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노년기 정신장애의 빈도, 원인, 기질적 인지장애와 간호중재(치매, 섬망)
본문내용
증상이 인지기능 이외의 정신적 기능과 관련이 있지는 않은가?
④ 치매의 가족력이 있는가?
⑤ 정신질환의 과거력이나 심한 환경적 스트레스가 있는가?
⑥ 환자는 과거에 비슷한 증상을 가진 적이 있는가?
⑦ 증상이 지속적인가 또는 간헐적인가?
⑧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있는가?
⑨ 알코올이나 약물남용의 병력이 있는가?
2) 기본적 신체 검사
3) 신경인지검사 (기억 지능검사, 집중력 검사)
- 일반적 능력
- 언어능력 (언어, 추상적 이유, 기억, 학습, 통합기능에 대한 기능)
- 지각력, 운동기능, 정서적 기능
4) 검사실 검사 - routine study, 뇌영상검사(Brain C.T, MRI, SPECT, PET), EEG,
뇌척수액검사(CSR Study)
5) 사회환경평가
① 가족들이 환자의 증상과 치매의 진행을 어느 정도 잘 이해하고 있는가?
② 가족이 치매환자의 증상을 악화 혹은 호전시키는가?
③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6) 사후신경조직병리검사 : 확진
진단 (DMS-IV)
#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진단 기준
A. 복합적인 인지 결손이 다음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1) 기억 장애 (새로운 정보에 대한 학습장애 또는 병전에 학습한 정보의 회상능력 장애)
2) 다음의 인지 장해 가운데 2개(또는 그 이상)
① 실어증(언어 장해)
② 실행증(운동 기능은 정상이지만, 운동 활동의 수행에 장해)
③ 실인증(감각 기능은 정상이지만, 물체를 인지하거나 감별하지 못함)
④ 실행 기능의 장해(즉, 계획, 조정, 유지, 추상적 사고 능력)
B. 진단 기준 A1과 A2의 인지 장해가 사회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있어서 심각한 장해를 일으켜야 하고, 병전의 기능 수준보다 상당히 감퇴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C. 경과는 서서히 발병하고 지속적인 인지 감퇴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D. 진단 기준 A1과 A2의 인지 장해가 다음 가운데 어떤 경우로 인한 것도 아니어야 한다.
(1) 점진적인 기억과 인지 장해를 일으키는 다른 중추신경계 상태
(예 : 뇌혈관 질환, 파킨슨 병, 헌팅턴 병, 경막하혈종, 정상압 수두증, 뇌종양)
(2) 치매를 일으키는 전신적 상태
(예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타민, 또는 엽산결핍, 나이아신 결핍, 과칼슘혈증,
신경매독, AIDS)
(3) 물질사용으로 유발된 상태
E. 섬망의 경과 동안에만 인지기능의 장애가 나타나는 것이 아님.
F. 이러한 장애가 다른 제 1축 장애(주요 우울장애, 정신분열병)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혈관성 치매의 진단 기준
A. 복합적인 인지 결손이 다음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1)기억 장해(새로운 정보에 대한 학습장해 또는 병전에 학습한 정보의 회상능력의 장해)
(2)다음의 인지 장해 가운데 1개(또는 그 이상)
① 실어증
② 실행증
③ 실인증
④ 실행 기능의 장해
B. 진단 지준 A1과 A2의 인지 장해가 사회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있어서 심각한 장해를 일으켜야 하고, 병전의 기능 수준보다 상당히 감퇴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C. 국소적 신경학적 징후와 증상(심부건반사의 항진, 신전 족부반사, 가성구 마비, 보행 장 해, 사지의 무력) 또는 장해와 원인적인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뇌혈관 질환(피질과 내재된 회백질의 복합형 검색)에 대한 검사의 증거가 있다.
D. 장해가 섬망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지 않는다.
평가 도구
* MMSE(mini-mental status exam:간이 정신상태 검사)
* ADAS-Cog(AD Assessment Scale-Cognitive Subscale:알츠아이머병 인지 능력 평가 척도)
* 시계 그리기 검사
* 섬망 척도
* IADL 척도(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도구적 일상생활 활동 수행 척도)
* FAST척도(Functional Assessment Staging Test Scale;기능성 평가 분류 검사 척도)
*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
* 치매 행동 증후군 척도
* NPI-Q(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신경정신행동검사 설문)
* AWS(Algase Wandering Scale;Algase 배회 척도)
* 의료인 치매 검사 (Caegiver Dementia Screener)
* 의료인 긴장 지표 (Caregiver Strain Index)
* 의료인 부담 척도 (Caregiver\'s Burden Scale;CBS)
< 가정에서 알아보는 치매환자 점검표 >
; 20개 항목이상이 해당되면 치매전문의에게 진단받아야 된다.
