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형에 붙을지 n형에 붙을지에 따라서 순방향때의 저항과 역방향때의 저항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순방향으로 연결되었으면 전류가 흐르고 낮은 저항이 측정될 것이다. 만약 역방향으로 연결되었다면 매우 적은 전류가 흐를것이고, 매우 큰 저항이 측정될 것이다.
♠ 다이오드의 양극과 음극 확인
다이오드의 음극 끝에는 원형 띠가 둘러져있다. 만약 표시가 안되어 있더라도 저항검사에 의해 양극과 음극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저항이 상대적으로 너무 크게 나왔으면 역방향인 것이고 작게 나왔으면 순방향일 것이다.
♣실험 예상하기
다이오드에 바이어스 걸기
1. 다이오드의 양극, 음극 단자를 구별하여 다이오드가 순바이어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순바이어스 되도록 하기 위해서 다이오드의 어느 단자를 부단자에 연결하였는가?
☞ p형은 정(+)단자에, n형은 부(-)단자에 연결해야한다.
2. 다이오드에서 측정되는 전압()이 0.7V가 되도록 맞추고 다이오드 전류 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만약 다이오드를 역방향으로 하면 다이오드 전류는 어떻게 되겠는가?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3. 다이오드를 반대 극성으로 연결하고 를 측정, 기록 후 그 결과가 위의 문제에서 예상한 바를 확인 해 줄 것이다.
4. 다이오드를 역바이어스하고 를 측정 그 값을 기록, 다이오드의 순방향, 역방향 바이어스 때의 다이오드 저항 을 계산해서 기록한다.
☞순방향 일때는 낮은 저항값, 역방향 일때는 높은 저항값이 나와야 한다.
5. 다이오드를 회로에서 분리, 그 저항값을 측정한다. 옴메타의 리드를 반대로 하고 다시 다이오드 저항을 읽는다. 옴메타 내의 전지는 극성을 가지므로 옴메타의 검사리드도 역시 극성을 나타낼 것이다. 옴메타리드의 올바른 접속 위치(극성)에서의 측정값을 기록한다.
V-I 특성
6. 다이오드를 회로에 다시 연결하여 순방향 바이어스되게 하고 가변 직류전원을 표 1-2에 주어진 값들로 맞춰놓고 각각의 값에 대한 를 측정, 기록한다.
☞ 0.7V 이후에 급격하게 전류값이 늘어난다.
7. 다이오드를 반대 연결하여 역바이어스 되도록 하고 표 1-2에 지시된 값으로 가변 직류전원을 맞춘다. 이때의 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앞서 배운 [그림7]를 참고해서보면 reverse breakdown되기 전까지는 매우 적은양의 전류가 흐를것으로 예상된다.
8. 그래프 용지에 X축, Y축에 점을 찍어 다이오드 특성 곡선
을 그린다.
☞[그림7]에 조사해왔습니다.
9. 만약 커브트레이서가 제공될 수 있으면 첨부된 사용자 사양서를 참조하여 다이오드 특성곡선을 나타내도록 조정한다. 다이오드를 끼워 넣고 CRT 스크린상의 곡선을 관찰 후 이 그래프가 순서7에서 그린 것과 비슷한지 확인해 본다. 차이점이 있으면 설명해본다.
근사법
10. 순서8에서 만든 그래프 상에 근사 1,2,3방법에 의한 다이오드 특성곡선을 각기 다른색으로 그린다.
11. 와 에 대한 순바이어스 특성곡선의 선형부분 중에 있는 2점을 사용하여 다이오드의 벌크 저항 를계산한다. 공식에 대입하여 를 구한다.
☞실험시간에 측정뒤 마무리 하겠습니다.
♠ 다이오드의 양극과 음극 확인
다이오드의 음극 끝에는 원형 띠가 둘러져있다. 만약 표시가 안되어 있더라도 저항검사에 의해 양극과 음극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저항이 상대적으로 너무 크게 나왔으면 역방향인 것이고 작게 나왔으면 순방향일 것이다.
♣실험 예상하기
다이오드에 바이어스 걸기
1. 다이오드의 양극, 음극 단자를 구별하여 다이오드가 순바이어스가 되도록 구성하고 순바이어스 되도록 하기 위해서 다이오드의 어느 단자를 부단자에 연결하였는가?
☞ p형은 정(+)단자에, n형은 부(-)단자에 연결해야한다.
2. 다이오드에서 측정되는 전압()이 0.7V가 되도록 맞추고 다이오드 전류 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만약 다이오드를 역방향으로 하면 다이오드 전류는 어떻게 되겠는가?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3. 다이오드를 반대 극성으로 연결하고 를 측정, 기록 후 그 결과가 위의 문제에서 예상한 바를 확인 해 줄 것이다.
4. 다이오드를 역바이어스하고 를 측정 그 값을 기록, 다이오드의 순방향, 역방향 바이어스 때의 다이오드 저항 을 계산해서 기록한다.
☞순방향 일때는 낮은 저항값, 역방향 일때는 높은 저항값이 나와야 한다.
5. 다이오드를 회로에서 분리, 그 저항값을 측정한다. 옴메타의 리드를 반대로 하고 다시 다이오드 저항을 읽는다. 옴메타 내의 전지는 극성을 가지므로 옴메타의 검사리드도 역시 극성을 나타낼 것이다. 옴메타리드의 올바른 접속 위치(극성)에서의 측정값을 기록한다.
V-I 특성
6. 다이오드를 회로에 다시 연결하여 순방향 바이어스되게 하고 가변 직류전원을 표 1-2에 주어진 값들로 맞춰놓고 각각의 값에 대한 를 측정, 기록한다.
☞ 0.7V 이후에 급격하게 전류값이 늘어난다.
7. 다이오드를 반대 연결하여 역바이어스 되도록 하고 표 1-2에 지시된 값으로 가변 직류전원을 맞춘다. 이때의 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앞서 배운 [그림7]를 참고해서보면 reverse breakdown되기 전까지는 매우 적은양의 전류가 흐를것으로 예상된다.
8. 그래프 용지에 X축, Y축에 점을 찍어 다이오드 특성 곡선
을 그린다.
☞[그림7]에 조사해왔습니다.
9. 만약 커브트레이서가 제공될 수 있으면 첨부된 사용자 사양서를 참조하여 다이오드 특성곡선을 나타내도록 조정한다. 다이오드를 끼워 넣고 CRT 스크린상의 곡선을 관찰 후 이 그래프가 순서7에서 그린 것과 비슷한지 확인해 본다. 차이점이 있으면 설명해본다.
근사법
10. 순서8에서 만든 그래프 상에 근사 1,2,3방법에 의한 다이오드 특성곡선을 각기 다른색으로 그린다.
11. 와 에 대한 순바이어스 특성곡선의 선형부분 중에 있는 2점을 사용하여 다이오드의 벌크 저항 를계산한다. 공식에 대입하여 를 구한다.
☞실험시간에 측정뒤 마무리 하겠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