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기업소개
2) 성장과 위기
3) 회생전략
① 2000년도 CF모델 서태지
② 타사의 전략
▪나이키의 전략
▪리복의 전략
▪puma의 전략
③ 워킹화(W)와 키크는 실내화(GH+)
3. 결론
향후전망
2. 본론
1) 기업소개
2) 성장과 위기
3) 회생전략
① 2000년도 CF모델 서태지
② 타사의 전략
▪나이키의 전략
▪리복의 전략
▪puma의 전략
③ 워킹화(W)와 키크는 실내화(GH+)
3. 결론
향후전망
본문내용
의 인지도를 불멸의 위치에 올려놓게 되었다. 나이키는 96년 무려 36%라는 높은 신장률을 기록하여 64억 7천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2위 리복, 3위 필라와의 격차를 더욱 벌려 놓았다.
브랜드 차별화 전략은 나이키가 강한 브랜드 파워를 구축해 갈 수 있는 주요인으로 Image Promotion전략과 함께 브랜드 차별화 전략을 동시에 전개하기 때문이다.
스포츠마케팅 전략에서 나이키의 성공적인 성장 전략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역시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스포츠용품 판매의 극대화일 것이다. 나이키의 스포츠후원에는 스포츠문화의 진입을 위한 스포츠단체 지원, 초특급스포츠스타를 직접 후원하는 개인후원 그리고 각종 스포츠 행사를 지원하는 이벤트 후원 등이 있다.
나이키의 스폰서십 전략 중에서도 특히 스포츠 선수로는 인기 절정의 농구스타 마이클 조던과 천재골퍼 타이거 우즈를 손꼽을 수 있다. 천재골퍼 타이거 우즈와 인기 절정의 농구스타 마이클 조던은 각기 다른 분야에서 최고 스타로 군림하며 서로 존중하고 우정을 나누는 사이지만 광고계에선 보이지 않는 불꽃 경쟁을 벌이고 있는 호적수이다.
또한 나이키는 기술적인면에서도 뛰어난 혁신성을 보이며 다른 운동화들이 따라올수 없는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김석관, 앞의 책, p.69
나이키는 Air를 자사만의 고유한 제품체계로 발전시키면서 1985년 Air Jordan의 열풍을 몰고 오는 토대를 마련한다. 또 러닝화의 경우 달리기는 왼쪽으로 돈다는 점을 착안해 좌우가 비대칭적인 모습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최첨단 러닝화를 비슷한 기술적인 혁신은 나이키의 기술적 우월성을 보여주는 것이었고 이것이 세계 글로벌 시장에서 나이키가 성공할 수 있었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리복의 전략
김석관, 위의 책, 9.71
1982년 여성소비자들의 기호를 맞추어 에어로빅화로 성장하였던 리복은 나이키에 이어 2위자리만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그러던중 농구화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공기주입식 농구화인 \"Pump\"를 개발한다.1988년 리복은 기계설계 및 디자인 전문회사에 이를 의뢰하고 수많은 수정을 거쳐 모델이 확정되어 출시되게 된다. 김석관, 위의 책, p.71
이렇게 출시된 Pump는 리복의 1990년대 매출을 전년 대비 18.5% 늘리는 역할을 한다. Pump는 혁신적 아이디어로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사계로 평가되고 있으며 리복의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는데도 일조했다. 리복은 업계에서 마케팅 중심기업으로 인식될 정도로 마케팅에 강점을 지니고 있었는데, Pump를 마케팅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자사의 이미지를 혁신성을 더하는데 성공한 셈이다.
puma의 전략
김석관, 위의 책.p.76
puma는 1948년 형제기업인 adidas와 함께 1960년대까지의 운동화 시장을 지배하였고 축구화 시장에서 강점을 보인반면 러닝화 부문에서는 상대적 약세를 보이다가 1970년대 조깅 붐이 불자 시장에서 주도권을 나이키와 리복에게 내주게 된다. 그러던중 1989년 충격 흡수 시스템인 Trinomic을 개발하여 출시함으로써 고가품 시장으로의 진입을 시도한다.
그러나 시장에서 크게 성공하지 못하였고 결국에는 모방자라는 이미지로 비쳐지게 되어 중저품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는데 실패하게 된다. 그러던중 1992년과 1993년에 걸쳐 이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속적 혁신에 의해 좋은 반응을 얻기 시작한다.
그러나 더 좋은 충격 흡수 시스템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저가 브랜드라는 한번 굳어진 이미지는 벗어나지 못하고 결국 미국시장 점유율에서 18위에 그치고 있다.
