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정보기술의 진화와 BcN(광대역 통합망) 구축의 의의 및 특성
1.정보기술의 진화와 BcN(광대역 통합망)의 의의
2. BcN의 정보기반과 어플리케이션(응용,적용)
3. BcN 구축 계획과 추진 정책
Ⅲ. BcN 기반하의 u-Government의 기본 방향
1. 전자정부(e-Government)와 u-Government의 업무방식․서비스 간의 차이점
2. u-Government의 업무방식․서비스 구도 정립
3. u-Government의 이슈
Ⅳ. 결 론
Ⅱ. 정보기술의 진화와 BcN(광대역 통합망) 구축의 의의 및 특성
1.정보기술의 진화와 BcN(광대역 통합망)의 의의
2. BcN의 정보기반과 어플리케이션(응용,적용)
3. BcN 구축 계획과 추진 정책
Ⅲ. BcN 기반하의 u-Government의 기본 방향
1. 전자정부(e-Government)와 u-Government의 업무방식․서비스 간의 차이점
2. u-Government의 업무방식․서비스 구도 정립
3. u-Government의 이슈
Ⅳ. 결 론
본문내용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 등록되지 않은 근교 차량의 유출입 교통량이 증대되어 교통과 환경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 환경세와 혼잡세를 통해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만 일부차량에 대해서만 징수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 현재의 내부화 정책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때 의무적으로 유비쿼터스 태그를 부착한다면 정확한 환경세를 부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 도시의 상수원이 되는 강 상류지역의 수질오염원에 환경태그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환경오염원을 모니터링 한다면 적정한 오염원 관리수준이나 규제방식을 취할 수 있게 될 것이며 나아가 현재 외부성을 내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치단체와 시민간의 갈등 또는 자치단체간의 갈등문제를 대폭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는 유비쿼터스 정보화 시대에 정보서비스를 활용하는데 따르는 실제 활용상의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중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정보화는 네트워크 간에 이질성 문제로 인해 무선 서비스를 활용하는 실제적인 측면에도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차역에서 행정정보서비스를 무선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차역에서는 특정 접근포인트를 사용했지만 기차역에서 한참 벗어난 경우에는 다른 접근 포인트를 이용해야 하므로 사용자는 두 가지 네트워크 사이를 왔다갔다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이질성(Network Heterogeneity)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한편 이처럼 네트워크의 적용범위가 충분치 못한 범역이 존재하여 즉 네트워크의 적용범위를 벗어난 dead spot이존재하여 무선으로 온라인에서 작업하는 것이 오히려 비능률적인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면 서비스를 활용하는 시민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무결절하게(seemless) 연결되지 않는다고 느낄 것이고 그에 따라 활용성이 저해될 것이다. 따라서 무선의 온라인 서비스의 경우 무결절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최종 사용자는 무선·모바일 네트워크의 사용을 선호하지 않을 것이므로 이들 과제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전자정부 기반 상황 하에서 보다 정보자원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정보자원의 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시스템 안전이나 국민들의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가 더욱 심각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유비궈터스 정보화는 수많은 네트워크의 형성과 접속으로 개인의 정보보완문제에 더욱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들 문제에 대한 기술적, 제도적 보완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Ⅳ. 결 론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국가적 총력을 기울여 정보화를 추진해왔다. 그렇다면 이 시점에서도 국가정보화의 미래의 방향은 올바르게 설정된 것인가? 그리고 그 하부 계획들은 적정한 목표와 내용 하에 수림된 것인가? 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와있다고 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정보기술기반이 차세대 국가정보화 환경이 될 것이라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인식과 정책적 준비의 타이밍이 늦을 경우 21세기 국가발전은 상당부분 뒤쳐질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은 이미 일본주도형 유비쿼터스 사회 모델을 세계모델화 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놓고 있다. 사람, 컴퓨터, 사물이 언제, 어디서나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유비쿼터스화 패러다임은 이미 전개되어 기존 패러다임의 위기를 초래하기 시작하였고, 세계적인 각축전이 진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화는 조용한 혁명이지만 그 파급 효과는 엄청나게 큰 충격과 놀라움을 가져올 지도 모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앞서서 준비하지 않는다면 경쟁에서 뒤쳐진 패배의 쓰라림이 놀라움보다도 더 클 것이라는 점이다.
1993년 미국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전자정부의 비전이 제시된 지 10년이 지난 지난 2002년에 와서야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11대 사업이 완료되었다. 새로온 정보기술 패러다임에 기반을 둔 ‘유비쿼터스 정부'를 구현하는 핵심 사업이 언제쯤 우리나라에서 완성될지는 모른다. 그러나 과거의 전자정부 구현 과정에서 보듯이 10년이라는 기간이 무색할 정도로 비전이 공유되고, 사업이 계획, 추진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나타난바 있다. 따라서 이제는 정부차원에서 국가정보화의 새로운 방향으로 유비궈터스 패러다임을 수용하고 u-Government를 구현해 나가기 위한 학문적, 정책적 연구와 함께 지금까지 정부가 추진해온 여러 가지 정부의 정보화 사업에서 보여준 실패와 문제점을 거울삼아 진정한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전자정부 구현에 모든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선경, ‘차세대 전자도시정부의 행정서비스기반 도입가능성 탐색에 관한 연구
-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서울 시립대 박사학위 논문, 2003.
하원규,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2005.09.21.
최남희,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활용한 U-Goverment의 기본구도와 추진과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3,춘계학술대회.
김재윤, “IT산업의 미래: 기술과 방향”. 삼성경제연구소, 2003.
