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심맥관계
◈ 소화기계
◈ 간, 담관, 췌장계
◈ 호흡기계
◈ 신경계 검사
◈ 비뇨기계
◈ 근골격계
◈ 소화기계
◈ 간, 담관, 췌장계
◈ 호흡기계
◈ 신경계 검사
◈ 비뇨기계
◈ 근골격계
본문내용
소량의 세포를 흡인함
*간호: 피섞인 가래, 호흡기 장애 증상 관찰
10. 객담검사
-이른아침에 깊은 기침을 하여 후두이하에서 나오는 것 받기
-가래를 뱉기 전에 입을 물로 씻어내어 무균용기에 받기
-객담을 받기 전까지 항생제 사용을 금함, 양치질 금지, 방부액으로 함수 금지
11. 맥박 산소 계측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도를 평가하는 비침습적 검사
*간호: 감지기 부착 부위 고정, 혈압 측정 커프, 압박붕대, 종맥내 장치, 체내 카테터 삽입부위 아래에는 감지기를 부착하지 말 것
12.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ABGA)
-폐의 환기 능력을 알아보는 검사
*간호: Allen test(측부순환 확인, 요골동맥 천자), 천자부위 압박(5-10분), 출혈경향 관찰, herparin으로 주사기를 한번 통과시킴(응고방지). 채취물은 코르크 마개를 한 후 채취 즉시 얼음상자 안에 넣어 검사실로 보냄
13.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폐기능 장애 발견 및 분류, 손상정도 평가, 폐질환의 결로 찾음, 치료의 반응 평가, 수술 후 폐기능의 평가
14. 일산화탄소 확산 검사 -폐의 확산 능력
-일산화탄소 혼합 공기를 12-14번 들이마시고 내쉬게 한 뒤 동맥혈 채취, PCO2 확인
15. 튜버크린 검사
-결핵검진에 이용, 피내주사 후 48-72시간 후에 딱딱한 경결 형성
-양성: 경결이 10mm이상, 의양성: 5-9mm, 음성: 4mm이상
16. 중심정맥압
-우심실 부전증 진단(중심정맥압은 우심방과 대정맥내의 압력), 정상: 15-20cmH2O
◈ 신경계 검사
1. 뇌의 컴퓨터 단층 촬영(brain CT)
-일차적 전이, 뇌종양, 동맥류, 경색증, 두 개내 출혈, 혈종, 지주막하 출혈, 급성 결막하혈종, 동맥과 정맥의 기형, 수두증, 대뇌위축 진단에 유용
* 검사전 간호: 조영제에 대한 알러지 유무, 가발과 핀 제거, 음식물 섭취 조절
2.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두 개내 비정상 상태를 확인, 세포내 화학적 변화에 대한 정보제공
*검사전 간호: 금속성 물체(보석, 시RP, 머리핀)제거, 신용카드, 인공심박동기, 동맥류 클립, 밀실공포증에 대비(귀마개, 안대 이용), 머리고정(성인은 설명, 소아는 sedation)
3. 요추천자(lumbar punture)
척추의 요추부위에 바늘을 삽입하여 척수강내에 요추부 지주막강하에서 뇌척수액을 얻음.
*진단적 목적: CSF의 압력, CSF의 검사물, CSF의 순환상태, 뇌와 척수관의 X선을 촬영하기 위해 공기, 산소, 조영제 투입
*치료적 목적: 혈액과 농의 제거, 약물과 혈청 주입, 뇌압하강, 척수마취
*천자부위: L3-L4
*검사전 간호:방광과 장 비우기, 불안제거, 측와위(척추골간의 공간을 넓힘)
*검사후 간호: 척수성 두통 감소-3시간동안 flat position
경막상처로부터 척수액의 유출방지
포도당이나 식염수 공급-상실한 뇌척수액 보충
4. 조천자(cisternal punture)
-subarchnoid에 뇌척수액이 고여있는 것: 모발을 제거하여 후두부로 insertion
5. 뇌혈관 촬영(cerebral angiography)
-경동맥, 척추동맥, 쇄골하동맥, 대동맥궁내로 조영제를 주사한 후 대뇌혈관계를 방사선 촬영함, 국소, 전시마취하에 시행
*적응증: 두 개내 동맥류, 동정맥기형, 뇌혈관의 폐쇄성 질환
*합병증: 조영제에 대한 알러지반응, 천자부위의 출혈이나 혈종형성, 경색증
*검사전 간호: 금식, 진정제 복용
*검사후 간호: 조영제 주입부위의 혈종 형성 관찰-말초부위의 맥박, 온도, 피부색깔 사정
조영제 사용 후 수분섭취 증가-조영제 배출용이
8시간동안 ABR ,모래주머니 적용
6.뇌실촬영술(ventriculogram)
-뇌실에 조영제나 공기를 직접 주입한 뒤 방사선 사진을 찍어 뇌실의 크기, 모양, 조영제가 채워지는 과정을 관찰
*간호: 이발 및 면도, 금식, 검사후 24시간동안 head elevation(10-15도)
7. 뇌파검사(electro encephalogrphy:EEG)
