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선행 연구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Ⅱ. 본 론
1. 연암 소설에 나타난 인물 중 과부 연구
1.1 <열녀함양박씨전>, <호질>에 나타난 과부들의 사회와 개인 간 갈등 연구
1.2 연암의 과부에 대한 생각
2. 반영론적 관점을 통한 연암 소설 연구
2.1 <호질>에 반영된 가부장제도의 폐해와 근대성
2.2 <열녀함양박씨전>에 반영된 가부장제도의 폐해와 근대성
Ⅲ. 결 론
1. 선행 연구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Ⅱ. 본 론
1. 연암 소설에 나타난 인물 중 과부 연구
1.1 <열녀함양박씨전>, <호질>에 나타난 과부들의 사회와 개인 간 갈등 연구
1.2 연암의 과부에 대한 생각
2. 반영론적 관점을 통한 연암 소설 연구
2.1 <호질>에 반영된 가부장제도의 폐해와 근대성
2.2 <열녀함양박씨전>에 반영된 가부장제도의 폐해와 근대성
Ⅲ. 결 론
본문내용
하는 행동은 열녀와 거리가 먼 이중성을 보이는 인물이다. 이러한 동리자의 이중성을 드러내 열녀제도의 모순, 즉 가부장제도의 여성들의 고통을 비꼬아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동리자는 숨기고는 있지만 자신의 욕구를 자유롭게 풀고 있다. 이는 여성의 성욕을 인정하며 유교가 슬슬 빛이 바래는 근대사회의 모습이 반영되어있다 볼 수 있다. 이는 후에 갑오개혁에서 과부의 개가 허용으로 이어지며, 이는 여성의 성욕을 인정하고 그나마 여성을 자유롭게 놓아주는 제도라 볼 수 있다. 근대의 흐름이 이러하듯 동리자는 근대여성의 자유로움을 어느 정도 가진 인물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열녀라는 칭호를 받아 자신을 포장하는 현실적인 인물이다. 이 또한 동리자가 근대적인 인물이라고 볼 수 있는 근거이다.
2.2 <열녀함양박씨전>에 반영된 가부장제도의 폐해와 근대성
<열녀함양박씨전>에는 조선시대 가부장제도에서 열녀제도를 따라가며 사는 두 과부가 나온다. 살거나 죽거나 괴롭기는 매한가지다.
살아 있는 과부는 두 아들이 있다. 양반집 가문이며 만약 정절을 지키지 않는다면 아들의 벼슬길이 막힌다. 그리하여 두 아들이 장성할 때까지 동전을 굴러가며 정욕을 참는다. 정절을 지키지 않으면 자신의 두 아들이 피해를 본다. 누구보다 자식을 사랑하는 어머니로써는 정절을 지킬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개인의 정욕과 이러한 아들들의 입신양명이 달린 제도사이에 갈등이 일어나는 것이다. 성욕이라는 것은 식욕, 수면욕과 더불어 사람의 3대욕구에 해당하는 것이다.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싶은 욕구만큼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의 자연스럽고 당연한 욕구를 열녀 제도로 막아 두었으니 여기서 모순이 발생한다.
