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웨덴의 과학기술 ]
■ 스웨덴의 IT산업
■ 스웨덴의 BT산업
■ 스웨덴의 나노기술
1. 스웨덴 IT산업 현황
(1) 정보화 노력
(2) IT 강국 스웨덴
(3) 무선통신 시스템 분야의 세계적 선도 주자
2. Kista Science Park
(1) 도시개요
(2) 시스타 사이언스 파크의 유래
(3) 혁신사례
3. 스웨덴 IT산업의 성공요인
4. 스웨덴 IT산업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핀란드의 과학기술산업 ]
<1> 핀란드의 과학기술산업
<2> 핀란드 바이오산업
<3> 대표적인 성공 사례
[핀란드의 IT 산업]
■ 핀란드의 IT산업 성공요인
■ 스웨덴의 IT산업
■ 스웨덴의 BT산업
■ 스웨덴의 나노기술
1. 스웨덴 IT산업 현황
(1) 정보화 노력
(2) IT 강국 스웨덴
(3) 무선통신 시스템 분야의 세계적 선도 주자
2. Kista Science Park
(1) 도시개요
(2) 시스타 사이언스 파크의 유래
(3) 혁신사례
3. 스웨덴 IT산업의 성공요인
4. 스웨덴 IT산업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핀란드의 과학기술산업 ]
<1> 핀란드의 과학기술산업
<2> 핀란드 바이오산업
<3> 대표적인 성공 사례
[핀란드의 IT 산업]
■ 핀란드의 IT산업 성공요인
본문내용
핀란드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곳이 바로 국가 과학기술정책위원회(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Council, STPC)이다. 국무총리가 의장이고 교육부장관, 산업부장관, 재무부장관이 부의장을 맡는다. 때에 따라서는 다른 부처의 장관들도 부의장으로 참여한다. 그 밑의 맴버로는 핀란드아카데미 원장, 기업인 대표, 근로자 대표, 국가기술위원장, SITRA대표 등 10여 명이 있다. 과학기술정책의 총괄조정을 관장하고 있으며, 혁신전략 수립, 우선순위 설정 및 부처 간 정책조정을 담당한다.
@R&D에 대한 전폭적 투자 , 집중
핀란드 전반의 R&D투자
혁신주도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1992년까지 R&D/GDP 비율을 2.2%로 증액한다는 목표는 경제위기 와중에서도 추진되었다. 2003년 핀란드의R&D/GDP 비율은 3.5%로 세계 2위 수준. 또한 현재 핀란드의 1인당 연구개발비는 707달러로 우리나라의 2배를 웃돌고 있다. 노동인구 1000명당 연구개발 인력도 16.4명으로 우리나라의 3배에 가깝다.
노키아의 R&D투자
-핀란드 전체 R&D의 30% 를 노키아의 R&D 가 점유
- 6만여 종업원 중 1/3은 R & D 관련 업무에 종사
- 14개국에 R & D 센터 운영 (글로벌 R & D 체계)
“신기술 개발은 정보통신 업체의 사활이 달린 문제다.” 노키아의 기업정신
99년 11.3% 투자 그 결과 CES 에서 5년 연속 이노베이션스 워너상 수상
@교육과 과학기술의 융합 + 훌륭한 산학협력 시스템
1980년대에 들어 핀란드는 도(道)마다 1개의 공과대학을 세우고,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과학도시(technopolis)를 건설했다. 자연계열 대학들과 각종 연구소들 뿐만 아니라 의과대학, 병원들도 모두 이 과학도시 내에 자리잡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과학도시의 인프라를 조성해주고 교수들을 유치했다. 전국에 흩어져 있던 기업들도 과학도시 내로 몰려들어 오고, 각종 연구소 재정 지원하고, 산·학협동에 의한 공동연구개발이 시작되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연구개발비를 지속적으로 집중 지원했다. 이같은 산·학·관의 삼위일체는 핀란드가 오늘날 세계 최첨단 기술국으로 발돋움한 원동력이 되었다
핀란드의 대표적 IT클러스터 오울루시 테크노폴리스 의 사례에서 몇가지 핀란드의 산학연 협력의강점 포인트를 제가 뽑았습니다.
Point1 국가라기보다는 하나의 클럽처럼 기업과 정부, 학교간 다양한 협력과 상호교류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이루어 진다는 점
-지식의 교류
Ex ) 제품개발에 문제가 생기면 IT클러스터 내의 기업 간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는 물론 장비와 실험 장소까지 지원한다
-제도적 교류
Ex ) 헬싱키 공대 교수는 6개월에서 최대 2년간 VTT에서 연구활동을 수행하면서 기업실무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VTT의 연구개발 인력들도 헬싱키 대학에서 강의를 맡아 현장의 지식을 전달하고 있다
Point2 . 산-학이 물리적 공간을 함께 함
Ex) 핀란드의 연구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국책기관인 기술개발센터(VTT)는 사무실이 아예 오울루와 함께 핀란드 주요 IT클러스터로 꼽히는 오타니에미의 헬싱키대학 내에 있다.
