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아동의 통증관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아동의 통증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통증의 정의와 이론

Ⅱ. 아동의 통증에 관한 연구

Ⅲ. 아동의 통증 관리 장애 요인

Ⅳ. 아동의 통증 관리 장애 해결 방안

Ⅵ. 아동의 통증 사정

Ⅶ. 사정 도구의 정의

Ⅷ. 통증관리

Ⅸ. 발달단계별 아동의 투약

본문내용

anil, alfentanil)은 morphine 보다 작용시간이 더욱 짧으나, 50~100배 더 강력하게 작용한다. histamine을 덜 분비하여 혈관 확장과 소양감이 덜 일어난다. 효능이 짧기 때문에 단시간 고통스러운 절차(골수천자, 흉관 삽입, 화상 드레싱 교환)를 수행하거나 아동의 위태로운 질병에 적절하다. 아동들에게 Fentanyl patch(Duragesic) 사용은 제한한다. 이는 만성 통증에 사용되는데 체중이 성인에 근접한 청년기에 사용한다. 경피 Fentanyl 25㎍/hr은 대략 비경구적morphine 15㎎/24hr 또는 경구적 morphine 90㎎/24hr에 해당한다.
그 밖에 Hydromorphone(Dilaudid)은 morphine과 매우 유사하지만 6배 더 강력하다. 암환자의 통증관리에 사용되어진다. Methadone은 morphine과 효능이 동등하다. 구강이나 정맥투여 후에 잘 흡수된다. 작용이 오래 지속되는데, 통증 수준에 따라 적절히 투여해야 한다.
Meperidine(Demerol)은 알레르기, 다른 opioids에 내성이 있는 아동에게 단기간의 통증관리에만 사용한다. morphine의 이점을 가지고 있고 진통시간은 morphine보다 짧다. 대사산물인 nomeperidine은 두 번만 사용하더라도 경련과 신경불안, 환각과 흥분을 일으킬 수 있다.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하며 수술 후에 흔히 사용되며 다른 처치 시에 다른 약과 함께 투여한다.
4) 경막 외 진통제
통증투약은 경막 외 삽입한 도관으로 투여할 수 있는데 아동의 등에 폐쇄드레싱으로 고정한다. 통증 전달 신경에 직접 투여하므로 소량 투여해야 한다. 보통 opioids보다 부작용이 적다. 복부, 항문, 비뇨생식기 치료와 개심술, 흉관술, 사지 정형외과적 수술을 받는 아동들에게 적당하다. 경막 외 진통제의 간호는 심장모니터와 맥박산소측정기로 감시한다. 통증이 충분히 경감하는지, 원하지 않는 부작용이 일어나는지, 도관 배치에 따른 합병증이 있는지 사정한다. 카테터를 잡아당기거나 팽팽하게 하는 행위를 피하게 하도록 한다. 4시간마다 감각 폐색 수준을 사정한다. 자주 카데터가 빠지는지, 출혈, 뇌 척수액 유출, 삽입부위의 혈종 등을 감시해야 한다. 다른 부작용에는 변비, 오심, 구토, 소변 정체, 운동중추 차단, 감각중추 차단 등이 있다.
Ⅸ. 발달단계별 아동의 투약 - 정서적 접근
1) 출생~3개월
투약하는 동안 머리를 잘 지지한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투약방법:
- 약물을 우유병꼭지에 넣어서 투여할 수 있다. 영아가 꼭지를 빨아서 비우면, 서서히 약물을 첨가한다.
- 주사기나 점적기는 입 안쪽을 향해 잇몸 한편에 위치시킨다.
- 작은 숟가락이나 컵을 이용하여 소량을 서서히 투여할 수 있다.
2) 3~12개월
약물투여 동안 영아를 편안히 안아준다.
발달정도에 따라 다양한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주사기, 스푼, 컵)
투약 후 영아를 안아주거나 토닥거려 준다.
영아 후기 아동에게는 무슨 일을 할 것인가를 간단히 말하고, 주사를 놓는다.
주사 맞는 동안 무엇을 쳐다보게 하거나 장난감을 갖도록 한다.
3) 1~3세
투약하기 전에 아동이 할 일을 설명하고, 투약에 관한 선택에 관여시킨다.
아동의 요구에 따라 컵, 스푼, 주사기 등을 사용한다.
인형놀이나 시범을 통해 아동을 준비시킨다.
약의 맛에 대해 솔직하게 말해준다.
약을 잘 복용한 아동에게 즉시 긍정적인 신체접촉이나 언어적 반응을 해준다. 반항행동은 그냥 지나쳐 버린다.
아동에게 무엇을 할 것인지 말하고 주사 한다; 간단한 단어와 짧은 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 일은 잠깐이면 끝나니까 그 다음에는 놀 수 있다\". 주사 맞는 동안에 쳐다볼 수 있는 것이나 가지고 놀 것을 제공한다.
확고하고 일관성 있는 방법을 취한다; 유아의 긍정적인 행도에 대해서는 보상을 해주고 부정적인 행동은 지나쳐 버린다; 주사 맞는 절차 중에서 일부분을 맡게 한다. 예: 반창고를 들고 있게 한다.
4) 3~6세
약을 먹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너무 장시간 이해시키려고 하거나 논쟁하지 말고, 확고하게 먹어야 한다고 잘라 말한다.
아동의 협조를 얻기 위해, 아동으로 하여금 인형에게 주사기나 컵을 이용하여 투약하는 놀이를 행한다.
투약 후 즉시 칭찬을 해준다.
아동에게 어떤 느낌을 갖게 될 것이며 어떻게 하면 쉽게 맞을 수 있는지를 말해준다; 예를 들어,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말을 하고 주사하기 전에 간호사의 감독하에 주사기구를 보고 만지게 한다.
아동에게 주사는 잘못된 행위의 벌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고, 간단하고 솔직하게 주사 맞는 이유을 설명한다.
가능하다면 아동에게 주사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예를 들어, 어느 쪽 다리에 주사를 놓을까 물어본다; 대응기전을 발달시킨다.
5) 6~12세
아동과 앉아서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아동에게 가장 적절한 형태로 투약한다. 필요하면 씹을 수 있는 정제나 물약을 제공한다.
간호사와 함께 있을 때 약을 삼키도록 확고하고 일관성 있게 요구한다.
왜 주사를 맞아야 하는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가능하다면 아동이 주사부위를 선택하게 하고 협조에 대해 칭찬해준다.
투약에 대해 질문할 때 가능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며, 주사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를 말하게 한다.
프라이버시를 존중해 준다.
Reference
1)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 Vol.9 No.2 / 140-148 / April 2003 / 신희선, 김동희
2) 원리와 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 상권 제3판 / 2009 / 송지호, 조결자 외 / 현문사 /
3) 아동간호학 / Ⅰ편 / p 661~p 675 / 2000년 / 조결자 외7명 / 현문사
4) 기본간호학 / 下 / 2007 / 양선희 외 / 현문사
5) 내·외과 간호학Ⅰ 기본개념틀 / 2002 / 최정신 외 공저 / 형설출판사
6) 만성질환 : 영향과 중재 / 2002 / 신경림 외 공저 / 현문사
7) 아동통증관호에 대한 국내외 연구 비교 / 2002 / 윤혜봉 / 아동간호 학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7.07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3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