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목차
1. 위생곤충학
(1) 종 합
(2) 바 퀴
(3) 모 기
(4) 파 리
2. 위생관계법규
: 혼동하기 쉬운 문서 보관기간과 각각의 책임과 권한 요약정리.
3. 공중보건학
4. 식품위생학
5. 환경위생학
(1) 종 합
(2) 바 퀴
(3) 모 기
(4) 파 리
2. 위생관계법규
: 혼동하기 쉬운 문서 보관기간과 각각의 책임과 권한 요약정리.
3. 공중보건학
4. 식품위생학
5. 환경위생학
본문내용
(약품, 경제적 지원은 안함)
4. 조사연구사업
5. 국제검역대책
6. 모자보건의 향상
7.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국제표준화
* 보건통계의 의의
1. 보건사업의 필요성 결정
2. 보건사업에 대한 공공지원 촉구, 보건입법 촉구
3. 보건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4. 보건사업의 행정활동 지침
5. 지역사회의 보건수준 평가
6. 보건사업의 기초자료
7. 보건사업의 성패 결정자료
8. 보건사업의 기술발전 도모
* 부양비
= 14세 이하의 인구 수 + 65세 이상의 인구 수 / 경제활동인구(15~59세 인구 수) × 100
= 생산능력이 없는 인구 / 생산능력이 있는 인구 × 100
= 비생산층 인구 / 생산층 인구 × 100
* 보건소의 업무내용
1. 국민건강증진, 보건교육, 구강보건 및 영양개선사업
2. 전염병의 예방, 관리 및 진료
3.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사업
4. 노인보건사업
5. 의료인 및 의료기관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
6. 공중위생 및 식품위생
7. 의료기사, 의무기록사, 안경사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
8. 응급의료에 관한 사항
9. 공중보건의사, 보건진료원, 보건진료소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
10. 약사에 관한 사항과 마약, 향정신성 의약품의 관리에 관한 사항
11. 정신보건에 관한 사항
12. 가정,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사업
13. 지역주민에 대한 진료, 건강진단 및 만성퇴행성 질환 등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
14. 보건에 관한 실험, 검사에 관한 사항
15. 장애인의 재활사업 기타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사업
16. 기타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의 향상, 증진, 연구 등에 관한 사항
* 산포도 (절대적)
: 어떤 집단의 변량의 분산정도를 계량하는 도수측정치
1. 측정치: 분산, 표준편차, 변이계수
2. 표준편차: 산포도의 대소하는데 가장 잘 사용. 분산의 제곱근
3. 분 산: 편차 제곱의 평균, 산포의 정도를 나타냄
4. 평균편차: 측정치들과 평균치와의 편차에 대한 절대값의 평균
(평균치로부터 편차의 절대치의 평균)
5. 변이계수(상대적 산포도): 표준편차 S를 평균 X로 나눈 값. C.V = S / X × 100
6. 범 위: 관측치들 중에서 최대치 - 최소치
7. 단위가 다를 때 변이계수 사용
8. 평균치가 대단히 틀릴 때 변이계수 사용
* 병원체에 의한 전염병의 분류병 원 체
질 병
세 균 성
디프테리아, 결핵, 성홍열, 백일해,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 페스트, 매독, 임질, 나병 etc
Virus성
일본뇌염, 유행성이하선염, 홍역, 폴리오, 두창, 풍진, 유행성간염, 광견병, 황열, B형간염, 수두, 유행성출혈열
(신증후군출혈열), 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etc
리케치아성
발진티푸스, 발진열, Q열 록키산홍반열, 양충병 etc
원 충 성
