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품소개
2. 작가소개
3. 제작자소개
4. 줄거리
5. 인물구성과 음악소개
6. 작품에 대한 기대효과(나의생각)
2. 작가소개
3. 제작자소개
4. 줄거리
5. 인물구성과 음악소개
6. 작품에 대한 기대효과(나의생각)
본문내용
어떤 손님과 시비가 붙어서 윤락행위를 한 혐의로 자베르 경감에게 잡혀가던 그녀를 장발장이 도와주지만 코제트를 만나지 못하고 결국 병에 걸려 죽는다. 수잔 보일이 불러서 유명해진 I dreamed a dream 이 바로 팡틴이 과거를 회상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코제트 (Cosette) : 팡틴의 딸로 테나르디에 부부의 여인숙에서 하녀처럼 일하다가 장발장의 양녀가 된다. 혁명운동가 마리우스와 사랑에 빠지고 그와 결혼한다.
마리우스 (Marius) : 파리의 혁명운동 청년으로 코제트를 사랑하지만 혁명에 참가하여 부상을 당한다. 장발장이 부상당한 그를 업고 파리의 하수구를 지나 구출하고 결국 코제트와 결혼한다.
에포닌 (Eponine) : 테나르디에 부부의 딸로 마리우스를 짝사랑하는 인물이다. 마리우스가 코제트에게 보내는 편지를 전해주는 역할을 하고 바리케이드로 돌아오다가 정부군의 총탄에 최후를 맞는다. 짝사랑하는 애절함을 노래한 On my own 이 대표곡으로 뮤지컬에서는 코제트보다 더 주목받는 역이다. 보통 공연에서는 디즈니 주제가를 불러서 유명한 레아 살롱가가 부른다.
테나르디에 (Thenardier) 부부 : 악독하고 돈 밖에 모르는 인물들로 어린 코제트를 맡아서 학대하는 인물이다. 부랑자들을 데리고 혁명이 일어난 후 희생자들의 주머니를 털고 코제트와 마리우스에게 장발장은 살인자라고 이간질을 시킨다. 이 뮤지컬에서는 유일하게 희극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Master of the house 가 대표곡이다.
가브로쉬 (Gavroche) : 파리 거리의 아이로서 용감하게 혁명에 가담하는 인물이다. 스파이 짓을 하던 자베르를 알아보는 역할을 하지만 시가전 중에 목숨을 잃는다. 뮤지컬에서는 Little people 이 짧게 나오지만 오리지널 런던 캐스트에서는 좀 더 중요하게 그려지는 인물이다.
