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학대의 개념 및 유형
1. 아동학대의 개념
1) 협의적 개념
2) 광의적 개념
2. 아동학대의 유형
1) 신체학대
2) 정서 학대
3) 성학대
4) 방임
아동학대의 기전
1. 아동학대의 원인
1) 부모 요인 - 정신적 기전
2) 아동 요인
3) 가정적, 사회적 요인
2. 아동학대의 후유증
1) 신체적 학대의 후유증
2) 정서적 학대의 후유증
3) 성적 학대의 후유증
3. 아동학대 징후
1) 신체적 학대
2) 정서적 학대
3) 방임
4) 성적학대
치유방법
1. 사회적인 치료
2. 의료기관의 치료
1) 미술치료
2) 놀이치료
3) 학대부모의 유형과 치료
치유기관
치유사례 관리
1. 아동학대의 개념
1) 협의적 개념
2) 광의적 개념
2. 아동학대의 유형
1) 신체학대
2) 정서 학대
3) 성학대
4) 방임
아동학대의 기전
1. 아동학대의 원인
1) 부모 요인 - 정신적 기전
2) 아동 요인
3) 가정적, 사회적 요인
2. 아동학대의 후유증
1) 신체적 학대의 후유증
2) 정서적 학대의 후유증
3) 성적 학대의 후유증
3. 아동학대 징후
1) 신체적 학대
2) 정서적 학대
3) 방임
4) 성적학대
치유방법
1. 사회적인 치료
2. 의료기관의 치료
1) 미술치료
2) 놀이치료
3) 학대부모의 유형과 치료
치유기관
치유사례 관리
본문내용
방치하는 등의 신체적 방임
아동의 무단결석, 만성적 태만을 허용하는 등의 교육적 방임
필요한 의료적 치료를 소흘히 하는 의료적 방임
아동과의 약소에 무신경하거나 아동의 마음에 상처를 입히는 등의 정서적 방임
3. 아동학대의 사례
연도
계
신체
학대
정서
학대
성학대
방임
유기
중복
학대
2000. 10~12
464
180
30
23
205
26
-
2001
2,105
476
114
86
672
134
623
2002
2,478
254
184
65
814
212
949
2003
2,921
347
207
134
965
113
1,155
2004
3,891
364
350
177
1,367
125
1,508
2005
4,633
423
512
206
1,635
147
1,710
2006
5,202
439
604
249
2,035
76
1,799
2007
5,581
473
589
266
2,107
59
2,087
계
27,275
2,956
2,590
1,206
9,800
892
9,831
아동학대의 기전
1. 아동학대의 원인
아동학대행위자의 80%이상이 부모이고 정상적인 사람들이다. 단지 소수만이 성격장애나 정신장애를 가지고 있어 모든 부모들이 학대부모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아동학대는 빈곤 및 가정 내의 스트레스 등과 연관된 경우가 많다. 부모의 교육 정도가 낮거나 실직 상태이고 생활수준이 낮고, 부부갈등이 존재할 때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가정폭력, 부모의 정신과 질환, 부모가 약물이나 알코올중독이 있는 경우도 학대의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 아동이 조산아이거나 정신지체, 신체적 장애가 있는 경우 학대가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의 원인은 학대의 주 가해자가 되는 부모, 학대를 받는 아동, 학대가 발생하는 가정 및 사회 요인 등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다.
1) 부모 요인 - 정신적 기전
이 관점은 아동학대와 방임의 주원인을 부모의 특성에 초점을 둔다.
구체적 요인으로는 부모의 미성숙, 아동양육에 대한 지식부족, 지나친 기대, 잦은 가정의 위기, 정서적 욕구불만, 사회적 고립, 어릴 적 학대 받은 경험, 알코올중독, 약물중독, 부모의 그릇된 아동관 및 양육관, 부모의 낮은 자아존중감, 낮은 감성, 의기소침, 부모의 분노, 좌절 혹은 성적욕구와 같은 충동과 감정조절의 무능력, 원치 않는 아동, 부모의 불안, 우울증, 기타 정신질환이 있다.