디지털 타임즈,. “e리포트: ITA, 기업 정보기술 통합. 전사적 관리”, 2004 .6월3일자.
정보통신부 정보화기획실. 2003. Broadband IT Korea건설을 위한 광대역통합망 구축 추진 계획안(2003.7).
하원규, 「U-KOREA 2006 정비방향과 구축전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3.
연승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시대," 전자공학회지 제30권 제11호, 2003.
김선경, “유비쿼더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전자정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정부연구소,2003.
하원규, 이미숙, 홍영교, "UIT 혁명 시대를 전망한 BcN의 발전방향과 조건," Telecommunications Review 특집부록 통권 89호, 2005.
하원규, ,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의 공간연계론적 접근시각에 따른 신국가정보화 방향정립
및 구성체계 : '초공간'구상과 'e-Korea'모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1.
하원규, 김동환, 최남희,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 u-Korea 비전과 전략」, 전자 신문사, 2003. 04. 23일자..
다섯째는 유비쿼터스 정보화 시대에 정보서비스를 활용하는데 따르는 실제 활용상의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중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정보화는 네트워크 간에 이질성 문제로 인해 무선 서비스를 활용하는 실제적인 측면에도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차역에서 행정정보서비스를 무선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차역에서는 특정 접근포인트를 사용했지만 기차역에서 한참 벗어난 경우에는 다른 접근 포인트를 이용해야 하므로 사용자는 두 가지 네트워크 사이를 왔다갔다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이질성(Network Heterogeneity)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한편 이처럼 네트워크의 적용범위가 충분치 못한 범역이 존재하여 즉 네트워크의 적용범위를 벗어난 dead spot이존재하여 무선으로 온라인에서 작업하는 것이 오히려 비능률적인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면 서비스를 활용하는 시민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무결절하게(seemless) 연결되지 않는다고 느낄 것이고 그에 따라 활용성이 저해될 것이다. 따라서 무선의 온라인 서비스의 경우 무결절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최종 사용자는 무선·모바일 네트워크의 사용을 선호하지 않을 것이므로 이들 과제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전자정부 기반 상황 하에서 보다 정보자원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정보자원의 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시스템 안전이나 국민들의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가 더욱 심각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유비궈터스 정보화는 수많은 네트워크의 형성과 접속으로 개인의 정보보완문제에 더욱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들 문제에 대한 기술적, 제도적 보완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Ⅳ. 결 론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국가적 총력을 기울여 정보화를 추진해왔다. 그렇다면 이 시점에서도 국가정보화의 미래의 방향은 올바르게 설정된 것인가? 그리고 그 하부 계획들은 적정한 목표와 내용 하에 수림된 것인가? 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와있다고 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정보기술기반이 차세대 국가정보화 환경이 될 것이라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인식과 정책적 준비의 타이밍이 늦을 경우 21세기 국가발전은 상당부분 뒤쳐질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은 이미 일본주도형 유비쿼터스 사회 모델을 세계모델화 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놓고 있다. 사람, 컴퓨터, 사물이 언제, 어디서나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유비쿼터스화 패러다임은 이미 전개되어 기존 패러다임의 위기를 초래하기 시작하였고, 세계적인 각축전이 진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화는 조용한 혁명이지만 그 파급 효과는 엄청나게 큰 충격과 놀라움을 가져올 지도 모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앞서서 준비하지 않는다면 경쟁에서 뒤쳐진 패배의 쓰라림이 놀라움보다도 더 클 것이라는 점이다.
1993년 미국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전자정부의 비전이 제시된 지 10년이 지난 지난 2002년에 와서야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11대 사업이 완료되었다. 새로온 정보기술 패러다임에 기반을 둔 ‘유비쿼터스 정부'를 구현하는 핵심 사업이 언제쯤 우리나라에서 완성될지는 모른다. 그러나 과거의 전자정부 구현 과정에서 보듯이 10년이라는 기간이 무색할 정도로 비전이 공유되고, 사업이 계획, 추진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나타난바 있다. 따라서 이제는 정부차원에서 국가정보화의 새로운 방향으로 유비궈터스 패러다임을 수용하고 u-Government를 구현해 나가기 위한 학문적, 정책적 연구와 함께 지금까지 정부가 추진해온 여러 가지 정부의 정보화 사업에서 보여준 실패와 문제점을 거울삼아 진정한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전자정부 구현에 모든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선경, ‘차세대 전자도시정부의 행정서비스기반 도입가능성 탐색에 관한 연구
-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서울 시립대 박사학위 논문, 2003.
하원규,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2005.09.21.
최남희,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활용한 U-Goverment의 기본구도와 추진과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3,춘계학술대회.
김재윤, “IT산업의 미래: 기술과 방향”. 삼성경제연구소, 2003.
디지털 타임즈,. “e리포트: ITA, 기업 정보기술 통합. 전사적 관리”, 2004 .6월3일자.
정보통신부 정보화기획실. 2003. Broadband IT Korea건설을 위한 광대역통합망 구축 추진 계획안(2003.7).
하원규, 「U-KOREA 2006 정비방향과 구축전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3.
연승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시대," 전자공학회지 제30권 제11호, 2003.
김선경, “유비쿼더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전자정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정부연구소,2003.
하원규, 이미숙, 홍영교, "UIT 혁명 시대를 전망한 BcN의 발전방향과 조건," Telecommunications Review 특집부록 통권 89호, 2005.
하원규, ,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의 공간연계론적 접근시각에 따른 신국가정보화 방향정립
및 구성체계 : '초공간'구상과 'e-Korea'모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1.
하원규, 김동환, 최남희,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 u-Korea 비전과 전략」, 전자 신문사, 2003. 04. 23일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