-전극을 두피에 꼿거나 소전극을 뇌조직에 삽입하여 대뇌피질 상층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에 기록, 간질환자에 유용-각성상태를 조장하는 system(망상활성계) 평가
*파장의 유형: 뇌종양, 피하종, 경색부위, 퇴행성 과정이나 대사성 질환에 따라 다름
delta-초기수면시 나타남, 깨어있는 성인에게는 나타나지 않아야 정상, 3초(매우 느림)
theta-측두골, 두정골 부위에서 발생, 4-7초(느림)
alpha-후두부 부위에서 발생, 8-13초(빠름), 각성상태
beta-전두부, 중심부 부위에서 발생, 15-30초(매우 빠름) 가장 많이 각성되어 있는 상태
*검사전후 간호: 검사전 머리 샴푸: 기름, 스프레이, 로션 사용 금지
검사전 24-48시간 전부터 안정제와 각성제, 항경련제의 사용금지
16개의 전극을 두피에 RHwdma:전두엽, 전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 소요시간: 30분-2시간
검사후 샴푸: 아세톤으로 전도용 연고 지우기
8. 뇌단층 촬영(brain scanning)
-방사성 동위원소(technetium-99m)를 정맥에 주사하여 뇌의 병리적 상태를 추적
뇌속에 병변이 있을 경우 동위원소가 BBB통과 가능(정상은 통과못함)
9. 양전자 방사 단층 쏨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양자방출 방사성 물질로 특수처리된 복합물(carbon)을 흡수시키거나 주사함
혈류, 조직의 구성, 뇌 대사 상태 확인
10. 척수촬영(myelography)
-척수 지주막강하에 조영제를 주입시켜 척수와 척수관내를 촬영-척수종양, disc일 때 사용
*검사전후 간호: 검사 4시간 전부터 금식
머리를 척수보다 높여줌: 조영제가 척수로 들어가는 것 예방
조영제가 척수로 들어가면 뇌막염의 원인임
11. 추간판 촬영법(discography)
-absorbable contrast medium을 추간판내로 주입해서 x-선 촬영함
추간판의 파열 의심될 때 시행
12. 유발전위검사(evoked potential studies)
-감각경로를 자극할
*간호: 피섞인 가래, 호흡기 장애 증상 관찰
10. 객담검사
-이른아침에 깊은 기침을 하여 후두이하에서 나오는 것 받기
-가래를 뱉기 전에 입을 물로 씻어내어 무균용기에 받기
-객담을 받기 전까지 항생제 사용을 금함, 양치질 금지, 방부액으로 함수 금지
11. 맥박 산소 계측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도를 평가하는 비침습적 검사
*간호: 감지기 부착 부위 고정, 혈압 측정 커프, 압박붕대, 종맥내 장치, 체내 카테터 삽입부위 아래에는 감지기를 부착하지 말 것
12.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ABGA)
-폐의 환기 능력을 알아보는 검사
*간호: Allen test(측부순환 확인, 요골동맥 천자), 천자부위 압박(5-10분), 출혈경향 관찰, herparin으로 주사기를 한번 통과시킴(응고방지). 채취물은 코르크 마개를 한 후 채취 즉시 얼음상자 안에 넣어 검사실로 보냄
13.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폐기능 장애 발견 및 분류, 손상정도 평가, 폐질환의 결로 찾음, 치료의 반응 평가, 수술 후 폐기능의 평가
14. 일산화탄소 확산 검사 -폐의 확산 능력
-일산화탄소 혼합 공기를 12-14번 들이마시고 내쉬게 한 뒤 동맥혈 채취, PCO2 확인
15. 튜버크린 검사
-결핵검진에 이용, 피내주사 후 48-72시간 후에 딱딱한 경결 형성
-양성: 경결이 10mm이상, 의양성: 5-9mm, 음성: 4mm이상
16. 중심정맥압
-우심실 부전증 진단(중심정맥압은 우심방과 대정맥내의 압력), 정상: 15-20cmH2O
◈ 신경계 검사
1. 뇌의 컴퓨터 단층 촬영(brain CT)
-일차적 전이, 뇌종양, 동맥류, 경색증, 두 개내 출혈, 혈종, 지주막하 출혈, 급성 결막하혈종, 동맥과 정맥의 기형, 수두증, 대뇌위축 진단에 유용
* 검사전 간호: 조영제에 대한 알러지 유무, 가발과 핀 제거, 음식물 섭취 조절
2.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두 개내 비정상 상태를 확인, 세포내 화학적 변화에 대한 정보제공
*검사전 간호: 금속성 물체(보석, 시RP, 머리핀)제거, 신용카드, 인공심박동기, 동맥류 클립, 밀실공포증에 대비(귀마개, 안대 이용), 머리고정(성인은 설명, 소아는 sedation)
3. 요추천자(lumbar punture)
척추의 요추부위에 바늘을 삽입하여 척수강내에 요추부 지주막강하에서 뇌척수액을 얻음.