=> 정보교류를 위한 별도의 제도가 없이도 자연스럽게 필요한 정보를 서로 나누고 협력하는 문화가 정착
Point3. 세계 최고의 연구환경 조성과 냉혹하리 만큼 철저한 연구결과 평가.
좋은결과가 나오면 교수신분을 유지하면서 기업에 스카우트 또는 창업 그러나 결과가 나쁘면 스스로 퇴출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
Point4 현장중심의 인력양성
Ex)핀란드에 30여 개의 폴리테크닉이 운영되며 핀란드내 기업에 우수한 산업인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에브텍폴리테크닉만 해도 약 5000명의 학생이 기업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관련된 학업을 수행하고 있다
Point 5 각 기관이 협력하면서도 정부와 기업 학교가 각기 강점이 있는 고유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 시너지효과
핀란드의 뛰어난 수준의 정보통신 기술이 가지는 의미
세계 경제포럼 (WEF, World Economic Forum) 이 발표한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2001년 1위, 2002년 2위, 2003년 1위, 2004년 1위를 차지했다. 이와 같이 핀란드가 강력한 국가 경쟁력을 가지게 된 배경에는 핀란드가 이루어낸 지식기반(정보)사회화 와 그 핵심인 경쟁력 있는 IT과학기술이 있다.
핀란드정부의 뛰어난 지식기반사회화 국가발전전략 정책수립과 실행의 결과로 핀란드는 지식 혁명을 이루어 냈고, 뛰어난 IT과학기술 개발 SYSTEM과 이를 기반으로 한 경쟁력 있는 IT산업계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그 경쟁력을 계속 유지 하기 위해 R&D와 교육에 국가 기업 국민들이 집중과 꾸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그 결과 핀란드는 언제나 세계 최고급의 국가 경쟁력을 유지 할 수 있는 것이다.
핀란드의 IT과학기술력 을 중심으로 결론을 내리자면
핀란드의 IT 과학기술은 세계 최고이고, 이것은 핀란드 의 강력한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다.
핀란드의 IT과학기술력은 타국과의 경제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핀란드의 모든 힘을 집약한 강력한 무기이며, 이 무기는 매 순간 갉고 닦아지며 발전되고 있다.
@우리가 핀란드의 IT 과학기술의 사례에서 배워야 할 점, (나의 생각)
무엇보다도 핀란드의 기술혁신 지향적인 국가시스템 구축이야말로 핀란드가 강소국으로 우뚝 선 비결이다. 핀란드의 중요한 성공요인은 80년대 초 성장 동력이 약화되었을 때 자원주도의 성장모델을 과감히 버리고 혁신주도형으로 국가 시스템을 완전히 변화시켜 지식기반, 첨단 정보기술사회를 이루어 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80년대 우수한 투자주도형 발전단계를 거쳤다. 그러나 그 성공에 도취하여 90년대 초 혁신주도형 발전단계로 전환해야 할 타이밍을 놓치고 말았다. 이로 인해 지난 ‘잃어버린 10년’은 우리에게 IMF 외환위기라는 고통과 아픔을 가져다 줬다. 우리나라도 핀란드의 성공을 교훈 삼아 국가적인 혁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식기반 사회를 이루어서, 핀란드의 IT과학기술과 IT산업과 같이 특화된 강점을 가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R&D에 대한 전폭적 투자 , 집중
핀란드 전반의 R&D투자
혁신주도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1992년까지 R&D/GDP 비율을 2.2%로 증액한다는 목표는 경제위기 와중에서도 추진되었다. 2003년 핀란드의R&D/GDP 비율은 3.5%로 세계 2위 수준. 또한 현재 핀란드의 1인당 연구개발비는 707달러로 우리나라의 2배를 웃돌고 있다. 노동인구 1000명당 연구개발 인력도 16.4명으로 우리나라의 3배에 가깝다.
노키아의 R&D투자
-핀란드 전체 R&D의 30% 를 노키아의 R&D 가 점유
- 6만여 종업원 중 1/3은 R & D 관련 업무에 종사
- 14개국에 R & D 센터 운영 (글로벌 R & D 체계)
“신기술 개발은 정보통신 업체의 사활이 달린 문제다.” 노키아의 기업정신
99년 11.3% 투자 그 결과 CES 에서 5년 연속 이노베이션스 워너상 수상
@교육과 과학기술의 융합 + 훌륭한 산학협력 시스템
1980년대에 들어 핀란드는 도(道)마다 1개의 공과대학을 세우고,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과학도시(technopolis)를 건설했다. 자연계열 대학들과 각종 연구소들 뿐만 아니라 의과대학, 병원들도 모두 이 과학도시 내에 자리잡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과학도시의 인프라를 조성해주고 교수들을 유치했다. 전국에 흩어져 있던 기업들도 과학도시 내로 몰려들어 오고, 각종 연구소 재정 지원하고, 산·학협동에 의한 공동연구개발이 시작되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연구개발비를 지속적으로 집중 지원했다. 이같은 산·학·관의 삼위일체는 핀란드가 오늘날 세계 최첨단 기술국으로 발돋움한 원동력이 되었다
핀란드의 대표적 IT클러스터 오울루시 테크노폴리스 의 사례에서 몇가지 핀란드의 산학연 협력의강점 포인트를 제가 뽑았습니다.