음악소개
뮤지컬 10주년 기념 콘서트 음악 CD
Disc 1
1. Prologue - 감옥의 고통스런 모습과 장발장(24601)의 가석방 장면
2. On Parole/The Bishop - 신부님과의 만남
3. Valjean\'s Soliloquy
4. At the End of the Day
5. I Dreamed a Dream - 팡틴이 과거를 회상하면서 부르는 노래
6. Lovely Ladies
7. Fantine\'s Arrest
8. The Runaway Cart
9. Who Am I ? - The Trial - 장발장이 자신이 죄수 24601임을 밝히면서 자기 대신 잡힌 사람을 풀어달라고 하는 노래
10. Fantine\'s Death - 팡틴이 죽으면서 코제트를 부탁하는 노래
11. The Confrontation
12. Castle on a cloud
13. Mater of the house
14. The bargain-Waltz of treachery
15. Look down
16. Stars - 장발장을 잡겠다는 자베르 경감의 각오 독백
17. ABC cafe/Red and black
18. Do you hear the people sing? - 장엄한 혁명가풍의 노래
19. Rue Plumet - In my life
20. A heart full of love
Disc 2
1. The attack on rue plumet
2. One day more!
3. Building the barricade/On My own
4. Back at the barricade
5. Javert\'s arrival/Little people
6. A little fall of rain - 에포닌의 죽음
7. Night of anguish
8. First attack
9. Drink with me - 혁명 전야에 부르는 학생들의 어두운 노래
10. Bring him home - 마리우스를 살려달라는 장발장의 기도
11. Second attack/The final battle
12. The sewers
13. Dog eats dog
14. Javert\'s suicide - 자베르 경감의 자살
15. Turning
16. Empty chairs at empty tables
17. Every day/A heart full of love (Reprise)
18. The wedding chorale/Beggars at the feast
19. Epilogue (Finale)
20. Encore 1: Entrance of international valjeans - 전 세계 17개국 장발장들이 등장해서 부르는 합창
21. Encore 2: Do you hear the people sing?/ One day more!
6. 작품에 대한 기대효과 (나의생각)
물론 이 작품을 직접보거나 다 감상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작품을 짧게나마 동영상으로 감상한 나로서는 인터넷이라는 공간에서밖에 접할 수 없음이 안타까울 뿐이다. 하지만 워낙 유명세에 작품에 대한 설명이 많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이해도와 해석이 용이했다. 때문에 전반적인 이해도는 있었지만 감흥은 그리 알지 못했다. 그래서 그에 따른 어려운 에로사항이 있었다. 이 작품은 프랑스혁명을 배경으로 쓴 작품이어서 전체적인 극 분위기가 혼란스럽고 어둡고 침울했다. 나오는 등장인물 역시 극중 선정적인 창녀생활을 하며 어렵게 살아가는 팡틴과 혼란스러운 시대설정에 어려운 사랑을 하는 에포닌 등 인물역시도 혼란스럽다. 그런 만큼 내가 연기자라면 이 작품으로 공연하는 자세가 어떠한 것인지 한번쯤은 느껴보고 싶다.
인물 한명 한명의 심리상태에 따라서 어떤 사회적인 현상이 그 인물을 비참하게 또는 반대로 기회주의적으로 정당하게 만들었는지에 대한 이유들을 잘 알고 연기를 해야 한다는 생각하는 법을 알았다. 물론 연기 뿐 만이 아니라 뮤지컬이라는 장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뮤지컬 노래와 안무 등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종합적으로 뮤지컬에 대한 이해는 어렵지만 기획자는 시나리오(원고)를 바탕으로 어필하고자하는 핵심 주제와 극중 분위기가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내용의 가능성으로 시대적인 또는 그 나라와 문화에 따른 다변화에 맞게 보여줘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코제트 (Cosette) : 팡틴의 딸로 테나르디에 부부의 여인숙에서 하녀처럼 일하다가 장발장의 양녀가 된다. 혁명운동가 마리우스와 사랑에 빠지고 그와 결혼한다.
마리우스 (Marius) : 파리의 혁명운동 청년으로 코제트를 사랑하지만 혁명에 참가하여 부상을 당한다. 장발장이 부상당한 그를 업고 파리의 하수구를 지나 구출하고 결국 코제트와 결혼한다.
에포닌 (Eponine) : 테나르디에 부부의 딸로 마리우스를 짝사랑하는 인물이다. 마리우스가 코제트에게 보내는 편지를 전해주는 역할을 하고 바리케이드로 돌아오다가 정부군의 총탄에 최후를 맞는다. 짝사랑하는 애절함을 노래한 On my own 이 대표곡으로 뮤지컬에서는 코제트보다 더 주목받는 역이다. 보통 공연에서는 디즈니 주제가를 불러서 유명한 레아 살롱가가 부른다.
테나르디에 (Thenardier) 부부 : 악독하고 돈 밖에 모르는 인물들로 어린 코제트를 맡아서 학대하는 인물이다. 부랑자들을 데리고 혁명이 일어난 후 희생자들의 주머니를 털고 코제트와 마리우스에게 장발장은 살인자라고 이간질을 시킨다. 이 뮤지컬에서는 유일하게 희극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Master of the house 가 대표곡이다.
