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평가문항 제작
2. 참고교재 및 문헌
3. 이원목적분류표 제작
2. 참고교재 및 문헌
3. 이원목적분류표 제작
본문내용
. 위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2점>
ㄱ. 우리나라에서도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ㄴ. 세계화 추세에 따라 일본은 영어를 공용어로 채택했다.
ㄷ. 영국계 미국인들의 미국에 대한 영 국화 시도는 잘못된 것이다.
ㄹ. 세계화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두 가 지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① ㄱ,ㄴ ②ㄱ,ㄷ ③ ㄴ,ㄷ ④ㄴ,ㄹ ⑤ ㄷ,ㄹ
2. ㉠과 ㉡을 표현할 수 있는 한자성어를 연결한 순서로 올바른 것은? <2점>
① 파죽지세(破竹之勢) - 부화뇌동(附和雷同)
② 막상막하(莫上莫下) - 기호지세(騎虎之勢)
③ 오월동주(吳越同舟) - 타산지석(他山之石)
④ 난형난제(難兄難弟) - 사필귀정(事必歸正)
⑤ 일취월장(日就月將) - 조령모개(朝令暮改)
3. 밑줄 친 ㉢과 같은 내용 전개 방법이 사 용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3점>
ㄱ. 그 험한 사막에도 어딘 가엔 반드시 오아시스가 있는 것처럼, 힘든 인생 에 있어서도 어딘가엔 소중한 친구가 있는 법이다.
ㄴ. 몇 년 전 강원도에 산불이 났을 때 동물의 사체는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로 미루어 동물은 위험에 대비한 예 견력을 지니고 있다고 짐작할 수 있다.
ㄷ. 우리의 고교 생활은 대학 진학이라는 목표를 향해 온갖 고통과 유혹을 감 내하면서 달려가는 과정이다. 등산도 자신과 싸우며 목표를 향해 오른다 는 점에서 이와 유사하다.
ㄹ. 물질적 조건에서 오는 행복은 유한한 것이다. 육체 그 자체가 이미 유한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다 배우자, 재 산, 지위, 명예 자녀, 권세 모두가 유 한한 것이다. 그러므로 물질적 행복 은 유한한 행복인 것이다. 따라서 제한된 행복인 것이다.
① ㄱ,ㄴ ②ㄱ,ㄷ ③ ㄴ,ㄷ ④ㄴ,ㄹ ⑤ ㄷ,ㄹ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진행자 : 우리 말과 글에 스며든 일본 어의 잔재는 반세기가 지났지만 아직도 청산되지 않고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엔 새로운 일본어투가 유입돼 한글을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뿌리 깊은 일본어 잔재를 장혜윤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인터뷰(대학생) : “(아이들이 고집을 부리며 떼를 쓰는 행동을 무어라 하죠?) 뗑깡부리다!”
- 기자 : 순우리말 생떼가 있으나 뎅깡이란 일본어가 자연스럽게 쓰여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말글이 깊숙이 침투한 일본어는 천백여 단어에 이릅니다. 입으로 전해지다 보니 일본어인지조차 모르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인터뷰(대학생) : “(‘뽀록나다’가 어느 나라 말일까요?) 순 우리말 아닌가요? 아닌가?”
- 기자 : 더욱이 일제 잔재어를 다 청산하기도 전 새로운 일본어가 계속 들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건설과 인쇄, 법률 분야 등 전문 분야가 더 심각한 상황입니다. 새로운 개념들을 우리말로 바꾸지 않고 손쉽게 외래어 그대로 받아들인 까닭입니다.
- 인터뷰(국립국어원 국어생활부 부장) : “새로운 개념들을 외래어로 정의할 경우 우리말의 자생력이 떨어져 우리말이 말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잃어버려 결국 변화하는 시대와 동떨어진 말글이 되고 만다.”
- 기자 : 때문에 의학계 등을 중심으로 전문 용어를 우리말로 바꿔 사전을 출판하는 등 우리말 학문하기 운동도 펼쳐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어 홍수를 막기엔 역부족입니다. 광복 60여 년, 일제 잔재어와 새로 들어오는 일본어에 맞서 우리 말과 글을 오롯이 지키려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ooo 뉴스 ooo입니다.
4. 위 글은 모년 3월1일에 방송된 텔레비전 방송기사이다. 이 기사가 전달하고자 하는 중심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내용 전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려했을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갑 : 특히 대학생들을 인터뷰해서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켜보는 것은 어떨까?
②을 : 전문가의 견해를 소개함으로써 기사 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것은 어떨까?
③병 : 문화적 상대주의의 입장을 피력함으 로써 자문화 중심주의에 빠지지 않 도록 유도하는 것은 어떨까?
④정 : 그렇다면 실제로 국민들이 일본말과 일본말에 대해 어느 정도 의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게 어떨까?
⑤무 : 광복 60여 년이 되는 오늘, 우리가 진정한 광복을 이루고 있는지 문제 를 제기하기 위해 언어 현상을 중심 으로 살펴 보는 것이 어떨까?