살아 있는 과부의 말에서 보듯이 자신도 정욕이 있는 존재라 밝히며 정욕을 참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아들에게 토로한다. 자신의 정욕을 솔직하게 아들들에게 털어놓는 과부의 모습이 상당히 솔직하게 다가온다. 정욕을 억제하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지는 조선사회에서 자신도 정욕이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은 상당히 용기 있는 행동이다. 두 아들은 그러한 자신의 어머니를 더럽다 욕하지 않고 서로 부등켜 안고 운다. 이는 아들들이 어머니의 그간의 고통을 이해하고 감싸안아 준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조선시대 양반 사대부인 두 아들이 어머니의 정욕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당시 사회의 관념에 비춰볼 때 상당히 진보한 행동이다. 즉 어머니는 자신의 정절 지키기의 어려움을 솔직히 토로했다는 점, 그리고 아들들은 이러한 어머니 여성의 성욕을 인정하고 위로해줬다는 점에서 연암 자신의 모습이 나타난 것은 아닌가 싶다. 이러한 어머니와 두 아들의 행동은 여성들의 성욕을 솔직히 인정했다는 점에서 근대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죽음을 택한 과부는 삼종지도와 가부장 제도가 철저히 주입된 인물이다. 아버지, 남편, 아들이 없는 그녀는 죽음을 택한다. 조선 시대 사대부가 열녀라 칭하는 그 사회의 모순에 길들어진 인물이다. 조선시대 여성의 자아가 남성에게 맞춰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인간은 후천적 동물이므로 사회화에 따라 자아에 엄청난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가정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여성은 어려서부터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로 부터 남성을 따르도록 하는 사상을 교육받고 거기에 맞춘 여성으로 자라나는 것이다. 그렇게 자라난 여성에게 자신의 주체성이란게 있을 리가 없다. 조선시대 가부장제도에 길들여진 여성이 삼종지도에 따를 남성이 없자 죽고 마는 것. 즉 가부장제도에 길들여진 여성이 죽음을 택함으로써 가부장제도는 여성을 죽음으로 모는 제도라는 것이다. 여기서 여성은 따를 남성이 없으면 가치가 없고 죽을 수 밖에 없다는 여성의 주체성을 인정하지 않는 조선 사회의 모순이 드러난다.
자신이 정신적으로 의지하는 남성 인물이 없자 자아를 잃어버리고 죽고 마는 그녀는 주체성 없는 인물로 전근대적 인물의 표상이다. 위의 동리자와 살아 있는 과부가 근대성을 보인 반면 죽음을 택한 과부는 그 반대인 전근대성을 보이고 있다.
Ⅲ. 결 론
연암 소설 중 <호질>의 동리자, <열녀함양박씨전>의 두 과부를 통해 조선시대 가부장제도의 폐해에 대해 알아보았다. 여성의 성욕을 철저히 억압하고 여성의 주체성을 어릴 때부터 무시해 버리는 가부장제도의 폐해가 이 두 소설에 잘 드러나 있다.
연암 또한 당대 사대부 계층으로 열녀제도를 옹호하는 입장에 서있는 사람이다. 열녀제도를 부정한다는 것은 자신의 계층인 사대부의 모순된 점을 인정한다는 점이다. 연암은 이를 인정하고 가부장 제도의 모순을 소설에 드러내 강도 높은 비판을 하고 있다.
소설은 그 당시 사회의 폐해를 모순된 인물과 첨예한 갈등을 통해 드러낼수록 좋은 소설이다. 이 점에서 과부라는 성욕이 억압된 모순된 인물의 선택, 그리고 조선사회와 이 여성들의 갈등을 드러내 열녀를 강조하는 사회의 모순을 잘 드러내고 있다.
자신의 욕구를 해소하며 겉으로는 열녀인 체 하는 동리자, 욕구가 있으나 자신의 두아들의 입신양명을 위해 욕구를 억제하며 살아온 살아 있는 과부, 삼종지도에 길들여져 자신이 따를 남성이 없자 죽음을 택한 과부. 이 세 인물 각각 가부장 제도에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나 조선시대 가부장 제도에 고통 받으며 갈등하고 있다. 그 갈등양상은 자신의 성욕을 숨긴 체 열녀인 양 행동하며 뒤로는 음녀의 모습은 지닌 동리자의 이중성, 자신의 두 아들을 위해 성욕을 참아야하는 살아 있는 과부, 조선 시대 제도에 길들여져 죽음을 택하고 마는 과부로 나타난다. 연암은 이러한 갈등을 통해 조선시대 가부장 제도를 수준 높게 비판하였다.
참고문헌
박지원 『박지원 작품 선집』 국립 문학 예술 서적 출판사, 1960.
조 호 「박지원의 「烈女咸陽朴氏傳」과 오경재의 「徽州府烈婦殉夫」 비교연구」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신향림 「열녀전의 사회적 역할과 박지원의 「열녀함양박씨전」」고려대학교 한자한문 연구소, 2008.
이상택·윤용식『고전소설론』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86.
정재욱 「연암소설에 나타난 문학사상 연구」조선대학교 대학원,2007.
