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영향을끼친 5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에영향을끼친 5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현대 미국의 이해

- 미국사회에 그들이 남긴 것은?


․리더십대통령 - 프랭클린 루즈벨트 [Franklin Delano Roosevelt]
․50년대 적색공포의 선두주자 - 조지프 매카시[Joseph Raymond McCarthy]
․흑인저항운동의 행동주의자 - 말콤엑스 [Malcolm X]
․60년대 락의 전설 -비틀즈 [The Beatles]
․팝 아트의 거장, 그 자신의 언어로써의 예술가 - 앤디워홀[Andy Warhol, 1928 - 1987]

본문내용

들며 결국 대상의 개성이 사라진 무감각한 기계적 이미지를 창출해 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미디어를 통해 신화로 만들어지는 스타를 봄과 동시에 우리의 삶과 전혀 연관성이 없을 법한 하나의 허상을 동시에 보게된다.
워홀과 현대 산업사회 켐벨스프(일상용품) 시리즈
워홀은 또한 그의 작품의 주제나 소재를 콜라병, 수프등의 일상 적이고 비개성적인 사물등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소재의 선택의 이유에 대한 물음에 워홀은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이 나라 미국의 위대성은 가장 부유한 소비자들도 본질적으로 가장 가난한 소비자들과 똑같은 것을 구입한다는 전통을 세웠다는 점이다. T.V 광고에 등장하는 코카 콜라는 리즈 테일러도, 미국 대통령도 그것을 마신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당신들도 마찬가지로 콜라를 마실 수 있다. 콜라는 그저 콜라일 뿐 아무리 큰 돈을 준다 하더라도 길 모퉁이에서 건달이 빨아대고 있는 콜라보다 더 좋은 콜라를 살 수는 없다. 유통되는 콜라는 모두 똑같다.’ 이 말은 현대의 대량 생산품에 의해 비롯되는 소비문화의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일반 대중의 삶이 선전 광고에 의해 대량 생산품들과 빈번히 접촉하고 영향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 Factory에서의 작업 앤디워홀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예술과 작가의 틀을 깨뜨린 작가였다. 이것은 그의 독특한 작업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으며, 이것은 또한 현대 미디어 사회의 특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예가 되고 있다. Factory라 불렸던 워홀의 작업실은 완벽하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사회적으로 저명한 문화계 인사들을 포함해 동성 연애자, 영화제작자, 화가, 시인, 학생 등등의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대체적으로 기존 사회의 제도와 전통에 반감을 가진 인물들로 구성된 이들은 끊임없이 워홀의 작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쏟아냈고 워홀은 그 아이디어를 수용해 작품을 제작했다.
- 실크 스크린작업에서 보여지는 대량생산과 소비의 문화 1962년부터 시작된 워홀의 실크 스크린 기법은 그 대량 생산성과 익명성으로 인해 현대 산업사회와 많이 닮아 있다. 실크 스크린은 누구든지 내용과 색채를 결정만 하면 그 다음은 기계적인 작업이었으므로 무수한 반복과 복제가 가능한 제작 방식이었다.
이는 곧 예술작품도 기계적이고 대량생산 될 수 있는 하나의 상품이라는 것을 워홀은 보여준다. ‘돈을 버는 것도 예술이고, 일하는 것도 예술이고, 비즈니스야 말로 최고의 예술이다’라는 워홀의 말에서 보이듯이 워홀은 예술과 작가의 엄숙주의에 반했던 작가였으며 자신의 작품과 예술 혼을 기꺼이 현대 소비사회의 흐름에 맡겼던, 예술가이기이전에 대단한 상술 가였던 것이 분명하다.
또한 사진을 그 재료로 한 실크스크린 제작 방식은 원본을 사진과 실크스크린이라는 기계적인 과정을 두 번이나 거치게 만들어 이미지들은 본모습을 바뀌게 만든다.
여기에다가 워홀은 이미지의 반복을 지루하게 되풀이함으로서 사람들이 벽지 무늬에 무관심한 것과 마찬가지의 원리로 그 대상의 이미지를 거의 소멸시켜버린다. 이러한 워홀의 작업은 곧 피상적이고 개체감이 상실된 현대 사회의 건조한 사회문화를 반영한 듯이 보여진다. 따라서 앤디워홀이 집중적으로 다루었던 소재들은 수프 캔등의 일상적 소비품과 연예계 스타, 정치인등의 매스미디어가 생산한 대중적인 이미지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들은 워홀만의 독특한 작업방식을 통해 궁극적으로 60년대의 미국, 나아가 현대 산업사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구로 이용되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두말할 것도 없이 이 시대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시대이며 대중문화와 스타의 이미지가 지배적인 조류가 된 시대이다.
또한 워홀 자신의 삶 역시 마치 하나의 작품인양 그가 창조해낸 작품들과 연관짓지 않을 수 없다. 사진, 실크스크린, 이미지의 반복, 재난시리즈에서 보였던 초연한 시각 등을 통해 중성적인 무관심과 냉담함을 유지했던 워홀은 그의 삶마저도 실체가 불분명한 하나의 이미지로서 존재했고 결국 그것은 워홀을 하나의 신화로 만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나는 기계가 되고싶다.’ 라고 말했던 워홀은 자신이 살았던 시대를 명확히 반영한 인물이었다. 현대적인 공업, 소비. 향락 사회의 단면을 예리하게 포착해 보여준 하나의 거울과 같은 존재였다.
참고자료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네이버 백과사전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앨런 브링클리 지음, 황혜성 외 역, 휴머니스트
‘미국사 -이주영 저’ /대한교과서/ 1997
‘신좌파의 상상력-세계적 차원에서 본 1968’ 조지 카치아피카스 저/ 이후 / 1999
『희망의 대통령 루즈벨트』, 김형식, 지구문화사
로버크 그리피스 지음. 하재룡 옮김.(1997) 마녀사냥 -매카시/매카시즘. 백산서당.
케네스 C. 데이비스 지음. 이순호 옮김. (2004) 미국에 대해 알아야할 모든 것. 책과 함께.
김봉중 지음. (2006) 카우보이들의 외교사. 푸른역사.
http://blog.naver.com/rowkcn
http://blog.naver.com/jm051534?Redirect=Log&logNo=80025646364/140018448559
http://www.pilhwa.com/read.jsp?no=307
http://blog.naver.com/haert_a/20042467839
『앤디워홀 손안에 넣기(미술가,딜러, 경매하우스, 그리고 컬렉터들의 숨은이야기)』,리처드폴스키 지음 박상미 역, 마음산책
『30분에 읽는 앤디워홀』,제프니 콜슨지음, 권경희역, 랜덤하우스중앙
http://www.lucidcafe.com/library/95aug/warhol.html
현대 미국의 이해
5명의 인물을 살펴보기
리더십대통령 - 프랭클린 루즈벨트 [Franklin Delano Roosevelt]
50년대 적색공포의 선두주자 - 조지프 매카시[Joseph Raymond McCarthy]
흑인저항운동의 행동주의자 - 말콤엑스 [Malcolm X]
60년대 락의 전설 -비틀즈 [The Beatles]
팝 아트의 거장, 그 자신의 언어로써의 예술가 - 앤디워홀[Andy Warhol, 1928 - 1987]
역사문화학부
0513063
이상선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7.16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0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