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품새란?
Ⅱ. 품새의 구성
Ⅲ. 품새의 종류
1. (1) 유급자 품새
2. (2) 유단자 품새
Ⅳ. 기술의 종류
3. (1) 품새에서 나오는 서기
4. (2) 품새에서 나오는 막기
5. (3) 품새에서 나오는 지르기
6. (4) 품새에서 나오는 차기
7. (5) 품새에서 나오는 치기
8. (6) 품새에서 나오는 찌르기
Ⅴ. 참고문헌
Ⅱ. 품새의 구성
Ⅲ. 품새의 종류
1. (1) 유급자 품새
2. (2) 유단자 품새
Ⅳ. 기술의 종류
3. (1) 품새에서 나오는 서기
4. (2) 품새에서 나오는 막기
5. (3) 품새에서 나오는 지르기
6. (4) 품새에서 나오는 차기
7. (5) 품새에서 나오는 치기
8. (6) 품새에서 나오는 찌르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혀 지른다. 지를 때 등주먹이 아래를 향하고 팔굽은 120 이내로 구부린다.
(요령) 주먹등이 위로 향한 상태로 팔목부분이 허리(장골능) 위에 위치한 다음 주먹을 젖혀 지른다. 보통의 주먹지르기와 주먹의 회전 방향이 반대(회외)이다.
4) 몸통지르기
1. 몸통의 대표적인 목표, 명치를 지를 때 사용하고 명치와 일직선상에 주먹을 위치시킨다.
(요령)
- 어깨를 자연스럽게 펴고 지르는 주먹의 팔목이 허리(장골능 위쪽)에 위치하며 팔굽을 자연스럽게 몸 쪽으로 붙인다.
- 겨드랑이가 벌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허리의 반동을 최대한 이용해 반대편 주먹을 빠르게 당기며, 동시에 직선으로 양 어깨의 정 가운데 명치 높이로 지른다.
- 당기는 주먹은 명치와 일직선상에서 빠르게 당긴다.
5) 얼굴지르기 바로지르기
1. 얼굴의 대표적인 목표, 인중을 지를 때 사용하고 인중과 일직선상에 주먹을 위치시킨다.
(요령) 지르는 요령은 몸통지르기와 동일하다.
6) 옆지르기
1. 몸 옆으로 지른다.
2. 옆지르기는 주춤서기와 같이 두 발끝이 정면을 향할 때 행한다.
3. 주춤서기에서 주먹을 옆으로 지른다.
(요령) 몸통에 가로 질러 잇던 반대편 주먹을 당기며, 동시에 지르고자 하는 주먹을 옆으로 지른다.
(4) 품새에서 나오는 차기
차기 - 발을 끌어올려 발의 사용부위로 상대의 목표를 가격하여 제압시키는 것을 차기라 한다.
가. 개별 품새에서 특별한 규정이 없을 때에 모든 차기 기술의 목표는 얼굴로 한다.
나. 앞차기는 앞축, 돌려차기는 앞축 또는 발등으로 한다.
1) 앞차기
1. 차는 다리의 무릎을 접어 끌어올려 가슴에 가까이 올 때 접었던 무릎을 펴면서 앞으로 내뻗는다. 발의 이동 궤도는 목표를 향하여 일직선이다.
2. 발가락을 젖힌 앞 축으로 목표를 맞춘다.
3. 찬 발은 반작용으로 무릎을 접어 끌면서 먼저 자리를 놓는다.
4. 딛고 있는 다리는 차기 전이나 찬 후 무릎을 펴면 중심이 위로 떠서 힘이 약하며 넘어지기 쉽다. 또는 후속조치를 취하기가 불리하다.
5. 뒤축은 바닥에서 떨어지게 하고 앞축을 축으로 발바닥이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가 차고 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한다.
2) 돌려차기
1. 앞의 축이 되는 발에 체중이 실리면서 차는 다리의 무릎을 접어 몸을 돌릴 때 접었던 무릎을 펴면서 발이 수평으로 돌아 앞 축으로 몸의 회전이 잘 되게 한다.
2. 축이 되는 다리는 무릎을 펴며 발목도 펴서 앞 축을 축으로 몸의 회전이 잘되게 한다.
3. 찬 다리는 정한 목표에서 멈추어야 한다.