김정주 「연암 박지원의 한문단편 연구 :여성인물의 특성과 역할을 중심으로」(공주대 교육대학원,2004)
또한 동리자는 숨기고는 있지만 자신의 욕구를 자유롭게 풀고 있다. 이는 여성의 성욕을 인정하며 유교가 슬슬 빛이 바래는 근대사회의 모습이 반영되어있다 볼 수 있다. 이는 후에 갑오개혁에서 과부의 개가 허용으로 이어지며, 이는 여성의 성욕을 인정하고 그나마 여성을 자유롭게 놓아주는 제도라 볼 수 있다. 근대의 흐름이 이러하듯 동리자는 근대여성의 자유로움을 어느 정도 가진 인물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열녀라는 칭호를 받아 자신을 포장하는 현실적인 인물이다. 이 또한 동리자가 근대적인 인물이라고 볼 수 있는 근거이다.
2.2 <열녀함양박씨전>에 반영된 가부장제도의 폐해와 근대성
<열녀함양박씨전>에는 조선시대 가부장제도에서 열녀제도를 따라가며 사는 두 과부가 나온다. 살거나 죽거나 괴롭기는 매한가지다.
살아 있는 과부는 두 아들이 있다. 양반집 가문이며 만약 정절을 지키지 않는다면 아들의 벼슬길이 막힌다. 그리하여 두 아들이 장성할 때까지 동전을 굴러가며 정욕을 참는다. 정절을 지키지 않으면 자신의 두 아들이 피해를 본다. 누구보다 자식을 사랑하는 어머니로써는 정절을 지킬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개인의 정욕과 이러한 아들들의 입신양명이 달린 제도사이에 갈등이 일어나는 것이다. 성욕이라는 것은 식욕, 수면욕과 더불어 사람의 3대욕구에 해당하는 것이다.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싶은 욕구만큼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의 자연스럽고 당연한 욕구를 열녀 제도로 막아 두었으니 여기서 모순이 발생한다.
살아 있는 과부의 말에서 보듯이 자신도 정욕이 있는 존재라 밝히며 정욕을 참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아들에게 토로한다. 자신의 정욕을 솔직하게 아들들에게 털어놓는 과부의 모습이 상당히 솔직하게 다가온다. 정욕을 억제하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지는 조선사회에서 자신도 정욕이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은 상당히 용기 있는 행동이다. 두 아들은 그러한 자신의 어머니를 더럽다 욕하지 않고 서로 부등켜 안고 운다. 이는 아들들이 어머니의 그간의 고통을 이해하고 감싸안아 준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조선시대 양반 사대부인 두 아들이 어머니의 정욕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당시 사회의 관념에 비춰볼 때 상당히 진보한 행동이다. 즉 어머니는 자신의 정절 지키기의 어려움을 솔직히 토로했다는 점, 그리고 아들들은 이러한 어머니 여성의 성욕을 인정하고 위로해줬다는 점에서 연암 자신의 모습이 나타난 것은 아닌가 싶다. 이러한 어머니와 두 아들의 행동은 여성들의 성욕을 솔직히 인정했다는 점에서 근대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죽음을 택한 과부는 삼종지도와 가부장 제도가 철저히 주입된 인물이다. 아버지, 남편, 아들이 없는 그녀는 죽음을 택한다. 조선 시대 사대부가 열녀라 칭하는 그 사회의 모순에 길들어진 인물이다. 조선시대 여성의 자아가 남성에게 맞춰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인간은 후천적 동물이므로 사회화에 따라 자아에 엄청난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가정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여성은 어려서부터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로 부터 남성을 따르도록 하는 사상을 교육받고 거기에 맞춘 여성으로 자라나는 것이다. 그렇게 자라난 여성에게 자신의 주체성이란게 있을 리가 없다. 조선시대 가부장제도에 길들여진 여성이 삼종지도에 따를 남성이 없자 죽고 마는 것. 즉 가부장제도에 길들여진 여성이 죽음을 택함으로써 가부장제도는 여성을 죽음으로 모는 제도라는 것이다. 여기서 여성은 따를 남성이 없으면 가치가 없고 죽을 수 밖에 없다는 여성의 주체성을 인정하지 않는 조선 사회의 모순이 드러난다.
