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홈네트워크 산업현황
1. 홈네트워크 정의
2. 홈네트워크 산업개요
3. 홈네트워크 기술
Ⅲ. 홈네트워크 시장
1. 국내 홈네트워크 시장
2. 해외 홈네트워크 시장
3. 홈네트워크 활성화
Ⅳ. 홈네트워크 기업
1. 국내 홈네트워크 기업
2. 해외 홈네트워크 기업
Ⅴ.결론
참고문헌
Ⅱ. 홈네트워크 산업현황
1. 홈네트워크 정의
2. 홈네트워크 산업개요
3. 홈네트워크 기술
Ⅲ. 홈네트워크 시장
1. 국내 홈네트워크 시장
2. 해외 홈네트워크 시장
3. 홈네트워크 활성화
Ⅳ. 홈네트워크 기업
1. 국내 홈네트워크 기업
2. 해외 홈네트워크 기업
Ⅴ.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040만대에 달하는 게임 콘솔을 바탕으로 HD-DVD 플레이어는 물론이로 차세대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 활용함으로써 홈서버의 강자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Intel과의 협력을 통하여 홈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기존 가전 업체들이 가진 안방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기도 하다.
4) Intel (미국)
PC가 가정의 멀티미디어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디지털 가전기기 제조 기업으로 변화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디지털 홈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그 방향성은 ‘가전과 PC의 상호 접속성’,‘초고속 인터넷’,‘디지털 콘텐츠’를 3요소로 들고 있다. 특히 상호 접속성에 주목하면서 개방형 플랫폼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Intel이 원하는 홈네트워크는 TV,오디오 시스템,DVD플레이어와 같은 전통적인 가전 제품군과 인터넷콘텐츠 및 초고속 인터넷 접속과 같은 PC군으로 나눠져 있는 두 범위 사이에서 연결고리가 되는 것이다.
또한, 헬스케어 시장과 디지털 홈 서비스 영역을 결합하여, 그 결과 2007년 상반기에 병원과 가정을 잇는 헬스케어 단말 병원용 태블릿 PC와 개인용 헬스시스템을 출시했다.
병원용 태블릿 Pc인 ‘모바일 클리니컬 어시스턴스’는 바코드와 RFID기술을 이용해 병원 내 인력들이 환자의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다.
이 기기를 이용하면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의로진이 바코드를 통해 읽어 들인 환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치료 방향을 논의할 수 있다. Intel의 Viiv는 디지털 홈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기술로서 하드웨어, 소프트 웨어, 서비스가 결합된 개념이다.
즉, 가정 안에서 이 플랫폼이 적용된 데스크톱을 중심으로 주방과 거실, 주방 등의 디지털TV,PC,오디오 등 다양한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다.
Centrin 기술을 통해 CPU와 칩 세트의 성능 및 안전성 기션, 무선 랜 카드의 기능 향상 등 노트북 Pc의 활용도를 높였다면, Viiv 플랫폼은 엔터테인먼트의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사양을 갖춘 Viiv PC는 거실의 대화면 TV에 연결하여 VCR, DVD플레이어, 비디오 게임기 등 기존의 TV 대화면을 통해 영화,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던 모든 제품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미디어어뎁터(DMA) 또는 미디어센터 익스텐더를 통해 한 대의 Pc로 2명 이상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 MP3플레이어, PDA 등 각종 휴대 단말과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TV의 전원을 Rm는 것처럼 PC의 전원을 끌 수 있는 Quick Resume 기술도 눈길을 끈다.
5) Philips (네널란드)
Philips는 각종 휴대용 가전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집안에 있는 가전제품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가리키는 ‘커넥티드 홈(connected home)\'을 미래 컨셉으로 잡고, 브로드밴드 환경에서 다양한 네트워킹 기기와 기술 및 서비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주거 공간으로 WiFi, Bluetooth 등의 무선기술을 통해 모든 디지털 가전기기를 연결, 각각의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주변 환경에 맞춰 인터렉티브하게 동작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즉, 초고속 인터넷과 무선기술, 디지털콘텐츠를 결합하여 선이 보이지 않는 ‘무선 홈네트워크’를 강조하고, 미래의 디지털 기전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무선 홈네트워크에 집중하겠다는 의미이다.
