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양식어업(양식업)의 의미
Ⅲ. 양식어업(양식업)의 특징
Ⅳ.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의 필요성
Ⅴ.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의 법적규정
1. 제2호. 해조류양식어업
2. 제3호. 패류양식어업
3. 제4호. 어류등양식어업
4. 제5호. 복합양식어업
5. 제6호. 협동양식어업
Ⅵ. 넙치(광어)와 전복의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
1. 전복과 넙치의 생태 공통점 비교 분석
2. 공동양식수조를 통한 복합양식
1) 공동양식수조 제작
2) 인공 사료 공급
3. 공동수조를 이용한 복합양식의 결과
4. 전망
Ⅶ. 해삼과 전복의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
1. 전복과 해삼의 생태 공통점 비교 분석
2. 공동양식 수조를 통한 복합양식
1) 공동양식수조 제작
2) 인공사료 공급
3. 복합 양식의 결과 분석
1) 경제성 분석
2) 환경오염 방지의 효과
3) 인력 자원의 절감 효과
4. 전망
Ⅷ. 중국의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 사례
1. 현황
2. 유형
1) 천해 복합양식
2) 지중 복합양식
3. 패류와 해조류 복합양식 결과
1) 해조류 성장
2) 굴의 성장
3) 사육 환경
4. 복합양식을 위한 대형 해조류 사육
5. 새우 양식장 수질정화 효과 연구
1) 개요
2) 방법
3) 효과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양식어업(양식업)의 의미
Ⅲ. 양식어업(양식업)의 특징
Ⅳ.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의 필요성
Ⅴ.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의 법적규정
1. 제2호. 해조류양식어업
2. 제3호. 패류양식어업
3. 제4호. 어류등양식어업
4. 제5호. 복합양식어업
5. 제6호. 협동양식어업
Ⅵ. 넙치(광어)와 전복의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
1. 전복과 넙치의 생태 공통점 비교 분석
2. 공동양식수조를 통한 복합양식
1) 공동양식수조 제작
2) 인공 사료 공급
3. 공동수조를 이용한 복합양식의 결과
4. 전망
Ⅶ. 해삼과 전복의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
1. 전복과 해삼의 생태 공통점 비교 분석
2. 공동양식 수조를 통한 복합양식
1) 공동양식수조 제작
2) 인공사료 공급
3. 복합 양식의 결과 분석
1) 경제성 분석
2) 환경오염 방지의 효과
3) 인력 자원의 절감 효과
4. 전망
Ⅷ. 중국의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 사례
1. 현황
2. 유형
1) 천해 복합양식
2) 지중 복합양식
3. 패류와 해조류 복합양식 결과
1) 해조류 성장
2) 굴의 성장
3) 사육 환경
4. 복합양식을 위한 대형 해조류 사육
5. 새우 양식장 수질정화 효과 연구
1) 개요
2) 방법
3) 효과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연구에 의해 1990년대 초부터 시험적으로 수행되었다.
- 다시마는 수심 2~4m, 가리비는 수심 5~10m에서 양성한 결과 단일종 양 성시 보다 성장 및 생존율이 양호하며, 수확기간은 가리비는 약 2년, 다시마는 약 6개월 후에 수확 가능
- 다시마의 양성으로 진주담치의 부착밀도가 현저히 낮아졌다.
-양성된 다시마는 전복의 먹이로 활용되고 있어 부수적인 효과를 거두웠다.
- 가공처리된 다시마의 수출로 인해 소득증대 기여
(2) 미역과 가리비, 진주담치와 다시마의 복합양식
1980년대부터 실시되고 있는 복합양식 방법
2) 지중 복합양식
가) 패류와 해조류 복합양식 시설방법
지중 양식장의 수심을 수문과 연결된 도랑은 1.5~5m, 못 가장자리는 0.5~1.2m로 비교적 낮게 시설
매일 약 50% 이상 환수를 실시
양식방법
- 1무(666.7m2)에 30개의 망렴(網)을 설치(1개의 망렴은 폭 1m, 길이10m로 제작)하고, 각 망렴사이의 간격은 2m로 설치
- 저면에서의 시설 위치
나) 복합사육 적지
사육지내의 환수시 해적생물의 유입을 철저히 차단하여야 하는데 특히 해조류에 대한 해적생물의 유입을 차단시켜야 하며, 담수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곳이 적합하다. 즉 염분은 6.5~20.0(비중 1.005~1.015)정도가 적당하다.