아메바성 이질, 말라리아(Malaria) etc
* 전염병의 생물학적 전파
1. 증식형: 흑사병, 황열, 일본뇌염, 재귀열, 발진티푸스, 발진열 etc
2. 발육형: 사상충병, 로마사상충(loa loa) etc
3. 발육증식형: 말라리아, 수면병 etc
4. 경란형: 양충병(쯔쯔가무시병), 록키산홍반열, 진드기매개재귀열 etc
5. 배설형: 발진티푸스, 발진열, 이매개재귀열 etc
* 정기 예방접종 전염병
: 디프테리아, 백일해, 홍역, 풍진, 수두, 결핵, 폴리오(소아마비), B형간염, 유행성이하선염
(제 2군 전염병과 모두 같고, 일본뇌염과 결핵의 차이임)
* 인축공통전염병분 류
경 구 전 염 병
세 균 성
결핵, 탄저, 브루셀라증, 비브리오증, 렙토스피라증, 리스테리아증, 살모넬라증 파스튜렐라증, 야토병, 돈단독
Virus성
뇌염, 광견병, 뉴캐슬병, 요슬병, 임파구성맥락수막염 etc
리케치아성
Q열, 발진열, 앵무새증 양충병(쯔쯔가무시병) etc
진 균 성
피부진균병 etc
원 충 성
톡소포자충증
기생충성
<디스토마(흡충증)>
간디스토마
제1 중간숙주: 왜우렁이
제2 중간숙주: 담수어
(붕어, 잉어)
폐디스토마
제1 중간숙주: 다슬기
제2 중간숙주: 게, 가재
<조충증>
무구조충증: 소
유구조충증: 돼지
<선모충증>
* 질병예방활동 [Leavel & Clark교수]
1. 1차예방: 예방접종, 환경위생관리, 생활조건개선, 보건교육, 모자보건사업 etc 예방의학과 보건과학 중심
2. 2차예방: 조기질병발견(건강진단), 전염병환자의 조기치료,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후유증 방지 etc 치료의학 중심
3. 3차예방: 재활치료, 사회생활복귀 etc 재활의학 중심
* 공적부조
: 생활보호, 의료급여, 재해구호, 보훈사업
* 세계보건기구 [WHO]
1. 우리나라는 1949년 65번째 가입국
2.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소에 속해 있다 (본부는 필리핀의 마닐라)
3. 한국, 중국, 호주, 일본, 말레이시아 등으로 구성
* 순재생산율
1. 1.0: 인구 정지
2. 1.0 이상: 인구 증가
3. 1.0 이하: 인구 감소
* 조자연증가율
= 연간 출생 수 - 연간 사망 수 / 인구
× 1,000
= 조출생율 - 조사망률
* C.P. Blacker의 인구성장 5단계 분류
1. 제 1단계(고위정지기)
: 고사망, 고출생률인 인구정지형. 아프리카 지역의 후진국형 인구
2. 제 2단계(초기확장기)
: 저사망, 고출생률인 인구증가형. 경제개발 초기 단계의 인구
3. 제 3단계(후기확장기)
: 저사망, 저출생률인 인구성장둔화형. 한국중미지역 국가
4. 제 4단계(저위정지기)
: 사망률과 출생률이 최저로 인구성장정지형. 일본러시아 등 선진국형의 인구
5. 제5단계(감퇴기)
: 사망률이 출생률보다 높아져 인구감소경향형. 스웨덴유럽호주뉴질랜드
[ ● 식품위생학 ● ]
* 대장균의 정성시험법의 순서
: 추정시험→ 확정시험→ 완전시험
* 세균성 식중독의 분류
1. 감염형 식중독: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 병원성대장균(장출혈성), 프로테우스, 아리조나, 캠필로박터, 여시니아, 리스테리아
2. 독소형 식중독: 보툴리누스, 포도상구균, 세레우스
* 식품과 독성
1. 독 버 섯: Muscarine [무스카린]
2. 감 자: Solanine [솔라닌],
부패한 감자: Sepsine [
4. 조사연구사업
5. 국제검역대책
6. 모자보건의 향상
7.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국제표준화
* 보건통계의 의의
1. 보건사업의 필요성 결정
2. 보건사업에 대한 공공지원 촉구, 보건입법 촉구
3. 보건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4. 보건사업의 행정활동 지침
5. 지역사회의 보건수준 평가
6. 보건사업의 기초자료
7. 보건사업의 성패 결정자료
8. 보건사업의 기술발전 도모
* 부양비
= 14세 이하의 인구 수 + 65세 이상의 인구 수 / 경제활동인구(15~59세 인구 수) × 100
= 생산능력이 없는 인구 / 생산능력이 있는 인구 × 100
