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제1장 습지와 람사협약
제1절 습지
I. 습지의 정의
II. 습지의 분류
III. 습지의 가치와 기능
1. 습지의 가치
1) 생태학적 가치
2) 수문학적 가치
3) 경제적 가치
4) 경관적 가치
2. 습지의 기능
1) 서식 환경 제공
2) 먹이사슬 유지
3) 생산력의 보고
4) 경관적 가치
6) 수문학, 수리학적 기능
7) 기후 조절 기능
8) 수질오염물질 제거
IV. 습지의 보전
제2절 람사협약
I. 협약채택의 경위와 개요
1. 협약채택의 경위
2. 협약의 개요
1) 람사협약상 습지의 정의
2) 습지형태의 분류 모델
3) 국제적 습지선정기준
II. 한국의 람사협약 가입
1. 우포늪
2. 대암산 용늪
3. 장도습지
4. 순천보성 갯벌
제2장 국내외 사례
제1절 해외 사례
I. 독일
1. 갯벌 관리 상황
2. 갯벌국립공원 관리체제
II. 네덜란드
1. 갯벌 보호정책
III. 미국
1. 개관
2. Don Edwards San Francisdo Bay National Wildlife Refuge
3. Don Edwards Alviso Education Center
4. Palo Alto Baylands Nature Preserve
5. Crissy Field Center
IV. 일본
1. 개관
2. 쿠시로 습지
3. Don Edwards Alviso Education Center
V. 중국
1. 서계 습지
2. 홍콩 마이포 습지
3. 홍콩 습지 공원
제2절 국내 사례
I. 긍정적
II. 부정적
1. 주남저수지 파괴 사건
2. 우포늪 파괴
3. 위기에 처한 동해안 호수
4. 서해안 갯벌 파괴
5. 순천만의 동천 및 갯벌의 위기
제3장 습지의 관리 및 보존대책
I. 관리
1. 습지개선대상지역
2. 지정가능지역
3. 주변관리지역
II. 정책
1. 습지총량제
2. 환경 올림픽 람사르 총회
1) 람사르 협약
2) 제10차 람사르 협약의 개최
제1절 습지
I. 습지의 정의
II. 습지의 분류
III. 습지의 가치와 기능
1. 습지의 가치
1) 생태학적 가치
2) 수문학적 가치
3) 경제적 가치
4) 경관적 가치
2. 습지의 기능
1) 서식 환경 제공
2) 먹이사슬 유지
3) 생산력의 보고
4) 경관적 가치
6) 수문학, 수리학적 기능
7) 기후 조절 기능
8) 수질오염물질 제거
IV. 습지의 보전
제2절 람사협약
I. 협약채택의 경위와 개요
1. 협약채택의 경위
2. 협약의 개요
1) 람사협약상 습지의 정의
2) 습지형태의 분류 모델
3) 국제적 습지선정기준
II. 한국의 람사협약 가입
1. 우포늪
2. 대암산 용늪
3. 장도습지
4. 순천보성 갯벌
제2장 국내외 사례
제1절 해외 사례
I. 독일
1. 갯벌 관리 상황
2. 갯벌국립공원 관리체제
II. 네덜란드
1. 갯벌 보호정책
III. 미국
1. 개관
2. Don Edwards San Francisdo Bay National Wildlife Refuge
3. Don Edwards Alviso Education Center
4. Palo Alto Baylands Nature Preserve
5. Crissy Field Center
IV. 일본
1. 개관
2. 쿠시로 습지
3. Don Edwards Alviso Education Center
V. 중국
1. 서계 습지
2. 홍콩 마이포 습지
3. 홍콩 습지 공원
제2절 국내 사례
I. 긍정적
II. 부정적
1. 주남저수지 파괴 사건
2. 우포늪 파괴
3. 위기에 처한 동해안 호수
4. 서해안 갯벌 파괴
5. 순천만의 동천 및 갯벌의 위기
제3장 습지의 관리 및 보존대책
I. 관리
1. 습지개선대상지역
2. 지정가능지역
3. 주변관리지역
II. 정책
1. 습지총량제
2. 환경 올림픽 람사르 총회
1) 람사르 협약
2) 제10차 람사르 협약의 개최
본문내용
해서 약 280억톤으로 추정된다. 이 갯벌은 아리아께가이 서쪽의 내만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성이 높은 곳으로 퇴적작용, 조류작용, 지반융기작용으로 얕은 바다가 되어버린 곳이다.
세번째 갯벌은 하구 갯벌로 염분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바다로 유입되는 하천의 입구에서 볼 수 있는 갯벌이다.