4. 돌려차기는 앞차기, 옆차기와 같이 발의 궤도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다. 발을 몸 뒤에서 일단 올려 회전 이동한다.
5. 돌려차기를 많이 수련하면 차는 순간 발이 목표보다 약간 위에서 내려찍는 형태로 이루어 지게 된다.
3) 옆차기
1. 앞차기 때와 같은 요령으로 차는 다리의 무릎을 접어 끌어 올리면서 몸을 차는 방향 반대로 틀면서 접었던 무릎을 뻗으며 발뒤축으로 목표를 가격한다.
2. 차는 순간 차는 다리의 골반이 엎어지듯 틀면서 고개를 젖혀 목표를 바라본다. 이때
몸통은 어깨 쪽과 골반 및 다리까지는 나사못 나선과 같이 비틀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3. 찬 다리는 반작용에 의하여 끌어들여 원위치나 마음에 정한 고에 옮겨 놓는다.
4. 딛고 있는 다리는 다리를 끌어올릴 때부터 발목을 충분히 펴 앞 축만 펴 회전을 빨리
할 수 있게 도와주며 또 무릎도 펴서 차는 방향에 추진력을 주어 가속도를 붙게 한다. 찬 다리를 끌어들일 때는 먼저와 같이 발목과 무릎을 낮춘다.
5. 옆차기를 찬 순간 상체가 차는 방향반대로(뒤 방향)으로 눕혀져서는 안 된다.
상체를 Y자 모양이 되어 차는 방향으로 중심을 이동시켜 추진력을 이동시킨다. 출발부터 목표까지 일직선이다.
(5) 품새에서 나오는 치기
치기 - 몸의 회전력을 이용해 팔 공격을 할 때 팔굽을 굽힌 채로 또는 뻗는 채로 손이나 주먹의 이동이 원을 그리며 움직여 목표를 가격하였을 때를 치기라 한다.
1) 앞치기
1. 주먹등의 인지와 중지 부분을 사용 한다.
2. 치는 등주먹의 팔목을 구부려선 안 된다.
3. 세운 등주먹과 젖힌 등주먹이 있다.
(요령) 치는 등주먹을 등주먹이 위로 향하게 하여 반대편 허리(장골능) 위에서 겨드랑이를 스치며 올려 인중 높이로 등주먹을 젖혀 친다.
2) 얼굴바깥치기
1. 바깥 막기와 같은 요령이나 등주먹이 목표인 턱 측면과 관자놀이를 치는 것이다.
2. 인중 높이로 등주먹을 세워서 친다.
(요령) 치는 등주먹이 반대편 상완 높이에서 시작해 상대의 인중 높이를 세운 등주먹으로 친다. 치기하는 등주먹을 팔이 앞치기와 달리, 허리로 당기는 반대 팔, 팔굽 밖으로 몸 앞에서 옆 방향으로 원을 그려 나가며 친다. 반대 팔의 주먹은 치는 팔 쪽 어깨선에서 허리로 당긴다.
3) 팔굽돌려치기
1. 돌려 치는 팔굽이 손등이 위로 향하게 하고 팔굽을 최대한 돌려서 어깨 앞쪽으로 오도록 한다.
2. 어깨선보다 팔굽이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3. 칠 때 허리를 틀어 준다.
4) 팔굽옆치기
1. 주춤서기로 치는 팔굽의 주먹이 반대편 어깨선까지 와서 반대 손바닥에 대고 반대손이 밀어 주는 힘을 이용하여 팔굽을 옆으로 친다.
2. 반대 손의 손끝은 위로 향하게 하고 주먹을 잡지 않는다.
3. 반대 손은 치는 팔굽쪽 가슴 앞에 위치시킨다.
4. 거들어 주는 팔굽이 과다하게 들렸을 때.
(6) 품새에서 나오는 찌르기
찌르기 - 찌르기 기술은 지르기와 같지만 사용부위가 주먹이 아니라 손끝이다.
또한 손가락을 펴기 때문에 손가락 길이만큼 먼 거리를 공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많이 단련되지 않았을 때는 손가락 마디가 많으므로 탈골 또는 골절의 위험이 있다.
1) 편 손끝 세워 찌르기
1. 주로 명치를 찌른다.
