 력 계(Gravity Meter)
④ 지자기 관측기(Magneto Meter)
⑤ 자기 수온·염분 측정기(Expendable Bathy-Thermograph, X-BT)
⑥ 수온·염분·수심 측정기(CTD : 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Profiler)
나. 구성
① 해저지형도(Bathymetric chart) : 해저지형도는 다중 음향측심의(Muti-beam Echo Sounder)로 해저면을 소해 측량하여. 해저의 기복과 형상을 등심선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② 중력이상도(Free-air gravity anomaly chart) : 중력이상도는 해상중력계를 이용하여 지구의 중력을 측정하여 각 지점의 중력분포 형태를 등중력이상치로 표시한 도면이다.
③ 지자기전자력도(Total magnnetic intensity chart) : 지자기 전자력도는 해상자력계를 이용하여 지구의 자기성분을 관측하여 등자력선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④ 천부지층분포도(Sub-botton echo chracter chart) : 천부지층분포도는 해저표층 퇴적물의 형상 및 구조 등을 그 분포범위에 따라 표시한 도면이다.
다. 조사선박 : 해양2000호, 바다로3호
라. 조사해역
① 1996년도 동해 남부 해역 ( 48,000 km2 )
② 1997년도 울릉도부근 해역 ( 53,000 km2 )
③ 1998년도 대청군도부근 해역 ( 40,000 km2 )
④ 1999년도 흑산도 서부 해역 ( 40,000 km2 )
⑤ 2000년도 제주도 서부 해역 ( 40,000 km2 )
6. 해양관측시 보고서 작성 방법에 대해 기술하라.
- Phleger corer: 유공충 채집용으로 만들어져 간단할 뿐만 아니라 채집효율이 좋다.
- Willemoes corer: 관의 하단부에 구형의 stopper로 닫을 수 있어 모래지역에서 좋다.
- Hand corer: 조간대에서는 간단히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사용.
- 'Mouse trap'형 채집기: 코아러는 아니지만 방형구 틀이 붙은 자루로 해저의 일정 면적을 긁어모아 패충류와 착저한 직후 의 각종 저서생물의 어린 것과 중형 저서생물 등을 정량채집하는데 적당하다.
5. 국가 해양 기본도에 대해 쓰시오
국가해양기본도(Basic map of the Sea)란,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른 주권해역의 과학적 조사 자료를 확보함은 물론 해양부존자원 및 에너지개발 등 해양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의 제공과 해상교통의 안전 항로 확보, 해양환경보존 및 해양정책 수립시 필수 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해저지형도·중력이상도·지자기전자력도·천부지층분포도로 구성되어있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1996년부터 우리나라 관할 해역 375,000㎢ 에 대한 국가해양기본도조사를 년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가. 국가해양기본도 조사장비
① 심해용 다중음향 탐사기(Multi-Beam Echo Sounder)
② 천부지층탐사기(Sub-Bottom Profiler)
③ 중 력 계(Gravity Meter)
④ 지자기 관측기(Magneto Meter)
⑤ 자기 수온·염분 측정기(Expendable Bathy-Thermograph, X-BT)
⑥ 수온·염분·수심 측정기(CTD : 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Profiler)
나. 구성
① 해저지형도(Bathymetric chart) : 해저지형도는 다중 음향측심의(Muti-beam Echo Sounder)로 해저면을 소해 측량하여. 해저의 기복과 형상을 등심선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② 중력이상도(Free-air gravity anomaly chart) : 중력이상도는 해상중력계를 이용하여 지구의 중력을 측정하여 각 지점의 중력분포 형태를 등중력이상치로 표시한 도면이다.
③ 지자기전자력도(Total magnnetic intensity chart) : 지자기 전자력도는 해상자력계를 이용하여 지구의 자기성분을 관측하여 등자력선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④ 천부지층분포도(Sub-botton echo chracter chart) : 천부지층분포도는 해저표층 퇴적물의 형상 및 구조 등을 그 분포범위에 따라 표시한 도면이다.
다. 조사선박 : 해양2000호, 바다로3호
라. 조사해역
① 1996년도 동해 남부 해역 ( 48,000 km2 )
② 1997년도 울릉도부근 해역 ( 53,000 km2 )
③ 1998년도 대청군도부근 해역 ( 40,000 km2 )
④ 1999년도 흑산도 서부 해역 ( 40,000 km2 )
⑤ 2000년도 제주도 서부 해역 ( 40,000 km2 )
6. 해양관측시 보고서 작성 방법에 대해 기술하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