* 기억력
1. 전화번호나 사람이름을 기억하기 힘들다.( )
2. 어떤 일이 언제 일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할 때가 있다.( )
3. 며칠전에 들었던 이야기를 잊는다.( )
4. 오래전에 들었던 이야기를 잊는다.( )
5. 일상생활에 변화가 생겼을 때 금방 적응하기 힘들다.( )
6. 중요한 사항을 잊을 때가 있다-배우자 생일, 결혼기념일 등.( )
7. 다른 사람에게 같은 이야기를 반복할 때가 있다.( )
8. 어떤 일을 해놓고도 잊어버려서 다시 반복한 적이 있다.( )
9. 약먹는 시간을 놓치기도 한다.( )
10. 여러가지 물건을 사러 갔다가 한두가지를 빠뜨리기도 한다.( )
11. 가스불을 끄는 것을 잊거나 음식을 태운 일이 있다.( )
12. 남에게 같은 질문을 반복한다.( )
13. 어떤 일을 해놓고도 했는지 안했는지 다시 확인해야 한다.( )
14. 물건을 놓고 다니거나 또는 가지고갈 물건을 놓고 간다.( )
* 언어력
1. 하고 싶은 말이나 표현이 금방 떠오르지 않는다.( )
2. 물건 이름이 금방 생각나지 않는다.( )
3. 개인적인 편지나 사무적인 편지를 쓰기 힘들다.( )
4. 갈수록 말수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
5. 신문이나 잡지를 읽을 때 이야기 줄거리를 파악하지 못한다.( )
6. 책을 읽을 때 같은 문장을 여러번 읽어야 이해가 된다.( )
7. TV에 나오는 이야기를 따라가기가 힘들다.( )
* 시.공간 능력
1. 자주 보는 친구나 친척을 바로 알아보지 못한다.( )
2.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몰라서
④ 치매의 가족력이 있는가?
⑤ 정신질환의 과거력이나 심한 환경적 스트레스가 있는가?
⑥ 환자는 과거에 비슷한 증상을 가진 적이 있는가?
⑦ 증상이 지속적인가 또는 간헐적인가?
⑧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있는가?
⑨ 알코올이나 약물남용의 병력이 있는가?
2) 기본적 신체 검사
3) 신경인지검사 (기억 지능검사, 집중력 검사)
- 일반적 능력
- 언어능력 (언어, 추상적 이유, 기억, 학습, 통합기능에 대한 기능)
- 지각력, 운동기능, 정서적 기능
4) 검사실 검사 - routine study, 뇌영상검사(Brain C.T, MRI, SPECT, PET), EEG,
뇌척수액검사(CSR Study)
5) 사회환경평가
① 가족들이 환자의 증상과 치매의 진행을 어느 정도 잘 이해하고 있는가?
② 가족이 치매환자의 증상을 악화 혹은 호전시키는가?
③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6) 사후신경조직병리검사 : 확진
진단 (DMS-IV)
#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진단 기준
A. 복합적인 인지 결손이 다음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1) 기억 장애 (새로운 정보에 대한 학습장애 또는 병전에 학습한 정보의 회상능력 장애)
2) 다음의 인지 장해 가운데 2개(또는 그 이상)
① 실어증(언어 장해)
② 실행증(운동 기능은 정상이지만, 운동 활동의 수행에 장해)
③ 실인증(감각 기능은 정상이지만, 물체를 인지하거나 감별하지 못함)
④ 실행 기능의 장해(즉, 계획, 조정, 유지, 추상적 사고 능력)
B. 진단 기준 A1과 A2의 인지 장해가 사회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있어서 심각한 장해를 일으켜야 하고, 병전의 기능 수준보다 상당히 감퇴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C. 경과는 서서히 발병하고 지속적인 인지 감퇴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D. 진단 기준 A1과 A2의 인지 장해가 다음 가운데 어떤 경우로 인한 것도 아니어야 한다.
(1) 점진적인 기억과 인지 장해를 일으키는 다른 중추신경계 상태
(예 : 뇌혈관 질환, 파킨슨 병, 헌팅턴 병, 경막하혈종, 정상압 수두증, 뇌종양)
(2) 치매를 일으키는 전신적 상태
(예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타민, 또는 엽산결핍, 나이아신 결핍, 과칼슘혈증,
신경매독, AIDS)