2. 반대 손의 손등 위로 편손끝 찌르는 팔굽이 위치한다.
3. 편손끝은 명치높이로 곧게 찌른다.
(요령) 반대 손을 펴서 앞으로 뻗은 상태에서 팔굽을 구부려 손끝이 위로 향하게 한 다음, 손바닥을 눌려 막는 동시에 허리에 있던 편 손끝으로 찌른다.
2. 편 손끝 엎어 찌르기
1. 주로 눈, 목, 명치를 찌른다.
3. 편 손끝
(요령) 주먹등이 위로 향한 상태로 팔목부분이 허리(장골능) 위에 위치한 다음 주먹을 젖혀 지른다. 보통의 주먹지르기와 주먹의 회전 방향이 반대(회외)이다.
4) 몸통지르기
1. 몸통의 대표적인 목표, 명치를 지를 때 사용하고 명치와 일직선상에 주먹을 위치시킨다.
(요령)
- 어깨를 자연스럽게 펴고 지르는 주먹의 팔목이 허리(장골능 위쪽)에 위치하며 팔굽을 자연스럽게 몸 쪽으로 붙인다.
- 겨드랑이가 벌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허리의 반동을 최대한 이용해 반대편 주먹을 빠르게 당기며, 동시에 직선으로 양 어깨의 정 가운데 명치 높이로 지른다.
- 당기는 주먹은 명치와 일직선상에서 빠르게 당긴다.
5) 얼굴지르기 바로지르기
1. 얼굴의 대표적인 목표, 인중을 지를 때 사용하고 인중과 일직선상에 주먹을 위치시킨다.
(요령) 지르는 요령은 몸통지르기와 동일하다.
6) 옆지르기
1. 몸 옆으로 지른다.
2. 옆지르기는 주춤서기와 같이 두 발끝이 정면을 향할 때 행한다.
3. 주춤서기에서 주먹을 옆으로 지른다.
(요령) 몸통에 가로 질러 잇던 반대편 주먹을 당기며, 동시에 지르고자 하는 주먹을 옆으로 지른다.
(4) 품새에서 나오는 차기
차기 - 발을 끌어올려 발의 사용부위로 상대의 목표를 가격하여 제압시키는 것을 차기라 한다.
가. 개별 품새에서 특별한 규정이 없을 때에 모든 차기 기술의 목표는 얼굴로 한다.
나. 앞차기는 앞축, 돌려차기는 앞축 또는 발등으로 한다.
1) 앞차기
1. 차는 다리의 무릎을 접어 끌어올려 가슴에 가까이 올 때 접었던 무릎을 펴면서 앞으로 내뻗는다. 발의 이동 궤도는 목표를 향하여 일직선이다.
2. 발가락을 젖힌 앞 축으로 목표를 맞춘다.
3. 찬 발은 반작용으로 무릎을 접어 끌면서 먼저 자리를 놓는다.
4. 딛고 있는 다리는 차기 전이나 찬 후 무릎을 펴면 중심이 위로 떠서 힘이 약하며 넘어지기 쉽다. 또는 후속조치를 취하기가 불리하다.
5. 뒤축은 바닥에서 떨어지게 하고 앞축을 축으로 발바닥이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가 차고 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한다.
2) 돌려차기
1. 앞의 축이 되는 발에 체중이 실리면서 차는 다리의 무릎을 접어 몸을 돌릴 때 접었던 무릎을 펴면서 발이 수평으로 돌아 앞 축으로 몸의 회전이 잘 되게 한다.
2. 축이 되는 다리는 무릎을 펴며 발목도 펴서 앞 축을 축으로 몸의 회전이 잘되게 한다.
3. 찬 다리는 정한 목표에서 멈추어야 한다.
4. 돌려차기는 앞차기, 옆차기와 같이 발의 궤도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다. 발을 몸 뒤에서 일단 올려 회전 이동한다.
5. 돌려차기를 많이 수련하면 차는 순간 발이 목표보다 약간 위에서 내려찍는 형태로 이루어 지게 된다.
3) 옆차기
1. 앞차기 때와 같은 요령으로 차는 다리의 무릎을 접어 끌어 올리면서 몸을 차는 방향 반대로 틀면서 접었던 무릎을 뻗으며 발뒤축으로 목표를 가격한다.