= 비생산층 인구 / 생산층 인구 × 100
* 보건소의 업무내용
1. 국민건강증진, 보건교육, 구강보건 및 영양개선사업
2. 전염병의 예방, 관리 및 진료
3.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사업
4. 노인보건사업
5. 의료인 및 의료기관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
6. 공중위생 및 식품위생
7. 의료기사, 의무기록사, 안경사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
8. 응급의료에 관한 사항
9. 공중보건의사, 보건진료원, 보건진료소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
10. 약사에 관한 사항과 마약, 향정신성 의약품의 관리에 관한 사항
11. 정신보건에 관한 사항
12. 가정,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사업
13. 지역주민에 대한 진료, 건강진단 및 만성퇴행성 질환 등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
14. 보건에 관한 실험, 검사에 관한 사항
15. 장애인의 재활사업 기타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사업
16. 기타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의 향상, 증진, 연구 등에 관한 사항
* 산포도 (절대적)
: 어떤 집단의 변량의 분산정도를 계량하는 도수측정치
1. 측정치: 분산, 표준편차, 변이계수
2. 표준편차: 산포도의 대소하는데 가장 잘 사용. 분산의 제곱근
3. 분 산: 편차 제곱의 평균, 산포의 정도를 나타냄
4. 평균편차: 측정치들과 평균치와의 편차에 대한 절대값의 평균
(평균치로부터 편차의 절대치의 평균)
5. 변이계수(상대적 산포도): 표준편차 S를 평균 X로 나눈 값. C.V = S / X × 100
6. 범 위: 관측치들 중에서 최대치 - 최소치
7. 단위가 다를 때 변이계수 사용
8. 평균치가 대단히 틀릴 때 변이계수 사용
* 병원체에 의한 전염병의 분류병 원 체
질 병
세 균 성
디프테리아, 결핵, 성홍열, 백일해,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 페스트, 매독, 임질, 나병 etc
Virus성
일본뇌염, 유행성이하선염, 홍역, 폴리오, 두창, 풍진, 유행성간염, 광견병, 황열, B형간염, 수두, 유행성출혈열
(신증후군출혈열), 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etc
리케치아성
발진티푸스, 발진열, Q열 록키산홍반열, 양충병 etc
원 충 성
아메바성 이질, 말라리아(Malaria) etc
* 전염병의 생물학적 전파
1. 증식형: 흑사병, 황열, 일본뇌염, 재귀열, 발진티푸스, 발진열 etc
2. 발육형: 사상충병, 로마사상충(loa loa) etc
3. 발육증식형: 말라리아, 수면병 etc
4. 경란형: 양충병(쯔쯔가무시병), 록키산홍반열, 진드기매개재귀열 etc
5. 배설형: 발진티푸스, 발진열, 이매개재귀열 etc
* 정기 예방접종 전염병
: 디프테리아, 백일해, 홍역, 풍진, 수두, 결핵, 폴리오(소아마비), B형간염, 유행성이하선염
(제 2군 전염병과 모두 같고, 일본뇌염과 결핵의 차이임)
* 인축공통전염병분 류
경 구 전 염 병
세 균 성
결핵, 탄저, 브루셀라증, 비브리오증, 렙토스피라증, 리스테리아증, 살모넬라증 파스튜렐라증, 야토병, 돈단독
Virus성
뇌염, 광견병, 뉴캐슬병, 요슬병, 임파구성맥락수막염 etc
리케치아성
Q열, 발진열, 앵무새증 양충병(쯔쯔가무시병) etc
진 균 성
피부진균병 etc
원 충 성
톡소포자충증
기생충성
<디스토마(흡충증)>
간디스토마
제1 중간숙주: 왜우렁이
제2 중간숙주: 담수어
(붕어, 잉어)
폐디스토마
제1 중간숙주: 다슬기
제2 중간숙주: 게, 가재
<조충증>
무구조충증: 소
유구조충증: 돼지
<선모충증>
* 질병예방활동 [Leavel & Clark교수]