갯벌보존활동
일본습지목록\'의 국제적으로 중요한 24개 지역 중 11개 지역에서 시민들의 습지보호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5곳이 갯벌지역이다. 시오가와 갯벌에서는 갯벌을 이등분하려 했던 도로의 방향을 변경시켰다.
도쿄만에서는 1950 ~ 60년대에 산업오염의 피해를 입어 기형물고기가 출현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되었으나 환경보호 정책 및 도쿄만 되살리기 등 일련의 보존활동으로 도쿄의 오오이(大井) 野鳥도원 (전면적 30ha)의 작은 갯벌 등이 만들어졌다. 도쿄만 내 찌바현의 야쯔갯벌 (50ha)과 교우도쿠(行德) 野鳥관찰사(신하마(新兵)물새보호구 83ha 중 갯벌 9ha)가 인공적으로 형성되었다.
한편 나고야시의 주민은 나고야항의 갯벌을 지키는 연합회(후지마에 갯벌을 지키는 모임)를 결성하여 국제적으로 11개국 28개 단체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주요 내용은 쓰레기 매립지화에 대한 반대운동으로 3개 지역의 야조회에서 1986 ~ 1987년의 2년간의 조사로 이 갯벌의 중요성을 증명하게 되었다.
후쿠오카현의 하카다만은 대한해협을 끼고 있어 대륙으로부터 이동하는 철새들의 중요한 섭식 장소이며 휴식지이다.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310종이 발견되었으며, 검은머리갈매기,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등 희귀종 14종이 보고 되었다. 그러나 이 지역의 327ha 갯벌 중 30%에 해당하는 97ha가 소멸되어 갯벌보호운동이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사하야만 내 갯벌은 아리아께가이의 전체면적 180,000ha 중 30,800ha로 고유종의 물고기나 새우, 게가 서식하고 있는 중요한 갯벌이지만 보호대책이 전혀 마련되지 않았다. 갯벌보존운동은 1960년대의 고도성장과 더불어 일어났다. 특히, 1975년도 전국 갯벌심포지움을 개최하였으며, 1977년도 갯벌의 간척과 매립에 반대하여 \"환경권소송승리\", \"入浜權\", \"海浜法 제정\" 등이 거론되었다. 1989년에는 나고야에서 \"국제 갯벌심포지움\"이 개최되었고, 이 심포지움을 2년마다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93 Wetland회의\"에서는 시급히 보호하여야 할 갯벌 10개소를 지정하였다.
1993년 람사조약국 회의가 홋카이도 쿠시로에서 개최되었고, 1994년에는 \"Wetland 포럼-람사조약회의로부터 1년, 습지생태계의 가치와 평가\"에 대한 포럼이 개최되어 갯벌에 대한 가치와 재인식을 강조하였다. 특히, 1994년 10월에 이사하야에서 나온 \"철새들의 동아시아 비행경로에 인접한 조약국이 람사습지등록부에 습지를 추가지정 요구\"하는 부분을 구체화하였다.
이사하야만 갯벌 보호운동
\"長崎大干拓\"사업을 반대하는 이사하야만 어민들의 반대운동은 50년대부터 시작하여 60년대에는 아리아께가이의 12개 어협이 나가사키 대간척 기성동맹회로부터 탈퇴하였고, 김양식에 대한 악영향의 우려 때문에 간척사업을 본격적으로 반대하였다. 또한, \"長崎大干拓 절대반대 실행위원회\"가 활동한 이래 1969년 \"나가사키 남부 매립계획\"이 정식으로 철회되기에 이른다.
1970년대에는 \"나가사키 남부 종합개발계획\"이 다시 부상하였으나, 이사하야 자연환경 보호협회가 설립되어 아리아께가이의 어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독자적인 조사를 시행하는 등 어민들의 반대 활동이 이어졌다. 이에 80년대 정부기관인 농림수산청이 \"나가사키 남부지역 종합 개발계획\"을 동결하겠다는 발표를 하였으나 나가사키현의 주관하에 \'매립\'과 \'종합개발계획\'을 \'홍수대책\'으로 바꾸면서 89년 제방건설이 개시되었다.
1990년대에 와서는 국제적 관점에서 민간단체 등이 이사하야만 안쪽 갯벌의 소멸에 따른 황새목의 도요류, 물떼새류의 서식환경 파괴의 문제점을 제기하였고, 정부에 \"국영 이사하야만 간척사업에 대한 질문서\"를 1, 2차에 걸쳐 제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의 영향으로 갯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정책적 접근이 이루어지는 중이다.