해외 글로벌 브랜드들의 전략을 보면 공통적으로 제품혁신을 통해 자사만의 독특한 제품을 출시하였다는것을 공통점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각 제품이 지닌 기술적 혁신을 매번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소비자들은 “나이키=Air” 라고 떠올릴수 있듯이 각 제품의 기술적인 혁신이 그 제품 브랜드의 이미지를 대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업의 마케팅 역시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나이키나 리복의 경우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전략을 세우고 임하여 성공하였지만 Puma의 경우는 마케팅에 실패함으로써 중저가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탈피하는데 실패하였고 결국 미국시장에서 순위를 올리는데
도 실패하였다. 이 표를 보면 미국 시장에서 운동화들간의 시장 점유율 순위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즉 마케팅과 제품 혁신과의 연계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냐는 것도 알 수 있는 지표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이키는 제품 혁신과 마케팅을 가장 성공적으로 연계시킨 기업으로 꼽힌다. 김석관, 앞의 책, p.79
나이키는 창업 후 한동안 제품의 혁신에만 기업의 사활을 걸었다. 그러나 혁신적이지도 않은 리복의 에어로빅화에 시장 주도권을 내주는 경험을 하고서 경영 마인드를 생산 위주에서 마케팅 위주로 바꾸게 된다. 그 결과 탄생한것이 Air Joardan이다.
즉, 오늘날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제품혁신이 필수적인것이며 이와 적절히 연계된 마케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것이다. 또한 뛰어난 디자인 역시 제품의 이미지를 개선시키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프로스펙스는 이러한 점을 참고하여 시장에서 회생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할 것이다. 프로스펙스는 국제상사, 르까프는 화승 등 우리나라의 스포츠화 브랜드들은 한결같이 브랜드명과 기업명이 다르다. 이와 같은 경우는 마케팅 비용이 이중적으로 드는 비효율적인 기업명이다. 반면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 등과 같은 글로벌 브랜드들은 브랜드명을 기업명으로 동일화하고 있다. 기업명과 브랜드네임을 동일화한 브랜드는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훨씬 효과적이며 광고 및 마케팅활동에도 훨씬 더 용이하다. 조형적으로 아무리 잘된 디자인이라 하더라도 이미지프로모션과 광고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브랜드의 차별화, 개성화를 추구하지 못한다면 브랜드 파워는 구축할 수 없다.
또한 프로스펙스는 디자인 차별화 표현전략의 부족에서의 문제도 있었다. 프로스펙스가 스포츠 시장에서 소비자경쟁력에서 뒤처지고 소비자 니즈 만족에 제일 불만사항은 세련되지 못한 디자인과 감각적이지
브랜드 차별화 전략은 나이키가 강한 브랜드 파워를 구축해 갈 수 있는 주요인으로 Image Promotion전략과 함께 브랜드 차별화 전략을 동시에 전개하기 때문이다.
스포츠마케팅 전략에서 나이키의 성공적인 성장 전략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역시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스포츠용품 판매의 극대화일 것이다. 나이키의 스포츠후원에는 스포츠문화의 진입을 위한 스포츠단체 지원, 초특급스포츠스타를 직접 후원하는 개인후원 그리고 각종 스포츠 행사를 지원하는 이벤트 후원 등이 있다.
나이키의 스폰서십 전략 중에서도 특히 스포츠 선수로는 인기 절정의 농구스타 마이클 조던과 천재골퍼 타이거 우즈를 손꼽을 수 있다. 천재골퍼 타이거 우즈와 인기 절정의 농구스타 마이클 조던은 각기 다른 분야에서 최고 스타로 군림하며 서로 존중하고 우정을 나누는 사이지만 광고계에선 보이지 않는 불꽃 경쟁을 벌이고 있는 호적수이다.