1. 1차예방: 예방접종, 환경위생관리, 생활조건개선, 보건교육, 모자보건사업 etc 예방의학과 보건과학 중심
2. 2차예방: 조기질병발견(건강진단), 전염병환자의 조기치료,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후유증 방지 etc 치료의학 중심
3. 3차예방: 재활치료, 사회생활복귀 etc 재활의학 중심
* 공적부조
: 생활보호, 의료급여, 재해구호, 보훈사업
* 세계보건기구 [WHO]
1. 우리나라는 1949년 65번째 가입국
2.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소에 속해 있다 (본부는 필리핀의 마닐라)
3. 한국, 중국, 호주, 일본, 말레이시아 등으로 구성
* 순재생산율
1. 1.0: 인구 정지
2. 1.0 이상: 인구 증가
3. 1.0 이하: 인구 감소
* 조자연증가율
= 연간 출생 수 - 연간 사망 수 / 인구
× 1,000
= 조출생율 - 조사망률
* C.P. Blacker의 인구성장 5단계 분류
1. 제 1단계(고위정지기)
: 고사망, 고출생률인 인구정지형. 아프리카 지역의 후진국형 인구
2. 제 2단계(초기확장기)
: 저사망, 고출생률인 인구증가형. 경제개발 초기 단계의 인구
3. 제 3단계(후기확장기)
: 저사망, 저출생률인 인구성장둔화형. 한국중미지역 국가
4. 제 4단계(저위정지기)
: 사망률과 출생률이 최저로 인구성장정지형. 일본러시아 등 선진국형의 인구
5. 제5단계(감퇴기)
: 사망률이 출생률보다 높아져 인구감소경향형. 스웨덴유럽호주뉴질랜드
[ ● 식품위생학 ● ]
* 대장균의 정성시험법의 순서
: 추정시험→ 확정시험→ 완전시험
* 세균성 식중독의 분류
1. 감염형 식중독: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 병원성대장균(장출혈성), 프로테우스, 아리조나, 캠필로박터, 여시니아, 리스테리아
2. 독소형 식중독: 보툴리누스, 포도상구균, 세레우스
* 식품과 독성
1. 독 버 섯: Muscarine [무스카린]
2. 감 자: Solanine [솔라닌],
부패한 감자: Sepsine [
추천자료
환경호르몬 문제 연구
[식품첨가물][식품첨가물가공식품]식품첨가물의 개념과 종류, 식품첨가물의 유해성, 대표적 ...
[식품첨가물][식품첨가물피해]식품첨가물의 등장 배경, 식품첨가물의 종류와 역할, 식품첨가...
[인스턴트식품][인스턴트식품 폐해][인스턴트식품 폐해를 줄이는 식사법]인스턴트식품의 개념...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개념,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생산...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균과 보툴리누스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황색포도상구균과 장염비브리오...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균과 장염비브리오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세레우스균과 세균성이질균...
[식품][음식][식품공전][식품광고][식품색소][식품표시][식품조직][식품위생]식품(음식)과 식...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의 설정,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의 점검, 학교환...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유해성과 윤리성,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
유전자재조합식품(유전자조작식품, GMO)의 필요성, 유전자재조합식품(유전자조작식품, GMO)의...
유전자조작식품(유전자변형식품, GMO)의 위험성과 잠재력, 유전자조작식품(유전자변형식품, G...
[식품첨가물][감미료][조미료][향미료][향신료][산미료][착색료]식품첨가물과 감미료, 식품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