3. 패류와 해조류 복합양식 결과
1) 해조류 성장
- 5월부터 급격한 성장을 하기 시작하였으며, 고수온인 7월 이후 성장이 다소 늦었다.
- 성장은 수문에서 비교적 먼 거리에 있는 못의 중간에서부터 수심 80㎝이하의 수심이 다소 낮은 지역에서 성장이 좋다.
- 바닥 부착식 양식의 평균 증중량은 591.6g/m2이고, 網양식은 602.1/m2으로 網양식 방식이 성장이 좋았다.(網기술방식 생산량이 전통방식에 비해 25%정도 높은 생산량을 보음)
2) 굴의 성장
바닥 부착식 양식(揷養的 方式)과 수하식 양식 방법 모두 다 양호한 성장을 하였으나, 성장 속도 및 육중량의 증가는 수하식 양식 방법이 높았다.
시멘트 기둥을 부착기질로 사용한 것은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 증중율이 15% 정도에 증가하였고, 수하식 양식은 15~20% 정도 증가하였으며 시멘트 기둥 부착기도 같은 사육지 내에서 수문 부근에서 가장 양호한 성장을 보였다.
3) 사육 환경
총무기 질소
복합양식 방식으로 사육한 어장의 총무기질소량은 0.1㎎/L 이하로 Ⅰ등급해수 기준치 이하였으나, 해조류와 복합양식을 하지 않은 어장의 총무기 질소량은 0.261㎎/L로 Ⅲ 등급 해수수질 수준이었다.
인산염
해조류를 이용한 복합양식 방식으로 사육한 어장은 0.0105~0.0116㎎/L로 모두 Ⅰ등급 해수수질기준치 이하였으나, 해조류를 이용하지 않은 어장은 0.0307㎎/L로 Ⅲ등급 해수수질 수준이었다.
용존산소와 pH
사육지 내의 용존산소는 6.1~6.8㎎/L, pH는 7.6~7.8로 전 사육지에서 Ⅰ등급 해수수질 수준이었다.
4. 복합양식을 위한 대형 해조류 사육
가)대형 해조류 선택 조건
성장이 좋아야 한다.
영양염 제거율이 높아야 한다.
사육이 용이하여야 한다.
수확(작업)이 쉬워야 한다.
* 식용, 먹이, 이용성 및 산업적 자원으로의 이용이 용이해야 함
나) 대형 해조류 시험사육 지역
다) 적용 가능성
중국 대부분의 연안역에서 꼬시래기와 김과 같은 대형해조류의 사육이 가능하다.
산동성, 강소성, 광동성 및 복건성 등에서 양식 실험 가능성 확인한다.
해조류 양식에 따른 산업적 가치가 충분하다.
대형해조류 양식을 통해 해산 양식 지역의 부영양화 문제 해결 가능하다.
라) 해조류 성장
Nanao sea zone(1999)
- 15Kg의 Gracilaria lemaneaformis를 155일간 사육하여 4,230Kg을 수확하여 282배의 수확량 거두웠다.
요녕성 Liangyungang sea area(2001. 4~6)
- 42Kg의 Gracilaria lemaneaformis를 입식하여 43일 후 3,850Kg을 수확하여 92배의 증중량 보인다.
마) 꼬시래기의 영양염 제거 능력
NH4+ : 68.44%, NO3- : 23.03%, NO2-: 13.04%, DIN : 58.31% 제거
5. 새우 양식장 수질정화 효과 연구
1) 개요
중국 경제에서 해양 수산업은 해양 산업 생산액의 5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해양 동물 양식은 기간 산업위치에 놓여 있으며, 90년대 이후 해수 양식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새우 질병 재해가 전지구적으로 대규모 발생하였는데 그중 해양 동물 양식의 질병 위해와 치하를 위한 관련 문제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로 대두되어 해양동물 품종의 인공 번식과 질병 위해를 통제하는 면에서 나타난 풀기 어려운 난제로 대두된다.
2) 방법
장소 : 심천시 새우양식장
방법
미생물을 배양하여 사육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살포(첨가)하는 방법
① 아포간균(Bacilus sp.)을 배양하여 새우 입식 전에 1회 투입하고 새우입식 후에는 1개월에 2회(15일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살포하며 살포시에 살포량을 반씩 줄여서 살포한다.