또한 나이키는 기술적인면에서도 뛰어난 혁신성을 보이며 다른 운동화들이 따라올수 없는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김석관, 앞의 책, p.69
나이키는 Air를 자사만의 고유한 제품체계로 발전시키면서 1985년 Air Jordan의 열풍을 몰고 오는 토대를 마련한다. 또 러닝화의 경우 달리기는 왼쪽으로 돈다는 점을 착안해 좌우가 비대칭적인 모습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최첨단 러닝화를 비슷한 기술적인 혁신은 나이키의 기술적 우월성을 보여주는 것이었고 이것이 세계 글로벌 시장에서 나이키가 성공할 수 있었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리복의 전략
김석관, 위의 책, 9.71
1982년 여성소비자들의 기호를 맞추어 에어로빅화로 성장하였던 리복은 나이키에 이어 2위자리만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그러던중 농구화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공기주입식 농구화인 \"Pump\"를 개발한다.1988년 리복은 기계설계 및 디자인 전문회사에 이를 의뢰하고 수많은 수정을 거쳐 모델이 확정되어 출시되게 된다. 김석관, 위의 책, p.71
이렇게 출시된 Pump는 리복의 1990년대 매출을 전년 대비 18.5% 늘리는 역할을 한다. Pump는 혁신적 아이디어로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사계로 평가되고 있으며 리복의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는데도 일조했다. 리복은 업계에서 마케팅 중심기업으로 인식될 정도로 마케팅에 강점을 지니고 있었는데, Pump를 마케팅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자사의 이미지를 혁신성을 더하는데 성공한 셈이다.
puma의 전략
김석관, 위의 책.p.76
puma는 1948년 형제기업인 adidas와 함께 1960년대까지의 운동화 시장을 지배하였고 축구화 시장에서 강점을 보인반면 러닝화 부문에서는 상대적 약세를 보이다가 1970년대 조깅 붐이 불자 시장에서 주도권을 나이키와 리복에게 내주게 된다. 그러던중 1989년 충격 흡수 시스템인 Trinomic을 개발하여 출시함으로써 고가품 시장으로의 진입을 시도한다.
그러나 시장에서 크게 성공하지 못하였고 결국에는 모방자라는 이미지로 비쳐지게 되어 중저품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는데 실패하게 된다. 그러던중 1992년과 1993년에 걸쳐 이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속적 혁신에 의해 좋은 반응을 얻기 시작한다.
그러나 더 좋은 충격 흡수 시스템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저가 브랜드라는 한번 굳어진 이미지는 벗어나지 못하고 결국 미국시장 점유율에서 18위에 그치고 있다.
해외 글로벌 브랜드들의 전략을 보면 공통적으로 제품혁신을 통해 자사만의 독특한 제품을 출시하였다는것을 공통점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각 제품이 지닌 기술적 혁신을 매번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소비자들은 “나이키=Air” 라고 떠올릴수 있듯이 각 제품의 기술적인 혁신이 그 제품 브랜드의 이미지를 대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업의 마케팅 역시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나이키나 리복의 경우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전략을 세우고 임하여 성공하였지만 Puma의 경우는 마케팅에 실패함으로써 중저가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탈피하는데 실패하였고 결국 미국시장에서 순위를 올리는데
도 실패하였다. 이 표를 보면 미국 시장에서 운동화들간의 시장 점유율 순위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즉 마케팅과 제품 혁신과의 연계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냐는 것도 알 수 있는 지표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이키는 제품 혁신과 마케팅을 가장 성공적으로 연계시킨 기업으로 꼽힌다. 김석관, 앞의 책, p.79
나이키는 창업 후 한동안 제품의 혁신에만 기업의 사활을 걸었다. 그러나 혁신적이지도 않은 리복의 에어로빅화에 시장 주도권을 내주는 경험을 하고서 경영 마인드를 생산 위주에서 마케팅 위주로 바꾸게 된다. 그 결과 탄생한것이 Air Joardan이다.
즉, 오늘날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제품혁신이 필수적인것이며 이와 적절히 연계된 마케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것이다. 또한 뛰어난 디자인 역시 제품의 이미지를 개선시키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프로스펙스는 이러한 점을 참고하여 시장에서 회생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할 것이다. 프로스펙스는 국제상사, 르까프는 화승 등 우리나라의 스포츠화 브랜드들은 한결같이 브랜드명과 기업명이 다르다. 이와 같은 경우는 마케팅 비용이 이중적으로 드는 비효율적인 기업명이다. 반면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 등과 같은 글로벌 브랜드들은 브랜드명을 기업명으로 동일화하고 있다. 기업명과 브랜드네임을 동일화한 브랜드는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훨씬 효과적이며 광고 및 마케팅활동에도 훨씬 더 용이하다. 조형적으로 아무리 잘된 디자인이라 하더라도 이미지프로모션과 광고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브랜드의 차별화, 개성화를 추구하지 못한다면 브랜드 파워는 구축할 수 없다.
또한 프로스펙스는 디자인 차별화 표현전략의 부족에서의 문제도 있었다. 프로스펙스가 스포츠 시장에서 소비자경쟁력에서 뒤처지고 소비자 니즈 만족에 제일 불만사항은 세련되지 못한 디자인과 감각적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