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울타리조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울타리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울타리란

양지바른 곳에 적합한 생울타리 수종
1. 삼나무
2. 측백나무
3. 향나무
4. 가이즈향나무
5. 탱자나무
6. 꽝꽝나무
7. 아왜나무

일조 부족이 되는곳에 자라는 생울타리 수종
1. 회양목
2. 감탕나무
3. 동백나무
4. 식나무
5. 광나무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7~8p
5. 탱자나무 --------------------------------------9~10p
6. 꽝꽝나무 -------------------------------------10~11p
7. 아왜나무 -------------------------------------12~13p
일조 부족이 되는곳에 자라는 생울타리 수종
1. 회양목 ---------------------------------------14~15p
2. 감탕나무 -------------------------------------15~16p
3. 동백나무 -------------------------------------17~18p
4. 식나무 ---------------------------------------18~19p
5. 광나무 ---------------------------------------20~21p
참고문헌 및 사이트 ----------------------------------22p
※생울타리※
생울타리는 도로나 인접 가옥의 경계부위에 조성하여 침입이나 시선을 차단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수목은 적당한 수고를 이루고 하지가 고사하지 않으며 , 치엽이 밀생한 상록수가 좋다. 또한 맹아력이 강하고 건조와 공해에 대한 저항력이 있으며 보호와 관리가 용이한 수목이 이상적이다.
※생울타리에 대한 기사※
자동차 문화가 발달된 도심지의 최대 고민이 차량 소음에 대한 갈등이다. 기본적으로 주택지는 조용하면서도 교통이 좋은 곳이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단독 주택지는 그나마 자동차 소음으로부터 좀 덜한 곳에 자리 잡지만 분양을 전제로 한 아파트 단지들은 대부분 지하철과 차량 통행이 용이한 대로변에 자리 잡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십중팔구 비산먼지와 차량 소음에 대한 민원이 생기게 된다. 쉽게 생각하여 소음 그러면 방음벽을 생각하게 된다. 아크릴 투명판이나 철판의 인공 구조물(4-7미터)이면 소음 문제는 해결 되는 것으로 인식하지만 실제 소음의 흡음률이 생가보다 높지 않다는 것이 설계자들의 이야기다.(8-10데시벨 정도 흡음) 그러나 이런 인공 구조물이 도시미관이나 자연환경에 얼마나 역기능적인 역할을 하는지는 모두가 인정하고 있다.
실제로 소음에 대한 흡음률은 흙(토벽)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여유 공간이 없는 도심지의 한계상 토벽의 조성은 쉽지 않다. 다음으로 고려 해 볼 것이 방음림 식재을 하는 생울타리 조성이다. 흡음률은 떨어지지만 도시미관이나 심리적 효과는 가장 뛰어난 도시 조경이고 많은 전문가들이 권장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잘 적용이 되지 않는다.
물론 과천시 경관관리기본계획에도 인공 방음벽 대신 생울타리를 설치 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도시를 가꾸고 마을을 만들어 가는 것은 1-2년의 문제이거나 어느 시대의 몫이 아니라 긴 세월 시민들의 역사이며 정체성이라야 한다.
이 도시의 이미지와 컵셉을 무엇으로 가고 이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정체성을 무엇으로 묶어 갈 것인지 함께 고민하고 공동의 목표와 동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 http://cafe.naver.com/limkw.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83)
생울타리용 수목
양지바른 곳에 적합한 수종
일조 부족이 되는 곳에 자라는 수종
향나무, 가이즈가향나무, 가시나무류, 탱자나무, 화백, 편백, 삼나무, 측백나무, 꽝꽝나무, 덩굴장미, 명자나무, 무궁화, 개나리, 피라칸사, 회양목, 보리수나무, 사철나무, 아왜나무등.
주목, 눈주목, 식나무, 붉가시나무, 광나무, 비자나무, 동백나무, 솔송나무, 광나무, 감탕나무, 회양목 등.
※수목※
양지바른 곳에 적합한 수종
1. 삼나무
학명 : Cryptomeria japonica D. Don.
영명 : Japanese Cryptomeria, Japanese Red Cedar, Japanese Sugi
(1) 외형적 특성
① 잎 : 상록성의 침형으로 나선상 ( 짧은 잎이 겹쳐서 나는 것으로 굉장히 날카롭다.)으로 달려 5열로 배열되었고, 길이가 12~25mm로 앞뒤에 능선이 있다.
② 꽃 : 일가화로 암꽃은 소지 끝에 한 개씩 달리고 자색으로 3월에 개화한다.
③ 열매 : 구과는 다소 원형으로 지름이 16~30mm 이고 적갈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종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8mm이고 둘레에 좁은 날개가 있고 자엽은 3개이다.
④ 가지 및 줄기 : 가지는 많이 나오며, 위로 또는 수평으로 퍼지고, 수피는 적갈색으로 세로로 어느 정도 깊게 갈라진다.
⑤ 뿌리 : 심근성
(2) 생 육 형
① 성상 : 상록침엽교목으로 집단의 미가 좋고 잎의 및도가 높아 엄숙한 맛을 준다. 수형이 다듬어져 있고 전정에 의해서 모양을 좋게 할 수 있다.
② 수형 : 원추형
③ 크기 : 높이 45m, 흉고직경 2m 정도 자랄 수 있는 나무이다.
(3) 원산지 : 일본
(4) 질감 : 중간
(5) 생육지역
남부지방에서 생육이 가능하며, 비옥한 토심이 깊은 골짜기에 알맞고 남사면과 능선부는 좋지 않다.
(6) 생태적 특성
① 음양성 : 양수
② 내건성 : 적윤지의 토양이 적당하며 토심이 깊어야 한다.
③ 내공해성 : 약하다.
④ 이식 : 보통
(7) 번식
① 실생 : 겨울 동안 노천매장한 종자를 뿌리며, 발아 후 해가림을 해주고 입고병에 약하다.② 삽목 : 삽목발근은 비교적 잘되며, 3월 하순경에 전년도 가지를 20~30cm의 길이로 다듬어 침수해 두었다가 삽목한다.
(8) 조경가치 및 용도
우리 나라에서는 내한성이 약하여 남부지방에서만 생육이 가능하다. 수형이 원추형이며 세로로 길게 벗겨지는 수형이 특이하고, 독립수로 적당하며 차폐용으로도 이용한다.
2. 측백나무
학명 : Thuja orientalis L.
영명 : Oriental Arborvitae, Chinese Arborvirae
(1) 외형적 특성
① 잎 : 상록성이고 잎은 바늘모양이며, 뾰족하고 길이 2.5mm, 나비 2mm 이며, 양면이 모두 녹색이거나 연한 황록색으로서 약간의 백색점이 있다.
② 꽃 : 일가화이며 암꽃은 원형으로 연한 자갈색이고, 수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0.08.0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6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