(3) 물질사용으로 유발된 상태
E. 섬망의 경과 동안에만 인지기능의 장애가 나타나는 것이 아님.
F. 이러한 장애가 다른 제 1축 장애(주요 우울장애, 정신분열병)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혈관성 치매의 진단 기준
A. 복합적인 인지 결손이 다음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1)기억 장해(새로운 정보에 대한 학습장해 또는 병전에 학습한 정보의 회상능력의 장해)
(2)다음의 인지 장해 가운데 1개(또는 그 이상)
① 실어증
② 실행증
③ 실인증
④ 실행 기능의 장해
B. 진단 지준 A1과 A2의 인지 장해가 사회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있어서 심각한 장해를 일으켜야 하고, 병전의 기능 수준보다 상당히 감퇴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C. 국소적 신경학적 징후와 증상(심부건반사의 항진, 신전 족부반사, 가성구 마비, 보행 장 해, 사지의 무력) 또는 장해와 원인적인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뇌혈관 질환(피질과 내재된 회백질의 복합형 검색)에 대한 검사의 증거가 있다.
D. 장해가 섬망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지 않는다.
평가 도구
* MMSE(mini-mental status exam:간이 정신상태 검사)
* ADAS-Cog(AD Assessment Scale-Cognitive Subscale:알츠아이머병 인지 능력 평가 척도)
* 시계 그리기 검사
* 섬망 척도
* IADL 척도(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도구적 일상생활 활동 수행 척도)
* FAST척도(Functional Assessment Staging Test Scale;기능성 평가 분류 검사 척도)
*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
* 치매 행동 증후군 척도
* NPI-Q(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신경정신행동검사 설문)
* AWS(Algase Wandering Scale;Algase 배회 척도)
* 의료인 치매 검사 (Caegiver Dementia Screener)
* 의료인 긴장 지표 (Caregiver Strain Index)
* 의료인 부담 척도 (Caregiver\'s Burden Scale;CBS)
< 가정에서 알아보는 치매환자 점검표 >
; 20개 항목이상이 해당되면 치매전문의에게 진단받아야 된다.
* 기억력
1. 전화번호나 사람이름을 기억하기 힘들다.( )
2. 어떤 일이 언제 일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할 때가 있다.( )
3. 며칠전에 들었던 이야기를 잊는다.( )
4. 오래전에 들었던 이야기를 잊는다.( )
5. 일상생활에 변화가 생겼을 때 금방 적응하기 힘들다.( )
6. 중요한 사항을 잊을 때가 있다-배우자 생일, 결혼기념일 등.( )
7. 다른 사람에게 같은 이야기를 반복할 때가 있다.( )
8. 어떤 일을 해놓고도 잊어버려서 다시 반복한 적이 있다.( )
9. 약먹는 시간을 놓치기도 한다.( )
10. 여러가지 물건을 사러 갔다가 한두가지를 빠뜨리기도 한다.( )
11. 가스불을 끄는 것을 잊거나 음식을 태운 일이 있다.( )
12. 남에게 같은 질문을 반복한다.( )
13. 어떤 일을 해놓고도 했는지 안했는지 다시 확인해야 한다.( )
14. 물건을 놓고 다니거나 또는 가지고갈 물건을 놓고 간다.( )
* 언어력
1. 하고 싶은 말이나 표현이 금방 떠오르지 않는다.( )
2. 물건 이름이 금방 생각나지 않는다.( )
3. 개인적인 편지나 사무적인 편지를 쓰기 힘들다.( )
4. 갈수록 말수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
5. 신문이나 잡지를 읽을 때 이야기 줄거리를 파악하지 못한다.( )
6. 책을 읽을 때 같은 문장을 여러번 읽어야 이해가 된다.( )
7. TV에 나오는 이야기를 따라가기가 힘들다.( )
* 시.공간 능력
1. 자주 보는 친구나 친척을 바로 알아보지 못한다.( )
2.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몰라서
추천자료
우리나라 정신장애인 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만성 정신장애인 사례관리를 위한 자원연계방안
[정신장애의 사회적 낙인과 편견해소를 위해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노력(A4 3장)]
(프로그램개발과평가)정신지체장애인의 성교육 프로그램, 소중한 우리들의 성
(프로그램개발과평가)정신지체장애인의 성교육 프로그램, 소중한 우리들의 성 파워포인트 PPT
(의료사회사업론) 정신장애인과 가족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역할 파워포인트 PPT
(의료사회사업론) 정신장애인과 가족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역할 보고서
(의료사회사업론) 정신장애인과 가족을 위한 사회사업가의 역할 파워포인트 PPT
(의료사회사업론) 정신장애인과 가족을 위한 사회사업가의 역할
유아 청소년기 흔한 정신장애
서양에서의 정신장애 관점을 근대와 현대로 비교하고 그 내용변화를 기술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와 심리치료 및 개입방법
각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정신장애 중에서 관심있는 부분을 선택하고 그와 관련된 최근 뉴스...
관심 있는 정신장애에 관한 원인 증상 진단적 근거, 치료방법 및 사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