2) 아동 요인
이 관점은 아동방임·학대의 주요한 원인을 아동자신의 특성에 초점을 둔다. 유전학적으로 형성된 신체적 또는 행동적 특성을 통해 자신의 학대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신체·환경적 특성
미숙아, 정신지체아동, 장기질환아동, 지체아, 기형아, 미혼모 아동, 입양아, 많은 자녀가 있는 아동, 원하지 않는 자녀, 부부관계 또는 가정여건이 좋지 않는 상태에서 태어난 자녀, 출산전후 가족여건이 나빠진 상태의 자녀, 아들을 기대했는데 태어난 여아, 심히 고집스럽게 울거나 밤에 잠을 자지 않고 보채는 아이 등
학대부모가 심리적, 신체적 부담, 좌절감 경험
양육자와의 성공적인 애착형성의 실패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 소외와 멸시, 천대로 인해 장애부모의 스트레스가 높아짐(장애아동 부 32%, 모는 49%, 일반아동 부는 4%, 모는 14%)
=>아동방임·학대
*발달 특성
학령전기 : 자신감의 결여, 적대적인 행위, 지나친 경계심, 충동성, 의기소침, 고집, 무반응, 거절, 소심, 둔감, 언어장애
청소년기 : 과도한 자기주장, 부모 및 성인에 대한 극단적인 반항적 태도, 도벽, 무단결석
=>아동방임·학대
3) 가정적, 사회적 요인
(1) 부(父)의 실직상태
아버지의 실직으로 인한 경제적 결핍, 좌절과 무력감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는 자녀에게 투사되어 폭사되어 폭력을 자극하고 방임과 학대를 초래한다. 실직은 돈의 결핍으로 좌절환경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무력감으로 인해 가정 폭력을 유발한다. 특히 방어하지 못하는 아동에게 힘을 과시하여 자신의 위치를 재확인하려 아동학대가 이루어지며, 또 단순히 실업자 부모가 집에서 시간을 보내게 되므로 아동과의 접촉 증가로 인한 결과일 수 있다.
경험 연구에 의하면 학대아동 1만 3000명 중 절반이 학대가 발생한 바로 그 해에 아버지가 실직했으며 학대하는 아버지 가운데 거의 50%가 학대행위 1년 전부터 실직하였고, 12%는 학대 행위 당시 무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스톤(Galdston)도 학대행위를 하는 아버지는 실직했거나 파트타임으로 일하고, 부인이 직장에 나간 동안 자녀를 돌봤다고 보고했다. 특권, 금전, 권력이 거의 없는 가족은 보다 큰 좌절감과 비참한 상황을 겪게 되고 그에 비례하여 보다 많은 폭력을 초래한다.
(2) 사회적 소외
사회적 소외는 이웃의 영향으로 아동방임, 학대가정이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체계로부터 소외되어 있다. 켐프(Kempe)는 학대가정은 생명선이 결여되었고, 특히 스트레스가 높은 시기에 도치방법도 도움을 구할 친구도, 친척도 없고, 지지체계 부재는 그 가족 자체의 잘못으로 우정을 맺고 유지하는 능력이 결여된다고 했다.