기존사업인 DVD,홈시어터, TV등 가정용 디지털기기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모니터 등 사무용 기기를 통합하여 무선 AV 시스템과 iPront 등 홈네트워크 관련 제품을 대거 출시해왔으며 시장 확대를 위해 각국 통신업체 및 건축업체 등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T-mobile, 영국 British Telecom, 이탈리아의 Telecom Italia 등의 통신업체와 제휴하여 자사 제품의 네트워크 접속성을 높이고 있다.
홈네트워킹을 비롯한 일상의 모든 활동 공간에서 무선 네트워킹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것이 목표이며 커넥티드 플래닛 실현을 위한 기반 제품으로는 스트리미움(Streamium) 홈시어터, 거울처럼 활용할 수 있는 미러TV, 언제 어디서나 디지털 TV를 볼 수 있게 하는 디지털 RF 솔루션, 홈엔터테인먼트를 원하는 방식대로 컨트롤 할 수 있는 디지털미디어리코더(DMR) TV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스트리미디움 평면TV 등도 이미 선보였다. 5GHz대역을 이용하는 Hiper LAN/2 방식의 무선 1394를 구현하였으며, IEEE802.11 a와 P1394.1 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1394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6) Ericsson(스웨덴)
Ericsson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단말에 관계없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플랫폼을 표준화하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IMS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통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IMS를 통해 TV와 노트북, 휴대폰 등의 각각의 기기에서 콘텐츠를 Seamless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Soony 가전과 Ericsson 휴대폰을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소프트웨어를 공동개발하여, 향후 도래 할 것으로 예상되는 네트워크와 서비스시대를 넘은 멀티미디어 시대에 대비하여, 무선 브로드밴드 구현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장비에서 초고속 모바일 인터넷을 지원할 수 있는 제품군을 강화하고 있다.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3G용 소형 기지국인 ‘Home 3G Access Point\'를 설치하여 휴대폰을 TV 리모콘으로 활용하는 모바일 TV 솔루션 기술을 벨기에 통신 사업자인 Proximus에게 공급하기도 하였다.
7) Nokia (핀란드)
핸드폰 세계씨장의 35% 수준의 점유율을 자랑하는 Nokia는 홈네트워크 시장의 핵심기기로 예상되는 휴대폰의 영향력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보이고 있다. Bluetooth 독주체제에 지그비(ZigBee),UWB 등 새로운 표준이 등장하는 가운데, Nokia도 자체 개발한 와이브리(Wibree)를 내
4) Intel (미국)
PC가 가정의 멀티미디어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디지털 가전기기 제조 기업으로 변화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디지털 홈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그 방향성은 ‘가전과 PC의 상호 접속성’,‘초고속 인터넷’,‘디지털 콘텐츠’를 3요소로 들고 있다. 특히 상호 접속성에 주목하면서 개방형 플랫폼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Intel이 원하는 홈네트워크는 TV,오디오 시스템,DVD플레이어와 같은 전통적인 가전 제품군과 인터넷콘텐츠 및 초고속 인터넷 접속과 같은 PC군으로 나눠져 있는 두 범위 사이에서 연결고리가 되는 것이다.
또한, 헬스케어 시장과 디지털 홈 서비스 영역을 결합하여, 그 결과 2007년 상반기에 병원과 가정을 잇는 헬스케어 단말 병원용 태블릿 PC와 개인용 헬스시스템을 출시했다.
병원용 태블릿 Pc인 ‘모바일 클리니컬 어시스턴스’는 바코드와 RFID기술을 이용해 병원 내 인력들이 환자의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다.
이 기기를 이용하면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의로진이 바코드를 통해 읽어 들인 환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치료 방향을 논의할 수 있다. Intel의 Viiv는 디지털 홈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기술로서 하드웨어, 소프트 웨어, 서비스가 결합된 개념이다.
즉, 가정 안에서 이 플랫폼이 적용된 데스크톱을 중심으로 주방과 거실, 주방 등의 디지털TV,PC,오디오 등 다양한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다.
Centrin 기술을 통해 CPU와 칩 세트의 성능 및 안전성 기션, 무선 랜 카드의 기능 향상 등 노트북 Pc의 활용도를 높였다면, Viiv 플랫폼은 엔터테인먼트의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사양을 갖춘 Viiv PC는 거실의 대화면 TV에 연결하여 VCR, DVD플레이어, 비디오 게임기 등 기존의 TV 대화면을 통해 영화,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던 모든 제품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미디어어뎁터(DMA) 또는 미디어센터 익스텐더를 통해 한 대의 Pc로 2명 이상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 MP3플레이어, PDA 등 각종 휴대 단말과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TV의 전원을 Rm는 것처럼 PC의 전원을 끌 수 있는 Quick Resume 기술도 눈길을 끈다.