자신이 정신적으로 의지하는 남성 인물이 없자 자아를 잃어버리고 죽고 마는 그녀는 주체성 없는 인물로 전근대적 인물의 표상이다. 위의 동리자와 살아 있는 과부가 근대성을 보인 반면 죽음을 택한 과부는 그 반대인 전근대성을 보이고 있다.
Ⅲ. 결 론
연암 소설 중 <호질>의 동리자, <열녀함양박씨전>의 두 과부를 통해 조선시대 가부장제도의 폐해에 대해 알아보았다. 여성의 성욕을 철저히 억압하고 여성의 주체성을 어릴 때부터 무시해 버리는 가부장제도의 폐해가 이 두 소설에 잘 드러나 있다.
연암 또한 당대 사대부 계층으로 열녀제도를 옹호하는 입장에 서있는 사람이다. 열녀제도를 부정한다는 것은 자신의 계층인 사대부의 모순된 점을 인정한다는 점이다. 연암은 이를 인정하고 가부장 제도의 모순을 소설에 드러내 강도 높은 비판을 하고 있다.
소설은 그 당시 사회의 폐해를 모순된 인물과 첨예한 갈등을 통해 드러낼수록 좋은 소설이다. 이 점에서 과부라는 성욕이 억압된 모순된 인물의 선택, 그리고 조선사회와 이 여성들의 갈등을 드러내 열녀를 강조하는 사회의 모순을 잘 드러내고 있다.
자신의 욕구를 해소하며 겉으로는 열녀인 체 하는 동리자, 욕구가 있으나 자신의 두아들의 입신양명을 위해 욕구를 억제하며 살아온 살아 있는 과부, 삼종지도에 길들여져 자신이 따를 남성이 없자 죽음을 택한 과부. 이 세 인물 각각 가부장 제도에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나 조선시대 가부장 제도에 고통 받으며 갈등하고 있다. 그 갈등양상은 자신의 성욕을 숨긴 체 열녀인 양 행동하며 뒤로는 음녀의 모습은 지닌 동리자의 이중성, 자신의 두 아들을 위해 성욕을 참아야하는 살아 있는 과부, 조선 시대 제도에 길들여져 죽음을 택하고 마는 과부로 나타난다. 연암은 이러한 갈등을 통해 조선시대 가부장 제도를 수준 높게 비판하였다.
참고문헌
박지원 『박지원 작품 선집』 국립 문학 예술 서적 출판사, 1960.
조 호 「박지원의 「烈女咸陽朴氏傳」과 오경재의 「徽州府烈婦殉夫」 비교연구」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신향림 「열녀전의 사회적 역할과 박지원의 「열녀함양박씨전」」고려대학교 한자한문 연구소, 2008.
이상택·윤용식『고전소설론』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86.
정재욱 「연암소설에 나타난 문학사상 연구」조선대학교 대학원,2007.
김정주 「연암 박지원의 한문단편 연구 :여성인물의 특성과 역할을 중심으로」(공주대 교육대학원,2004)
추천자료
- 북한문학사에서 판소리 문학과 연암문학의 평가
- 연암 박지원
- 연암 박지원과 법고창신에 대한 소고
- 연암 박지원의 단편소설
- 연암 박지원의 연보와 사상 및 작품활동
- [고전시가와 시가문학][고전시가와 형식][고전시가와 설화][고전시가][시가문학][형식][설화]...
- [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 문학 전개][고전주의 문학 이념][고전주의 문학 이행][풍자문학]고...
- [고전주의][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 음악][고전주의 발레][고전주의 미술]고전주의 문학, 고...
- 시가(시가문학)와 삼국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고려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조선시대...
- [문학관][한용운 문학관][박지원 문학관][김시습 문학관][드라이든 문학관][멜빌 문학관][한...
- [사적 전개, 민족문학론, 고전시가, 한국무가, 한국민요, 한국신화]민족문학론의 사적 전개, ...
- [일본문학, 일본, 근대문학]일본의 근대문학, 일본의 사실주의문학, 일본의 아동문학, 일본의...
- [고전과 현대 문학의 관련성 읽기][콩쥐 팥쥐 설화 와 고은 우리나라의 들국화]
- [고전소설론] 심청전 배경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