(3) 체벌의 용납
사회적 분위기가 체벌 및 물리적 힘을 사용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허용한다. 바이아노(Viano)에 의하면 교육자, 경찰, 목사, 세 명 중 둘은 신체적 훈육을 용서하고 10% 이상이 행동조절을 위해 혁대, 채찍, 빗 등을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하며, 최근의 대법원에서 학교는 불복종 아동에게 체벌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경우도 비슷하다. 초등학교의 교사 및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들의 97%가 아동들의 잘못을 교정하기 위해 처벌에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촉력을 쓰는 부모들이 반복해서 고의적으로 자녀들을 구타하거나 교육적인 벌이나 부모의 사랑이라는 미명하에 부모들 자신들의 분노 발산을 위하여 자녀들을 구타한다. 사실 유치원 교사들의 58%가 매맞는 아동들에 대하여 지나쳐 버리거나 문제시하지 않으며, 그리하여 어떤 유치원 교사도 매맞는 아동을 목격하고도 아동학대 신고
아동의 무단결석, 만성적 태만을 허용하는 등의 교육적 방임
필요한 의료적 치료를 소흘히 하는 의료적 방임
아동과의 약소에 무신경하거나 아동의 마음에 상처를 입히는 등의 정서적 방임
3. 아동학대의 사례
연도
계
신체
학대
정서
학대
성학대
방임
유기
중복
학대
2000. 10~12
464
180
30
23
205
26
-
2001
2,105
476
114
86
672
134
623
2002
2,478
254
184
65
814
212
949
2003
2,921
347
207
134
965
113
1,155
2004
3,891
364
350
177
1,367
125
1,508
2005
4,633
423
512
206
1,635
147
1,710
2006
5,202
439
604
249
2,035
76
1,799
2007
5,581
473
589
266
2,107
59
2,087
계
27,275
2,956
2,590
1,206
9,800
892
9,831
아동학대의 기전
1. 아동학대의 원인
아동학대행위자의 80%이상이 부모이고 정상적인 사람들이다. 단지 소수만이 성격장애나 정신장애를 가지고 있어 모든 부모들이 학대부모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아동학대는 빈곤 및 가정 내의 스트레스 등과 연관된 경우가 많다. 부모의 교육 정도가 낮거나 실직 상태이고 생활수준이 낮고, 부부갈등이 존재할 때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가정폭력, 부모의 정신과 질환, 부모가 약물이나 알코올중독이 있는 경우도 학대의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 아동이 조산아이거나 정신지체, 신체적 장애가 있는 경우 학대가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의 원인은 학대의 주 가해자가 되는 부모, 학대를 받는 아동, 학대가 발생하는 가정 및 사회 요인 등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다.
1) 부모 요인 - 정신적 기전
이 관점은 아동학대와 방임의 주원인을 부모의 특성에 초점을 둔다.
구체적 요인으로는 부모의 미성숙, 아동양육에 대한 지식부족, 지나친 기대, 잦은 가정의 위기, 정서적 욕구불만, 사회적 고립, 어릴 적 학대 받은 경험, 알코올중독, 약물중독, 부모의 그릇된 아동관 및 양육관, 부모의 낮은 자아존중감, 낮은 감성, 의기소침, 부모의 분노, 좌절 혹은 성적욕구와 같은 충동과 감정조절의 무능력, 원치 않는 아동, 부모의 불안, 우울증, 기타 정신질환이 있다.
2) 아동 요인
이 관점은 아동방임·학대의 주요한 원인을 아동자신의 특성에 초점을 둔다. 유전학적으로 형성된 신체적 또는 행동적 특성을 통해 자신의 학대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신체·환경적 특성
미숙아, 정신지체아동, 장기질환아동, 지체아, 기형아, 미혼모 아동, 입양아, 많은 자녀가 있는 아동, 원하지 않는 자녀, 부부관계 또는 가정여건이 좋지 않는 상태에서 태어난 자녀, 출산전후 가족여건이 나빠진 상태의 자녀, 아들을 기대했는데 태어난 여아, 심히 고집스럽게 울거나 밤에 잠을 자지 않고 보채는 아이 등
학대부모가 심리적, 신체적 부담, 좌절감 경험
양육자와의 성공적인 애착형성의 실패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 소외와 멸시, 천대로 인해 장애부모의 스트레스가 높아짐(장애아동 부 32%, 모는 49%, 일반아동 부는 4%, 모는 14%)
=>아동방임·학대
*발달 특성
학령전기 : 자신감의 결여, 적대적인 행위, 지나친 경계심, 충동성, 의기소침, 고집, 무반응, 거절, 소심, 둔감, 언어장애
청소년기 : 과도한 자기주장, 부모 및 성인에 대한 극단적인 반항적 태도, 도벽, 무단결석
=>아동방임·학대
3) 가정적, 사회적 요인
(1) 부(父)의 실직상태
아버지의 실직으로 인한 경제적 결핍, 좌절과 무력감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는 자녀에게 투사되어 폭사되어 폭력을 자극하고 방임과 학대를 초래한다. 실직은 돈의 결핍으로 좌절환경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무력감으로 인해 가정 폭력을 유발한다. 특히 방어하지 못하는 아동에게 힘을 과시하여 자신의 위치를 재확인하려 아동학대가 이루어지며, 또 단순히 실업자 부모가 집에서 시간을 보내게 되므로 아동과의 접촉 증가로 인한 결과일 수 있다.