*진단적 목적: CSF의 압력, CSF의 검사물, CSF의 순환상태, 뇌와 척수관의 X선을 촬영하기 위해 공기, 산소, 조영제 투입
*치료적 목적: 혈액과 농의 제거, 약물과 혈청 주입, 뇌압하강, 척수마취
*천자부위: L3-L4
*검사전 간호:방광과 장 비우기, 불안제거, 측와위(척추골간의 공간을 넓힘)
*검사후 간호: 척수성 두통 감소-3시간동안 flat position
경막상처로부터 척수액의 유출방지
포도당이나 식염수 공급-상실한 뇌척수액 보충
4. 조천자(cisternal punture)
-subarchnoid에 뇌척수액이 고여있는 것: 모발을 제거하여 후두부로 insertion
5. 뇌혈관 촬영(cerebral angiography)
-경동맥, 척추동맥, 쇄골하동맥, 대동맥궁내로 조영제를 주사한 후 대뇌혈관계를 방사선 촬영함, 국소, 전시마취하에 시행
*적응증: 두 개내 동맥류, 동정맥기형, 뇌혈관의 폐쇄성 질환
*합병증: 조영제에 대한 알러지반응, 천자부위의 출혈이나 혈종형성, 경색증
*검사전 간호: 금식, 진정제 복용
*검사후 간호: 조영제 주입부위의 혈종 형성 관찰-말초부위의 맥박, 온도, 피부색깔 사정
조영제 사용 후 수분섭취 증가-조영제 배출용이
8시간동안 ABR ,모래주머니 적용
6.뇌실촬영술(ventriculogram)
-뇌실에 조영제나 공기를 직접 주입한 뒤 방사선 사진을 찍어 뇌실의 크기, 모양, 조영제가 채워지는 과정을 관찰
*간호: 이발 및 면도, 금식, 검사후 24시간동안 head elevation(10-15도)
7. 뇌파검사(electro encephalogrphy:EEG)
-전극을 두피에 꼿거나 소전극을 뇌조직에 삽입하여 대뇌피질 상층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에 기록, 간질환자에 유용-각성상태를 조장하는 system(망상활성계) 평가
*파장의 유형: 뇌종양, 피하종, 경색부위, 퇴행성 과정이나 대사성 질환에 따라 다름
delta-초기수면시 나타남, 깨어있는 성인에게는 나타나지 않아야 정상, 3초(매우 느림)
theta-측두골, 두정골 부위에서 발생, 4-7초(느림)
alpha-후두부 부위에서 발생, 8-13초(빠름), 각성상태
beta-전두부, 중심부 부위에서 발생, 15-30초(매우 빠름) 가장 많이 각성되어 있는 상태
*검사전후 간호: 검사전 머리 샴푸: 기름, 스프레이, 로션 사용 금지
검사전 24-48시간 전부터 안정제와 각성제, 항경련제의 사용금지
16개의 전극을 두피에 RHwdma:전두엽, 전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 소요시간: 30분-2시간
검사후 샴푸: 아세톤으로 전도용 연고 지우기
8. 뇌단층 촬영(brain scanning)
-방사성 동위원소(technetium-99m)를 정맥에 주사하여 뇌의 병리적 상태를 추적
뇌속에 병변이 있을 경우 동위원소가 BBB통과 가능(정상은 통과못함)
9. 양전자 방사 단층 쏨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양자방출 방사성 물질로 특수처리된 복합물(carbon)을 흡수시키거나 주사함
혈류, 조직의 구성, 뇌 대사 상태 확인
10. 척수촬영(myelography)
-척수 지주막강하에 조영제를 주입시켜 척수와 척수관내를 촬영-척수종양, disc일 때 사용
*검사전후 간호: 검사 4시간 전부터 금식
머리를 척수보다 높여줌: 조영제가 척수로 들어가는 것 예방
조영제가 척수로 들어가면 뇌막염의 원인임
11. 추간판 촬영법(discography)
-absorbable contrast medium을 추간판내로 주입해서 x-선 촬영함
추간판의 파열 의심될 때 시행
12. 유발전위검사(evoked potential studies)
-감각경로를 자극할
추천자료
초음파 검사, 심전도 검사, 요추천자, 생검, 골수검사의 정의와 검사 전후 간호
방사선 치료 간호
[성인간호학] 내분비기능진단검사
[간호학]성인-진단검사
[간호학]신기능검사
[간호학]검사결과(혈액검사, 생화학검사, 전해질검사, 소변검사)
[중풍][뇌졸중][중풍(뇌졸중) 치료][중풍(뇌졸중) 재활 간호]중풍(뇌졸중)의 원인과 병태 생...
PET CT 검사 전후 간호
[간호학]진단검사
적응증 및 금기증, 검사방법, 검사 전.후 간호 등(경피적 혈관성형술)
적응증 및 금기증, 검사방법, 검사 전.후 간호 등(경피적 간담관 조영술)
입원한 환아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놀이, 입원아동의 통제감상실에 대한 아동의 발달단계별...
신경계환자 간호(신경계구조와기능,신체사정,의식수준의5단계,GCS,MMT,동공반응검사,진단검사...
심장내과의 비침습적 검사 및 검사 전후 간호 (성인간호학, 심장질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