2. 차는 순간 차는 다리의 골반이 엎어지듯 틀면서 고개를 젖혀 목표를 바라본다. 이때
몸통은 어깨 쪽과 골반 및 다리까지는 나사못 나선과 같이 비틀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3. 찬 다리는 반작용에 의하여 끌어들여 원위치나 마음에 정한 고에 옮겨 놓는다.
4. 딛고 있는 다리는 다리를 끌어올릴 때부터 발목을 충분히 펴 앞 축만 펴 회전을 빨리
할 수 있게 도와주며 또 무릎도 펴서 차는 방향에 추진력을 주어 가속도를 붙게 한다. 찬 다리를 끌어들일 때는 먼저와 같이 발목과 무릎을 낮춘다.
5. 옆차기를 찬 순간 상체가 차는 방향반대로(뒤 방향)으로 눕혀져서는 안 된다.
상체를 Y자 모양이 되어 차는 방향으로 중심을 이동시켜 추진력을 이동시킨다. 출발부터 목표까지 일직선이다.
(5) 품새에서 나오는 치기
치기 - 몸의 회전력을 이용해 팔 공격을 할 때 팔굽을 굽힌 채로 또는 뻗는 채로 손이나 주먹의 이동이 원을 그리며 움직여 목표를 가격하였을 때를 치기라 한다.
1) 앞치기
1. 주먹등의 인지와 중지 부분을 사용 한다.
2. 치는 등주먹의 팔목을 구부려선 안 된다.
3. 세운 등주먹과 젖힌 등주먹이 있다.
(요령) 치는 등주먹을 등주먹이 위로 향하게 하여 반대편 허리(장골능) 위에서 겨드랑이를 스치며 올려 인중 높이로 등주먹을 젖혀 친다.
2) 얼굴바깥치기
1. 바깥 막기와 같은 요령이나 등주먹이 목표인 턱 측면과 관자놀이를 치는 것이다.
2. 인중 높이로 등주먹을 세워서 친다.
(요령) 치는 등주먹이 반대편 상완 높이에서 시작해 상대의 인중 높이를 세운 등주먹으로 친다. 치기하는 등주먹을 팔이 앞치기와 달리, 허리로 당기는 반대 팔, 팔굽 밖으로 몸 앞에서 옆 방향으로 원을 그려 나가며 친다. 반대 팔의 주먹은 치는 팔 쪽 어깨선에서 허리로 당긴다.
3) 팔굽돌려치기
1. 돌려 치는 팔굽이 손등이 위로 향하게 하고 팔굽을 최대한 돌려서 어깨 앞쪽으로 오도록 한다.
2. 어깨선보다 팔굽이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3. 칠 때 허리를 틀어 준다.
4) 팔굽옆치기
1. 주춤서기로 치는 팔굽의 주먹이 반대편 어깨선까지 와서 반대 손바닥에 대고 반대손이 밀어 주는 힘을 이용하여 팔굽을 옆으로 친다.
2. 반대 손의 손끝은 위로 향하게 하고 주먹을 잡지 않는다.
3. 반대 손은 치는 팔굽쪽 가슴 앞에 위치시킨다.
4. 거들어 주는 팔굽이 과다하게 들렸을 때.
(6) 품새에서 나오는 찌르기
찌르기 - 찌르기 기술은 지르기와 같지만 사용부위가 주먹이 아니라 손끝이다.
또한 손가락을 펴기 때문에 손가락 길이만큼 먼 거리를 공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많이 단련되지 않았을 때는 손가락 마디가 많으므로 탈골 또는 골절의 위험이 있다.
1) 편 손끝 세워 찌르기
1. 주로 명치를 찌른다.
2. 반대 손의 손등 위로 편손끝 찌르는 팔굽이 위치한다.
3. 편손끝은 명치높이로 곧게 찌른다.
(요령) 반대 손을 펴서 앞으로 뻗은 상태에서 팔굽을 구부려 손끝이 위로 향하게 한 다음, 손바닥을 눌려 막는 동시에 허리에 있던 편 손끝으로 찌른다.
2. 편 손끝 엎어 찌르기
1. 주로 눈, 목, 명치를 찌른다.
3. 편 손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