Point1 국가라기보다는 하나의 클럽처럼 기업과 정부, 학교간 다양한 협력과 상호교류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이루어 진다는 점
-지식의 교류
Ex ) 제품개발에 문제가 생기면 IT클러스터 내의 기업 간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는 물론 장비와 실험 장소까지 지원한다
-제도적 교류
Ex ) 헬싱키 공대 교수는 6개월에서 최대 2년간 VTT에서 연구활동을 수행하면서 기업실무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VTT의 연구개발 인력들도 헬싱키 대학에서 강의를 맡아 현장의 지식을 전달하고 있다
Point2 . 산-학이 물리적 공간을 함께 함
Ex) 핀란드의 연구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국책기관인 기술개발센터(VTT)는 사무실이 아예 오울루와 함께 핀란드 주요 IT클러스터로 꼽히는 오타니에미의 헬싱키대학 내에 있다.
=> 정보교류를 위한 별도의 제도가 없이도 자연스럽게 필요한 정보를 서로 나누고 협력하는 문화가 정착
Point3. 세계 최고의 연구환경 조성과 냉혹하리 만큼 철저한 연구결과 평가.
좋은결과가 나오면 교수신분을 유지하면서 기업에 스카우트 또는 창업 그러나 결과가 나쁘면 스스로 퇴출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
Point4 현장중심의 인력양성
Ex)핀란드에 30여 개의 폴리테크닉이 운영되며 핀란드내 기업에 우수한 산업인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에브텍폴리테크닉만 해도 약 5000명의 학생이 기업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관련된 학업을 수행하고 있다
Point 5 각 기관이 협력하면서도 정부와 기업 학교가 각기 강점이 있는 고유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 시너지효과
핀란드의 뛰어난 수준의 정보통신 기술이 가지는 의미
세계 경제포럼 (WEF, World Economic Forum) 이 발표한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2001년 1위, 2002년 2위, 2003년 1위, 2004년 1위를 차지했다. 이와 같이 핀란드가 강력한 국가 경쟁력을 가지게 된 배경에는 핀란드가 이루어낸 지식기반(정보)사회화 와 그 핵심인 경쟁력 있는 IT과학기술이 있다.
핀란드정부의 뛰어난 지식기반사회화 국가발전전략 정책수립과 실행의 결과로 핀란드는 지식 혁명을 이루어 냈고, 뛰어난 IT과학기술 개발 SYSTEM과 이를 기반으로 한 경쟁력 있는 IT산업계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그 경쟁력을 계속 유지 하기 위해 R&D와 교육에 국가 기업 국민들이 집중과 꾸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그 결과 핀란드는 언제나 세계 최고급의 국가 경쟁력을 유지 할 수 있는 것이다.
핀란드의 IT과학기술력 을 중심으로 결론을 내리자면
핀란드의 IT 과학기술은 세계 최고이고, 이것은 핀란드 의 강력한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다.
핀란드의 IT과학기술력은 타국과의 경제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핀란드의 모든 힘을 집약한 강력한 무기이며, 이 무기는 매 순간 갉고 닦아지며 발전되고 있다.
@우리가 핀란드의 IT 과학기술의 사례에서 배워야 할 점, (나의 생각)
무엇보다도 핀란드의 기술혁신 지향적인 국가시스템 구축이야말로 핀란드가 강소국으로 우뚝 선 비결이다. 핀란드의 중요한 성공요인은 80년대 초 성장 동력이 약화되었을 때 자원주도의 성장모델을 과감히 버리고 혁신주도형으로 국가 시스템을 완전히 변화시켜 지식기반, 첨단 정보기술사회를 이루어 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80년대 우수한 투자주도형 발전단계를 거쳤다. 그러나 그 성공에 도취하여 90년대 초 혁신주도형 발전단계로 전환해야 할 타이밍을 놓치고 말았다. 이로 인해 지난 ‘잃어버린 10년’은 우리에게 IMF 외환위기라는 고통과 아픔을 가져다 줬다. 우리나라도 핀란드의 성공을 교훈 삼아 국가적인 혁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식기반 사회를 이루어서, 핀란드의 IT과학기술과 IT산업과 같이 특화된 강점을 가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행정학과] EU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관한 고찰
- 스케이팅이란?
- 유럽연합의 공동 운수정책
- 유럽연합의 형성 과정
- EU의 확대
- 기업체의 인적자원개발 이론과 동향
- [정보공개제도][선진국 정보공개제도 사례]정보공개제도 연혁, 정보공개제도 기능, 정보공개...
- EU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우리나라와의 관계조명
- 근현대경제사5
- EU의 역사적 배경 및 유럽통상법이 나아가야 할 길
- 경제민주화에 대한 나의 의견 생각 견해 입장
- [바이오매스] 바이오매스에너지의 종류와 장단점
- 지역주의의 현황과 다자주의와의 관계_주요 지역무역협정, 지역주의의 향후전망과 다자주의간...
- 무상급식 반대 의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