갯벌생태계의 재생과 복원
이사하야만의 만 안쪽 부분이 막혀서 3개월 이상 경과하자 많은 생물이 사멸되었으나, 다시 해수를 유입 시킨다면 잃어버린 갯벌생태계의 재생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만 안쪽에 사멸된 생물종의 대다수는 제방밖에도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만 안의 환경이 회복된다면 유생 등이 주변의 갯벌로부터 재유입 되어 원래의 생물상과 생태계로 복구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대한 갯벌 전체를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막아놓은 제방의 부분적인 유통이나 철거 등의 시책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에는 자연갯벌의 기능이나 구조를 기초로 하는 인공갯벌의 조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 쿠시로 습지
람사르 등록일 : 1980.6.17
(1993년 쿠시로시는 제 5차 람사르당사국총회 개최(3년주기))
위치 : 일본 훗카이도 쿠시로시 일대
면적 : 7863ha(여의도면적의 약 26.4배)
지위 : 국가천연기념물(1935), 국립야생동식물보호지역을 위한 특별보호지역(1979), 람사르습지(1980),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및 특별구역(1987)
관리기관 : 환경성, 훗카이도, 4개 지자체(쿠시로시포함)가 공동관리
일본 북해도 동남쪽 쿠시로시를 중점으로 한 약 19,000ha 면적의 습지로써 대부분 인간의 접근이 불가능한 원시습지
쿠시로습지에는 다양한 형태의 습지가 존재하여 호수, 소택지(Swamp), 알칼리성 습원(Fens), 산성습원(Bogs)등과 멸종위기종인 두루미, 네발가락 도롱뇽, 흰꼬리수리 등이 서식
일본정부는 2003년 자얀재생추진법에 따라서 쿠시로습원 자연재생협의회를 설립하고, 2005년에 지역주민들과 함께 쿠시로 습지의 보전과 복원 종합개념계획을 수립, 시행.
습지복원계획
-히로사토 재생사업
: 1950대말 농경지 개발 이전의 습지상태로 복원하는 목적으로 계획됨.
-타코부 재생사업(일본 환경성)
: 동지역의 삼림생태계의 질과 양을 복원하는 목적으로 계획됨.
-토로-카야누마 재생사업(국토교
세번째 갯벌은 하구 갯벌로 염분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바다로 유입되는 하천의 입구에서 볼 수 있는 갯벌이다.
갯벌보존활동
일본습지목록\'의 국제적으로 중요한 24개 지역 중 11개 지역에서 시민들의 습지보호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5곳이 갯벌지역이다. 시오가와 갯벌에서는 갯벌을 이등분하려 했던 도로의 방향을 변경시켰다.
도쿄만에서는 1950 ~ 60년대에 산업오염의 피해를 입어 기형물고기가 출현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되었으나 환경보호 정책 및 도쿄만 되살리기 등 일련의 보존활동으로 도쿄의 오오이(大井) 野鳥도원 (전면적 30ha)의 작은 갯벌 등이 만들어졌다. 도쿄만 내 찌바현의 야쯔갯벌 (50ha)과 교우도쿠(行德) 野鳥관찰사(신하마(新兵)물새보호구 83ha 중 갯벌 9ha)가 인공적으로 형성되었다.
한편 나고야시의 주민은 나고야항의 갯벌을 지키는 연합회(후지마에 갯벌을 지키는 모임)를 결성하여 국제적으로 11개국 28개 단체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주요 내용은 쓰레기 매립지화에 대한 반대운동으로 3개 지역의 야조회에서 1986 ~ 1987년의 2년간의 조사로 이 갯벌의 중요성을 증명하게 되었다.
후쿠오카현의 하카다만은 대한해협을 끼고 있어 대륙으로부터 이동하는 철새들의 중요한 섭식 장소이며 휴식지이다.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310종이 발견되었으며, 검은머리갈매기,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등 희귀종 14종이 보고 되었다. 그러나 이 지역의 327ha 갯벌 중 30%에 해당하는 97ha가 소멸되어 갯벌보호운동이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사하야만 내 갯벌은 아리아께가이의 전체면적 180,000ha 중 30,800ha로 고유종의 물고기나 새우, 게가 서식하고 있는 중요한 갯벌이지만 보호대책이 전혀 마련되지 않았다. 갯벌보존운동은 1960년대의 고도성장과 더불어 일어났다. 특히, 1975년도 전국 갯벌심포지움을 개최하였으며, 1977년도 갯벌의 간척과 매립에 반대하여 \"환경권소송승리\", \"入浜權\", \"海浜法 제정\" 등이 거론되었다. 1989년에는 나고야에서 \"국제 갯벌심포지움\"이 개최되었고, 이 심포지움을 2년마다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93 Wetland회의\"에서는 시급히 보호하여야 할 갯벌 10개소를 지정하였다.