가브로쉬 (Gavroche) : 파리 거리의 아이로서 용감하게 혁명에 가담하는 인물이다. 스파이 짓을 하던 자베르를 알아보는 역할을 하지만 시가전 중에 목숨을 잃는다. 뮤지컬에서는 Little people 이 짧게 나오지만 오리지널 런던 캐스트에서는 좀 더 중요하게 그려지는 인물이다.
음악소개
뮤지컬 10주년 기념 콘서트 음악 CD
Disc 1
1. Prologue - 감옥의 고통스런 모습과 장발장(24601)의 가석방 장면
2. On Parole/The Bishop - 신부님과의 만남
3. Valjean\'s Soliloquy
4. At the End of the Day
5. I Dreamed a Dream - 팡틴이 과거를 회상하면서 부르는 노래
6. Lovely Ladies
7. Fantine\'s Arrest
8. The Runaway Cart
9. Who Am I ? - The Trial - 장발장이 자신이 죄수 24601임을 밝히면서 자기 대신 잡힌 사람을 풀어달라고 하는 노래
10. Fantine\'s Death - 팡틴이 죽으면서 코제트를 부탁하는 노래
11. The Confrontation
12. Castle on a cloud
13. Mater of the house
14. The bargain-Waltz of treachery
15. Look down
16. Stars - 장발장을 잡겠다는 자베르 경감의 각오 독백
17. ABC cafe/Red and black
18. Do you hear the people sing? - 장엄한 혁명가풍의 노래
19. Rue Plumet - In my life
20. A heart full of love
Disc 2
1. The attack on rue plumet
2. One day more!
3. Building the barricade/On My own
4. Back at the barricade
5. Javert\'s arrival/Little people
6. A little fall of rain - 에포닌의 죽음
7. Night of anguish
8. First attack
9. Drink with me - 혁명 전야에 부르는 학생들의 어두운 노래
10. Bring him home - 마리우스를 살려달라는 장발장의 기도
11. Second attack/The final battle
12. The sewers
13. Dog eats dog
14. Javert\'s suicide - 자베르 경감의 자살
15. Turning
16. Empty chairs at empty tables
17. Every day/A heart full of love (Reprise)
18. The wedding chorale/Beggars at the feast
19. Epilogue (Finale)
20. Encore 1: Entrance of international valjeans - 전 세계 17개국 장발장들이 등장해서 부르는 합창
21. Encore 2: Do you hear the people sing?/ One day more!
6. 작품에 대한 기대효과 (나의생각)
물론 이 작품을 직접보거나 다 감상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작품을 짧게나마 동영상으로 감상한 나로서는 인터넷이라는 공간에서밖에 접할 수 없음이 안타까울 뿐이다. 하지만 워낙 유명세에 작품에 대한 설명이 많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이해도와 해석이 용이했다. 때문에 전반적인 이해도는 있었지만 감흥은 그리 알지 못했다. 그래서 그에 따른 어려운 에로사항이 있었다. 이 작품은 프랑스혁명을 배경으로 쓴 작품이어서 전체적인 극 분위기가 혼란스럽고 어둡고 침울했다. 나오는 등장인물 역시 극중 선정적인 창녀생활을 하며 어렵게 살아가는 팡틴과 혼란스러운 시대설정에 어려운 사랑을 하는 에포닌 등 인물역시도 혼란스럽다. 그런 만큼 내가 연기자라면 이 작품으로 공연하는 자세가 어떠한 것인지 한번쯤은 느껴보고 싶다.
인물 한명 한명의 심리상태에 따라서 어떤 사회적인 현상이 그 인물을 비참하게 또는 반대로 기회주의적으로 정당하게 만들었는지에 대한 이유들을 잘 알고 연기를 해야 한다는 생각하는 법을 알았다. 물론 연기 뿐 만이 아니라 뮤지컬이라는 장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뮤지컬 노래와 안무 등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종합적으로 뮤지컬에 대한 이해는 어렵지만 기획자는 시나리오(원고)를 바탕으로 어필하고자하는 핵심 주제와 극중 분위기가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내용의 가능성으로 시대적인 또는 그 나라와 문화에 따른 다변화에 맞게 보여줘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