경험 연구에 의하면 학대아동 1만 3000명 중 절반이 학대가 발생한 바로 그 해에 아버지가 실직했으며 학대하는 아버지 가운데 거의 50%가 학대행위 1년 전부터 실직하였고, 12%는 학대 행위 당시 무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스톤(Galdston)도 학대행위를 하는 아버지는 실직했거나 파트타임으로 일하고, 부인이 직장에 나간 동안 자녀를 돌봤다고 보고했다. 특권, 금전, 권력이 거의 없는 가족은 보다 큰 좌절감과 비참한 상황을 겪게 되고 그에 비례하여 보다 많은 폭력을 초래한다.
(2) 사회적 소외
사회적 소외는 이웃의 영향으로 아동방임, 학대가정이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체계로부터 소외되어 있다. 켐프(Kempe)는 학대가정은 생명선이 결여되었고, 특히 스트레스가 높은 시기에 도치방법도 도움을 구할 친구도, 친척도 없고, 지지체계 부재는 그 가족 자체의 잘못으로 우정을 맺고 유지하는 능력이 결여된다고 했다.
(3) 체벌의 용납
사회적 분위기가 체벌 및 물리적 힘을 사용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허용한다. 바이아노(Viano)에 의하면 교육자, 경찰, 목사, 세 명 중 둘은 신체적 훈육을 용서하고 10% 이상이 행동조절을 위해 혁대, 채찍, 빗 등을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하며, 최근의 대법원에서 학교는 불복종 아동에게 체벌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경우도 비슷하다. 초등학교의 교사 및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들의 97%가 아동들의 잘못을 교정하기 위해 처벌에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촉력을 쓰는 부모들이 반복해서 고의적으로 자녀들을 구타하거나 교육적인 벌이나 부모의 사랑이라는 미명하에 부모들 자신들의 분노 발산을 위하여 자녀들을 구타한다. 사실 유치원 교사들의 58%가 매맞는 아동들에 대하여 지나쳐 버리거나 문제시하지 않으며, 그리하여 어떤 유치원 교사도 매맞는 아동을 목격하고도 아동학대 신고
추천자료
(아동복지)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선방안 - 2007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 아...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정의와 실태, 현황 문제점 및 아동학대 예방 방안 (2007년 추천 우수 ...
아동학대의 개념, 원인, 실태, 현황, 문제점 및 학대 아동에 대한 복지방안과 아동보호서비스...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처방안과 예방 - 아동학대 개념, 현황, 대처방안 등
[아동학대]아동학대에 대한 아동복지법의 향후과제A+
매스컴을 통한 아동학대의 실태사례를 예로 들어 본인이 생각하는 아동학대 예방대책과 아동...
아동복지실천 대상별 중(학대아동, 보육아동, 장애아동, 한부모가정아동, 입양아동) 한 분야...
(아동학대의 원인) 아동학대의 원인을 설명하고, 대처방안과 예방에 관하여 아동복지와 교육...
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설명하고 요즘 우리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아동학대의 사례...
[아동복지4공통] 아동학대의 원인을 제시 &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원인을 제시하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
(아동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 아동, 보육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아동학대 ...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본인 견해를 서술하시오 - 아동학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