1993년 람사조약국 회의가 홋카이도 쿠시로에서 개최되었고, 1994년에는 \"Wetland 포럼-람사조약회의로부터 1년, 습지생태계의 가치와 평가\"에 대한 포럼이 개최되어 갯벌에 대한 가치와 재인식을 강조하였다. 특히, 1994년 10월에 이사하야에서 나온 \"철새들의 동아시아 비행경로에 인접한 조약국이 람사습지등록부에 습지를 추가지정 요구\"하는 부분을 구체화하였다.
이사하야만 갯벌 보호운동
\"長崎大干拓\"사업을 반대하는 이사하야만 어민들의 반대운동은 50년대부터 시작하여 60년대에는 아리아께가이의 12개 어협이 나가사키 대간척 기성동맹회로부터 탈퇴하였고, 김양식에 대한 악영향의 우려 때문에 간척사업을 본격적으로 반대하였다. 또한, \"長崎大干拓 절대반대 실행위원회\"가 활동한 이래 1969년 \"나가사키 남부 매립계획\"이 정식으로 철회되기에 이른다.
1970년대에는 \"나가사키 남부 종합개발계획\"이 다시 부상하였으나, 이사하야 자연환경 보호협회가 설립되어 아리아께가이의 어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독자적인 조사를 시행하는 등 어민들의 반대 활동이 이어졌다. 이에 80년대 정부기관인 농림수산청이 \"나가사키 남부지역 종합 개발계획\"을 동결하겠다는 발표를 하였으나 나가사키현의 주관하에 \'매립\'과 \'종합개발계획\'을 \'홍수대책\'으로 바꾸면서 89년 제방건설이 개시되었다.
1990년대에 와서는 국제적 관점에서 민간단체 등이 이사하야만 안쪽 갯벌의 소멸에 따른 황새목의 도요류, 물떼새류의 서식환경 파괴의 문제점을 제기하였고, 정부에 \"국영 이사하야만 간척사업에 대한 질문서\"를 1, 2차에 걸쳐 제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의 영향으로 갯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정책적 접근이 이루어지는 중이다.
갯벌생태계의 재생과 복원
이사하야만의 만 안쪽 부분이 막혀서 3개월 이상 경과하자 많은 생물이 사멸되었으나, 다시 해수를 유입 시킨다면 잃어버린 갯벌생태계의 재생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만 안쪽에 사멸된 생물종의 대다수는 제방밖에도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만 안의 환경이 회복된다면 유생 등이 주변의 갯벌로부터 재유입 되어 원래의 생물상과 생태계로 복구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대한 갯벌 전체를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막아놓은 제방의 부분적인 유통이나 철거 등의 시책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에는 자연갯벌의 기능이나 구조를 기초로 하는 인공갯벌의 조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 쿠시로 습지
람사르 등록일 : 1980.6.17
(1993년 쿠시로시는 제 5차 람사르당사국총회 개최(3년주기))
위치 : 일본 훗카이도 쿠시로시 일대
면적 : 7863ha(여의도면적의 약 26.4배)
지위 : 국가천연기념물(1935), 국립야생동식물보호지역을 위한 특별보호지역(1979), 람사르습지(1980),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및 특별구역(1987)
관리기관 : 환경성, 훗카이도, 4개 지자체(쿠시로시포함)가 공동관리
일본 북해도 동남쪽 쿠시로시를 중점으로 한 약 19,000ha 면적의 습지로써 대부분 인간의 접근이 불가능한 원시습지
쿠시로습지에는 다양한 형태의 습지가 존재하여 호수, 소택지(Swamp), 알칼리성 습원(Fens), 산성습원(Bogs)등과 멸종위기종인 두루미, 네발가락 도롱뇽, 흰꼬리수리 등이 서식
일본정부는 2003년 자얀재생추진법에 따라서 쿠시로습원 자연재생협의회를 설립하고, 2005년에 지역주민들과 함께 쿠시로 습지의 보전과 복원 종합개념계획을 수립, 시행.
습지복원계획
-히로사토 재생사업
: 1950대말 농경지 개발 이전의 습지상태로 복원하는 목적으로 계획됨.
-타코부 재생사업(일본 환경성)
: 동지역의 삼림생태계의 질과 양을 복원하는 목적으로 계획됨.
-토로-카야누마 재생사업(국토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