5. 위 글의 핵심 논지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의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① 타문명의 유입을 방비할 대안은 없는가?
② 미국이 단독으로 세계화를 이룰 수 있는가?
③ 도입종들을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④ 우리말을 바로 세울 수 있는 방안은 무엇 인가?
⑤ 미국을 제2의 영국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 도는 무엇인가?
【서술형1】이 글에서 영어 공부와 우리말에 대한 글쓴이의 관점을 한 문장으로 서술하시오. <5점>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객6~9)
--------------------------------
지난 여름, 작가 회의에서 북한 동포 돕기 시 낭송회를 한 적이 있다. 시인들만 참여하는 줄 알았더니, 각계 ㉠원로들도 자기가 평소 애송하던 시를 낭송하는 순서가 있다고 나한테도 한 편 낭송해 달라고 했다. 내가 원로 소리를 듣게 된 것이 당혹스러웠지만, 북한 돕기라는 데 핑계를 둘러대고 빠질 만큼 빤질빤질하지는 못했나보다.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거역할 수 없는 명분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낭송하고 싶은 시가 있었다는 게 아니었을까? 그 무렵, 나는 김용택의 ‘그 여자네 집’이라는 시에 사로잡혀 있었다. 김용택은 내가 좋아하는 시인 중의 한 사람일 뿐, 가장 좋아하는 시인이라고는 말 못하겠다. 마찬가지로 ‘그 여자네 집’이 그의 많은 시 중 빼어난 시에 속하는지 아닌지도 잘 모르겠다.
‘ 그 여자네 집’은 다음과 같다.
<중략>(가) 그 여자가 꽃 같은 열아홉 살 까지 살던 집
우리 동네 바로 윗동네 가운데 ㉡고샅 첫 집
내가 밖에서 집으로 갈 때
차에서 내리면 제일 먼저 눈길이 가는 집
그 집 앞을 다 지나도록 그 여자 모습이 보이지 않으면
저절로 발걸음이 느려지는 그 여자네 집
지금은 아, 지금은 이 세상에 없는 그 집
내 마음 속에 지어진 집
눈 감으면 살구꽃이 바람에 하얗게 날리는 집
눈 내리고, 아, 눈이, 살구나무
ㄱ. 우리나라에서도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ㄴ. 세계화 추세에 따라 일본은 영어를 공용어로 채택했다.
ㄷ. 영국계 미국인들의 미국에 대한 영 국화 시도는 잘못된 것이다.
ㄹ. 세계화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두 가 지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① ㄱ,ㄴ ②ㄱ,ㄷ ③ ㄴ,ㄷ ④ㄴ,ㄹ ⑤ ㄷ,ㄹ
2. ㉠과 ㉡을 표현할 수 있는 한자성어를 연결한 순서로 올바른 것은? <2점>
① 파죽지세(破竹之勢) - 부화뇌동(附和雷同)
② 막상막하(莫上莫下) - 기호지세(騎虎之勢)
③ 오월동주(吳越同舟) - 타산지석(他山之石)
④ 난형난제(難兄難弟) - 사필귀정(事必歸正)
⑤ 일취월장(日就月將) - 조령모개(朝令暮改)
3. 밑줄 친 ㉢과 같은 내용 전개 방법이 사 용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3점>
ㄱ. 그 험한 사막에도 어딘 가엔 반드시 오아시스가 있는 것처럼, 힘든 인생 에 있어서도 어딘가엔 소중한 친구가 있는 법이다.
ㄴ. 몇 년 전 강원도에 산불이 났을 때 동물의 사체는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로 미루어 동물은 위험에 대비한 예 견력을 지니고 있다고 짐작할 수 있다.
ㄷ. 우리의 고교 생활은 대학 진학이라는 목표를 향해 온갖 고통과 유혹을 감 내하면서 달려가는 과정이다. 등산도 자신과 싸우며 목표를 향해 오른다 는 점에서 이와 유사하다.
ㄹ. 물질적 조건에서 오는 행복은 유한한 것이다. 육체 그 자체가 이미 유한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다 배우자, 재 산, 지위, 명예 자녀, 권세 모두가 유 한한 것이다. 그러므로 물질적 행복 은 유한한 행복인 것이다. 따라서 제한된 행복인 것이다.
① ㄱ,ㄴ ②ㄱ,ㄷ ③ ㄴ,ㄷ ④ㄴ,ㄹ ⑤ ㄷ,ㄹ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진행자 : 우리 말과 글에 스며든 일본 어의 잔재는 반세기가 지났지만 아직도 청산되지 않고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엔 새로운 일본어투가 유입돼 한글을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뿌리 깊은 일본어 잔재를 장혜윤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인터뷰(대학생) : “(아이들이 고집을 부리며 떼를 쓰는 행동을 무어라 하죠?) 뗑깡부리다!”
- 기자 : 순우리말 생떼가 있으나 뎅깡이란 일본어가 자연스럽게 쓰여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말글이 깊숙이 침투한 일본어는 천백여 단어에 이릅니다. 입으로 전해지다 보니 일본어인지조차 모르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인터뷰(대학생) : “(‘뽀록나다’가 어느 나라 말일까요?) 순 우리말 아닌가요? 아닌가?”