5) Philips (네널란드)
Philips는 각종 휴대용 가전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집안에 있는 가전제품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가리키는 ‘커넥티드 홈(connected home)\'을 미래 컨셉으로 잡고, 브로드밴드 환경에서 다양한 네트워킹 기기와 기술 및 서비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주거 공간으로 WiFi, Bluetooth 등의 무선기술을 통해 모든 디지털 가전기기를 연결, 각각의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주변 환경에 맞춰 인터렉티브하게 동작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즉, 초고속 인터넷과 무선기술, 디지털콘텐츠를 결합하여 선이 보이지 않는 ‘무선 홈네트워크’를 강조하고, 미래의 디지털 기전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무선 홈네트워크에 집중하겠다는 의미이다.
기존사업인 DVD,홈시어터, TV등 가정용 디지털기기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모니터 등 사무용 기기를 통합하여 무선 AV 시스템과 iPront 등 홈네트워크 관련 제품을 대거 출시해왔으며 시장 확대를 위해 각국 통신업체 및 건축업체 등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T-mobile, 영국 British Telecom, 이탈리아의 Telecom Italia 등의 통신업체와 제휴하여 자사 제품의 네트워크 접속성을 높이고 있다.
홈네트워킹을 비롯한 일상의 모든 활동 공간에서 무선 네트워킹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것이 목표이며 커넥티드 플래닛 실현을 위한 기반 제품으로는 스트리미움(Streamium) 홈시어터, 거울처럼 활용할 수 있는 미러TV, 언제 어디서나 디지털 TV를 볼 수 있게 하는 디지털 RF 솔루션, 홈엔터테인먼트를 원하는 방식대로 컨트롤 할 수 있는 디지털미디어리코더(DMR) TV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스트리미디움 평면TV 등도 이미 선보였다. 5GHz대역을 이용하는 Hiper LAN/2 방식의 무선 1394를 구현하였으며, IEEE802.11 a와 P1394.1 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1394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6) Ericsson(스웨덴)
Ericsson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단말에 관계없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플랫폼을 표준화하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IMS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통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IMS를 통해 TV와 노트북, 휴대폰 등의 각각의 기기에서 콘텐츠를 Seamless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Soony 가전과 Ericsson 휴대폰을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소프트웨어를 공동개발하여, 향후 도래 할 것으로 예상되는 네트워크와 서비스시대를 넘은 멀티미디어 시대에 대비하여, 무선 브로드밴드 구현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장비에서 초고속 모바일 인터넷을 지원할 수 있는 제품군을 강화하고 있다.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3G용 소형 기지국인 ‘Home 3G Access Point\'를 설치하여 휴대폰을 TV 리모콘으로 활용하는 모바일 TV 솔루션 기술을 벨기에 통신 사업자인 Proximus에게 공급하기도 하였다.
7) Nokia (핀란드)
핸드폰 세계씨장의 35% 수준의 점유율을 자랑하는 Nokia는 홈네트워크 시장의 핵심기기로 예상되는 휴대폰의 영향력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보이고 있다. Bluetooth 독주체제에 지그비(ZigBee),UWB 등 새로운 표준이 등장하는 가운데, Nokia도 자체 개발한 와이브리(Wibree)를 내
추천자료
북한의 IT산업현황
고객관리와 IT산업(사례를 중심)
러시아 연구 - 우리나라 IT산업 진출 성공 전략 연구
생존경쟁의 변화와 IT산업이 나가야 할 길
중국 IT산업의 현황과 전망
우리나라 IT산업의 발전과정과 현실
[정보경제학]IT산업
인도와 중국의 IT산업
중국 IT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그에 따른 한국의 대처 방안
국내 IT산업의 현황 및 전망
북한 IT산업의 실상(북한의 전기통신, 이동통신, 전자공업 제품생산, 인터넷 연결 현황)
[국가경쟁력] 국가경쟁력의 개념과 측정, 평가, 현황
[경쟁방식, 경쟁방법, 해외투자]경쟁방식(경쟁방법)과 해외투자, 경쟁방식(경쟁방법)과 방송...
스마트폰(Smart Phone)의 발전에 따른 IT산업의 변화.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