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3
UCC 정의 --------------------------------------------3
현 UCC의 실황 ----------------------------------------3
◎ 본론 -------------------------------------3
UCC의 변화 과정---------------------------------------3
사례로 본 UCC ------------------------------------------------5
-미 대선의 UCC ----------------------------------------------- -5
-네이버 지식인 --------------------------------------------------6
현 UCC의 한계점 --------------------------------------6
UCC의 미래 ------------------------------------------7
◎ 결론--------------------------------------7
UCC 정의 --------------------------------------------3
현 UCC의 실황 ----------------------------------------3
◎ 본론 -------------------------------------3
UCC의 변화 과정---------------------------------------3
사례로 본 UCC ------------------------------------------------5
-미 대선의 UCC ----------------------------------------------- -5
-네이버 지식인 --------------------------------------------------6
현 UCC의 한계점 --------------------------------------6
UCC의 미래 ------------------------------------------7
◎ 결론--------------------------------------7
본문내용
의 강화
인터넷 사용자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폭증으로 인터넷 트래픽의 수와 용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표1참조]
표 1] 동영상 유씨씨를 인터넷에 올려봤다고 답한 네티즌 30.4%
▶ 정보의 과다가 오히려 정보선택의
기회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Ex) 운영자의 의도가 개입되는 포털 메인
화면과 그 콘텐츠의 조회수
(2) 비검증 정보들로 인한 잘못된 정보의 전달 혹은 비전문성
인터넷이라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정보가 한번 서버에 올라가면 누구든지 접근이 쉬워진다. 하지만 그 정보들이 모두 옳다고 할 수 없는데, 특정 콘텐츠가 옳지 않음이 나중에 알려진다 해도 이미 콘텐츠를 본 사람들 모두에게 그 사실을 알리기엔 늦는다. 이는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다.
(3) 유저들의 편중된 나이 대 +UCC제작자의 제한적 수
사용자 수도 차이가 나지만 그 수에 평균사용시간까지 곱하면 그 차이는 상당하다. 결국 인터넷 공간에서의 공감은 우리나라 전체의 공감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러한 듯 이해될 소지가 있다.
(4) 유해정보가 될 가능성
디씨뉴스 \'놀이터 막장 커플\' 동영상 확산
(5) 저작권 문제
UCC 현황조사에 따르면 순수창작물이 16%, 복제물과 저작권 침해물이 84% 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유저들의 창작물이라는 UCC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4. UCC의 미래 (2008- )
(1) 부정적인 측면 미래
▼ 기사 \'한나라당 댓글 알바\'는 실화
지금은 UCC가 성장해 나가고 있지만 이러한 성장에 따라 권력이나 자본의 개입과 더불어 기존의 매스컴과 같은 부정적 특징이 UCC에도 보이고 있고 점점 더 영향을 미칠 것이다. 댓글 문화[그림1]와 같이 UCC가 악의적으로 이용되어서 신뢰도를 읽게 되면 오히려 급격한 쇠퇴에 직면할 수도 있다
<결론>
UCC의 특성상 누군가가 감독한다는 것은 더 이상 UCC가 아닌 것이 되어버리고 단지 또 하나의 매스 미디어가 될 뿐이다. 앞서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UCC의한 가지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하는데, 그것은 UCC는 모든 사람이 정보제공자이면서 정보이용자라는 것. 결국 유저들 각자가 감독자이자 정보수용자로 존재하여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 될 수 있는 교육이 있다. 정보의 생산자로서의 교육 (생산자로서의 의무와 컨텐츠의 영향력)과 정보의 이용자로서의 교육 (비판적, 객관적 입장에서의 정보수용)이 병행 되어야 한다.
인터넷 사용자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폭증으로 인터넷 트래픽의 수와 용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표1참조]
표 1] 동영상 유씨씨를 인터넷에 올려봤다고 답한 네티즌 30.4%
▶ 정보의 과다가 오히려 정보선택의
기회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Ex) 운영자의 의도가 개입되는 포털 메인
화면과 그 콘텐츠의 조회수
(2) 비검증 정보들로 인한 잘못된 정보의 전달 혹은 비전문성
인터넷이라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정보가 한번 서버에 올라가면 누구든지 접근이 쉬워진다. 하지만 그 정보들이 모두 옳다고 할 수 없는데, 특정 콘텐츠가 옳지 않음이 나중에 알려진다 해도 이미 콘텐츠를 본 사람들 모두에게 그 사실을 알리기엔 늦는다. 이는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다.
(3) 유저들의 편중된 나이 대 +UCC제작자의 제한적 수
사용자 수도 차이가 나지만 그 수에 평균사용시간까지 곱하면 그 차이는 상당하다. 결국 인터넷 공간에서의 공감은 우리나라 전체의 공감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러한 듯 이해될 소지가 있다.
(4) 유해정보가 될 가능성
디씨뉴스 \'놀이터 막장 커플\' 동영상 확산
(5) 저작권 문제
UCC 현황조사에 따르면 순수창작물이 16%, 복제물과 저작권 침해물이 84% 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유저들의 창작물이라는 UCC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4. UCC의 미래 (2008- )
(1) 부정적인 측면 미래
▼ 기사 \'한나라당 댓글 알바\'는 실화
지금은 UCC가 성장해 나가고 있지만 이러한 성장에 따라 권력이나 자본의 개입과 더불어 기존의 매스컴과 같은 부정적 특징이 UCC에도 보이고 있고 점점 더 영향을 미칠 것이다. 댓글 문화[그림1]와 같이 UCC가 악의적으로 이용되어서 신뢰도를 읽게 되면 오히려 급격한 쇠퇴에 직면할 수도 있다
<결론>
UCC의 특성상 누군가가 감독한다는 것은 더 이상 UCC가 아닌 것이 되어버리고 단지 또 하나의 매스 미디어가 될 뿐이다. 앞서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UCC의한 가지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하는데, 그것은 UCC는 모든 사람이 정보제공자이면서 정보이용자라는 것. 결국 유저들 각자가 감독자이자 정보수용자로 존재하여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 될 수 있는 교육이 있다. 정보의 생산자로서의 교육 (생산자로서의 의무와 컨텐츠의 영향력)과 정보의 이용자로서의 교육 (비판적, 객관적 입장에서의 정보수용)이 병행 되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