② 광합성세균(자영세균)은 세균 번식 억제제로 사용되며 수질이 악화되기전이나 수질이 악화되었을 경우에 살포하며 아포간균과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3) 효과
미생물제제의 사용으로 양식장의 수질을 개선하고 질병발생율 저하시키며, 생산력을 향상시키고, 새우 양식시 문제가 되고 있는 흰점바이러스 질병이 보균상태로 있으나 발현하지 않아 생존율 높으며, 성장이 빠르며, 어류 및 패류 양식시에도 이용가능 한 양식 방법이다.
아포간균(Bacilus sp.)은 현재 항생제를 대처할 수 있는 대표적인 미생물제제로 최근 양계농가에서도 이러한 생균제의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에서 새우 등 대표적인 열대 해양 동물에 대해 인공 번식 및 건강한 양식을 실현하는 연구의 모델이 되고 있으며, 새우의 질병을 집중적으로 예방하는 양식 및 전체적인 인공 번식 신 모델을 개발하는데 성공함으로 써 새우 인공 번식을 실행하는 새로운 양식 산업의 거대한 경제적 수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 다시마는 수심 2~4m, 가리비는 수심 5~10m에서 양성한 결과 단일종 양 성시 보다 성장 및 생존율이 양호하며, 수확기간은 가리비는 약 2년, 다시마는 약 6개월 후에 수확 가능
- 다시마의 양성으로 진주담치의 부착밀도가 현저히 낮아졌다.
-양성된 다시마는 전복의 먹이로 활용되고 있어 부수적인 효과를 거두웠다.
- 가공처리된 다시마의 수출로 인해 소득증대 기여
(2) 미역과 가리비, 진주담치와 다시마의 복합양식
1980년대부터 실시되고 있는 복합양식 방법
2) 지중 복합양식
가) 패류와 해조류 복합양식 시설방법
지중 양식장의 수심을 수문과 연결된 도랑은 1.5~5m, 못 가장자리는 0.5~1.2m로 비교적 낮게 시설
매일 약 50% 이상 환수를 실시
양식방법
- 1무(666.7m2)에 30개의 망렴(網)을 설치(1개의 망렴은 폭 1m, 길이10m로 제작)하고, 각 망렴사이의 간격은 2m로 설치
- 저면에서의 시설 위치
나) 복합사육 적지
사육지내의 환수시 해적생물의 유입을 철저히 차단하여야 하는데 특히 해조류에 대한 해적생물의 유입을 차단시켜야 하며, 담수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곳이 적합하다. 즉 염분은 6.5~20.0(비중 1.005~1.015)정도가 적당하다.
3. 패류와 해조류 복합양식 결과
1) 해조류 성장
- 5월부터 급격한 성장을 하기 시작하였으며, 고수온인 7월 이후 성장이 다소 늦었다.
- 성장은 수문에서 비교적 먼 거리에 있는 못의 중간에서부터 수심 80㎝이하의 수심이 다소 낮은 지역에서 성장이 좋다.
- 바닥 부착식 양식의 평균 증중량은 591.6g/m2이고, 網양식은 602.1/m2으로 網양식 방식이 성장이 좋았다.(網기술방식 생산량이 전통방식에 비해 25%정도 높은 생산량을 보음)
2) 굴의 성장
바닥 부착식 양식(揷養的 方式)과 수하식 양식 방법 모두 다 양호한 성장을 하였으나, 성장 속도 및 육중량의 증가는 수하식 양식 방법이 높았다.
시멘트 기둥을 부착기질로 사용한 것은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 증중율이 15% 정도에 증가하였고, 수하식 양식은 15~20% 정도 증가하였으며 시멘트 기둥 부착기도 같은 사육지 내에서 수문 부근에서 가장 양호한 성장을 보였다.
3) 사육 환경
총무기 질소
복합양식 방식으로 사육한 어장의 총무기질소량은 0.1㎎/L 이하로 Ⅰ등급해수 기준치 이하였으나, 해조류와 복합양식을 하지 않은 어장의 총무기 질소량은 0.261㎎/L로 Ⅲ 등급 해수수질 수준이었다.
인산염
해조류를 이용한 복합양식 방식으로 사육한 어장은 0.0105~0.0116㎎/L로 모두 Ⅰ등급 해수수질기준치 이하였으나, 해조류를 이용하지 않은 어장은 0.0307㎎/L로 Ⅲ등급 해수수질 수준이었다.