- 기자 : 더욱이 일제 잔재어를 다 청산하기도 전 새로운 일본어가 계속 들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건설과 인쇄, 법률 분야 등 전문 분야가 더 심각한 상황입니다. 새로운 개념들을 우리말로 바꾸지 않고 손쉽게 외래어 그대로 받아들인 까닭입니다.
- 인터뷰(국립국어원 국어생활부 부장) : “새로운 개념들을 외래어로 정의할 경우 우리말의 자생력이 떨어져 우리말이 말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잃어버려 결국 변화하는 시대와 동떨어진 말글이 되고 만다.”
- 기자 : 때문에 의학계 등을 중심으로 전문 용어를 우리말로 바꿔 사전을 출판하는 등 우리말 학문하기 운동도 펼쳐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어 홍수를 막기엔 역부족입니다. 광복 60여 년, 일제 잔재어와 새로 들어오는 일본어에 맞서 우리 말과 글을 오롯이 지키려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ooo 뉴스 ooo입니다.
4. 위 글은 모년 3월1일에 방송된 텔레비전 방송기사이다. 이 기사가 전달하고자 하는 중심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내용 전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려했을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갑 : 특히 대학생들을 인터뷰해서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켜보는 것은 어떨까?
②을 : 전문가의 견해를 소개함으로써 기사 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것은 어떨까?
③병 : 문화적 상대주의의 입장을 피력함으 로써 자문화 중심주의에 빠지지 않 도록 유도하는 것은 어떨까?
④정 : 그렇다면 실제로 국민들이 일본말과 일본말에 대해 어느 정도 의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게 어떨까?
⑤무 : 광복 60여 년이 되는 오늘, 우리가 진정한 광복을 이루고 있는지 문제 를 제기하기 위해 언어 현상을 중심 으로 살펴 보는 것이 어떨까?
5. 위 글의 핵심 논지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의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① 타문명의 유입을 방비할 대안은 없는가?
② 미국이 단독으로 세계화를 이룰 수 있는가?
③ 도입종들을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④ 우리말을 바로 세울 수 있는 방안은 무엇 인가?
⑤ 미국을 제2의 영국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 도는 무엇인가?
【서술형1】이 글에서 영어 공부와 우리말에 대한 글쓴이의 관점을 한 문장으로 서술하시오. <5점>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객6~9)
--------------------------------
지난 여름, 작가 회의에서 북한 동포 돕기 시 낭송회를 한 적이 있다. 시인들만 참여하는 줄 알았더니, 각계 ㉠원로들도 자기가 평소 애송하던 시를 낭송하는 순서가 있다고 나한테도 한 편 낭송해 달라고 했다. 내가 원로 소리를 듣게 된 것이 당혹스러웠지만, 북한 돕기라는 데 핑계를 둘러대고 빠질 만큼 빤질빤질하지는 못했나보다.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거역할 수 없는 명분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낭송하고 싶은 시가 있었다는 게 아니었을까? 그 무렵, 나는 김용택의 ‘그 여자네 집’이라는 시에 사로잡혀 있었다. 김용택은 내가 좋아하는 시인 중의 한 사람일 뿐, 가장 좋아하는 시인이라고는 말 못하겠다. 마찬가지로 ‘그 여자네 집’이 그의 많은 시 중 빼어난 시에 속하는지 아닌지도 잘 모르겠다.
‘ 그 여자네 집’은 다음과 같다.
<중략>(가) 그 여자가 꽃 같은 열아홉 살 까지 살던 집
우리 동네 바로 윗동네 가운데 ㉡고샅 첫 집
내가 밖에서 집으로 갈 때
차에서 내리면 제일 먼저 눈길이 가는 집
그 집 앞을 다 지나도록 그 여자 모습이 보이지 않으면
저절로 발걸음이 느려지는 그 여자네 집
지금은 아, 지금은 이 세상에 없는 그 집
내 마음 속에 지어진 집
눈 감으면 살구꽃이 바람에 하얗게 날리는 집
눈 내리고, 아, 눈이, 살구나무
추천자료
[사범/법학] 표준화 검사
아동용 지능검사를 5종 이상 선정후, 각각의 특성과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교육평가 도구의 형태
교육평가 분석 (에뿔)
교육과정 및 평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제정리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핵심정리 서브노트
대학 4학년의 성별과 출생서열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차이 (연구계획서)
타당도에 대한 표 정리
고등정신기능(고급사고력)의 특징, 고등정신기능(고급사고력) 유형1, 고등정신기능(고급사고...
농어촌 소규모 고등학교의 필요성, 농어촌 소규모 고등학교의 교육실태, 농어촌 소규모 고등...
교육평가의 유형, 문제점, 개선점
내가 원하는 바람직한 미래의 리더상과 리더십 설계
5학년 도덕 지도안-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발걸음-북한에서 온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