용존산소와 pH
사육지 내의 용존산소는 6.1~6.8㎎/L, pH는 7.6~7.8로 전 사육지에서 Ⅰ등급 해수수질 수준이었다.
4. 복합양식을 위한 대형 해조류 사육
가)대형 해조류 선택 조건
성장이 좋아야 한다.
영양염 제거율이 높아야 한다.
사육이 용이하여야 한다.
수확(작업)이 쉬워야 한다.
* 식용, 먹이, 이용성 및 산업적 자원으로의 이용이 용이해야 함
나) 대형 해조류 시험사육 지역
다) 적용 가능성
중국 대부분의 연안역에서 꼬시래기와 김과 같은 대형해조류의 사육이 가능하다.
산동성, 강소성, 광동성 및 복건성 등에서 양식 실험 가능성 확인한다.
해조류 양식에 따른 산업적 가치가 충분하다.
대형해조류 양식을 통해 해산 양식 지역의 부영양화 문제 해결 가능하다.
라) 해조류 성장
Nanao sea zone(1999)
- 15Kg의 Gracilaria lemaneaformis를 155일간 사육하여 4,230Kg을 수확하여 282배의 수확량 거두웠다.
요녕성 Liangyungang sea area(2001. 4~6)
- 42Kg의 Gracilaria lemaneaformis를 입식하여 43일 후 3,850Kg을 수확하여 92배의 증중량 보인다.
마) 꼬시래기의 영양염 제거 능력
NH4+ : 68.44%, NO3- : 23.03%, NO2-: 13.04%, DIN : 58.31% 제거
5. 새우 양식장 수질정화 효과 연구
1) 개요
중국 경제에서 해양 수산업은 해양 산업 생산액의 5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해양 동물 양식은 기간 산업위치에 놓여 있으며, 90년대 이후 해수 양식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새우 질병 재해가 전지구적으로 대규모 발생하였는데 그중 해양 동물 양식의 질병 위해와 치하를 위한 관련 문제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로 대두되어 해양동물 품종의 인공 번식과 질병 위해를 통제하는 면에서 나타난 풀기 어려운 난제로 대두된다.
2) 방법
장소 : 심천시 새우양식장
방법
미생물을 배양하여 사육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살포(첨가)하는 방법
① 아포간균(Bacilus sp.)을 배양하여 새우 입식 전에 1회 투입하고 새우입식 후에는 1개월에 2회(15일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살포하며 살포시에 살포량을 반씩 줄여서 살포한다.
② 광합성세균(자영세균)은 세균 번식 억제제로 사용되며 수질이 악화되기전이나 수질이 악화되었을 경우에 살포하며 아포간균과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3) 효과
미생물제제의 사용으로 양식장의 수질을 개선하고 질병발생율 저하시키며, 생산력을 향상시키고, 새우 양식시 문제가 되고 있는 흰점바이러스 질병이 보균상태로 있으나 발현하지 않아 생존율 높으며, 성장이 빠르며, 어류 및 패류 양식시에도 이용가능 한 양식 방법이다.
아포간균(Bacilus sp.)은 현재 항생제를 대처할 수 있는 대표적인 미생물제제로 최근 양계농가에서도 이러한 생균제의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에서 새우 등 대표적인 열대 해양 동물에 대해 인공 번식 및 건강한 양식을 실현하는 연구의 모델이 되고 있으며, 새우의 질병을 집중적으로 예방하는 양식 및 전체적인 인공 번식 신 모델을 개발하는데 성공함으로 써 새우 인공 번식을 실행하는 새로운 양식 산업의 거대한 경제적 수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추천자료
정보사회와 문화
건강에 대한 의식 전환
로마의 건축 및 구조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결혼과 가족
비판적 시각에서 바라본 포스트모더니즘(詩편)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와 각 분야별 포스트모더니즘 사례 분석 및 국내, 국외 작가와 작품
[고전문학]기재기이 - 안빙몽유록 연구 - 작품분석, 연구사
한국건축사조사
동아시아의 지역구조와 한반도 국토통합을 위한 전략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문화
[건축][건축의 형성][건축의 기초작업][건축과 도시][건축의 심의][건축의 문제점][건축 관련...
[사회과학] 노년기 성격변화
노년기의 성격변화의 특성에 대해서 대화나 행동의 사례를 통하여 설명하시오.
이케바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