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아산병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관리학-아산병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움으로 배뇨.
4. 계속적인 관찰을 요하면서 tube feeding.
④ 운동 및 활동
1. 스스로 능동적 운동가능.
2. 부분적 도움이나 보조기구 이용.
3. 침상 내에서 부분적 도움으로 수동적 운동.
4. 부동 상태에서 전적의족의 수동적 운동 혹은 체위변경.
⑤ 교육 및 자문
1. 입, 퇴원 시 기본적인 교육 필요.
2. 처치에 대한 설명과 교육이 요구됨.
3. 질병관리에 대한 교육, 설명이 자주 요구됨.
4. 고도의 처치와 자가 관리가 필요하며 많이 요구됨.
⑥ 정서적 지지
1. 자신의 상태에 대해서 인정.
2. 가끔씩 질병으로 인한 우울이나 분노 등을 표현.
3. 우울이나 분노가 자주 관찰.
4. 무기력 상태나 정서불안으로 지속적 지지가 요구.
⑦ 의사소통 및 의식상태
1. 지남력이 명확하고 의사소통이 명확함.
2. 의식과 지남력은 있으나 의사소통 시 부분적 도움 필요.
3. 질문에 대한 반응이 시간이 걸리고 반복적으로 천천히 설명해야함.
4. 의식변화가 심하거나 무의식 상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
⑧ 치료 및 검사
1. 기본적인 단순검사 및 치료.
2. 검사 및 치료 전 후 약간의 준비와 설명이 필요.
3. 검사치료 전 후 충분한 설명과 치료 후 6시간 동안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
4. 세심한 분비와 관찰 및 설명 필요, 검사 후 12-24시간동안 세심한 관찰 필요.
⑨ 투약
1. 기본적인 정기투약 및 특별한 관찰이 필요 없음.
2. 3회/1일 이상의 투약 및 관찰이 필요.
3. q 4h 이내의 투약간격과 관찰이 필요.
4. 특수투약과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
측정 및 관찰
1. 기본적인 활력증후 측정.
2. V/S q4h 혹은 매일의 I/O.
3. V/S q2h 혹은 I/O 6h.
4. V/S q1h 혹은 I/O q2h 이내, 계속적인 관찰 필요.
환자관리를 위한 부서 간 조정
1. 필요 없음.
2. 기본적인 급식관리 및 주치의 상담.
3. 타 병동으로 이동 위한 환자 및 보호자 관리.
4. 잦은 타과의뢰, 치료사 및 사회복지사 등과 환자 논의 많음.
전동 관리
1. 기본적인 퇴원교육, 해당 없음.
2. 타 병동으로 이동위한 환자 및 보호자 관리.
3. 퇴원 후 지역사회 기관의뢰를 위한 조정활동 및 환자와 보호자 관리.
4. 상태악화로 중환자실 이동 시 환자 및 보호자 관리.
(1) 적정 간호인력 산정
(1군-6명×1.4시간)+(2군-42명×2.5시간)+(3군-1명×4.1시간)+(4군-0명×6.1시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3
8
(8.4)+(105)+(4.1)+(0)
=________________________×1.3 =19.09 총 19명이 적정 간호인력임.
8
★ 논의
94병동 환자들의 분류를 보면 대부분 1군 혹은 2군이였으며 평균 1.9군으로 나타났다. 보호자가 있거나 간병인이 있어서 간호사가 노동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적정간호인력을 계산해보면 19명이 적정 간호인력이 나오는데 94병동은 총 23명이므로 간호사가 부족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근무표 작성 원칙 파악 및 실제 짜보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합계
A
EL
EL
EL
OF
EL
EL
EL
OF
OF
DL
DL
DL
OF
OF
OF
DL
DL
DL
EL
EL
OF
OF
N
N
N
OF
OF
DL
DL
DL
10
B
DL
D
D
OF
OF
N
N
OF
OF
E
EL
EL
EL
EL
OF
OF
EL
EL
N
N
OF
OF
DL
DL
DL
EL
EL
OF
OF
OF
11
C
N
OF
OF
DL
DL
DL
OF
EL
EL
EL
E
OF
DL
DL
DL
EL
OF
OF
DL
DL
DL
DL
OF
OF
EL
N
N
OF
OF
EL
10
D
OF
DL
DL
EL
OF
OF
DL
DL
DL
OF
N
OF
OF
D
EL
N
N
N
N
OF
OF
EL
EL
EL
EL
OF
DL
DL
EL
EL
10
E
OF
N
OF
OF
E
E
OF
N
N
OF
OF
E
E
E
N
OF
OF
D
E
OF
D
D
D
E
OF
E
E
N
OF
OF
12
F
D
OF
E
E
OF
D
D
D
E
OF
OF
N
N
OF
OF
D
D
D
D
OF
E
E
E
N
OF
OF
OF
D
N
OF
11
G
E
E
OF
D
D
D
OF
D
D
N
OF
OF
D
D
D
E
E
OF
OF
OF
N
N
OF
OF
D
D
E
E
OF
N
10
H
OF
D
D
OF
N
N
OF
OF
D
D
D
OF
OF
N
N
OF
OF
E
E
E
OF
D
D
E
E
OF
D
D
E
E
10
I
D
OF
N
N
OF
OF
E
E
E
OF
OF
D
E
E
E
E
OF
OF
D
D
D
E
OF
D
D
N
N
OF
OF
10
★ 논의
전체적으로 잘 짜여졌으나 하루 쉬고 하루 일하고 하루 쉬고 하루 일하는 (일명 퐁당퐁당) 식의 duty는 좋지 않다고 말씀하셨다. 또한 최대한 5일이상 근무를 할 수 있다고 하여도 3일 일하고 쉬게 해주는 식의 duty표가 간호사들의 능률에 좋다고 하셨다.
3. 간호사의 교육프로그램
⑴ 예비교육
① 간호사 예비교육
- e-learning을 통해 3개월 간 교육
- 병원 전체에 대한 교육 1개월, 예비교육(이론, 실습, 전산 등) 2개월
② 간호단위 교육 : 지침서 이용
- 간호단위 배치 직후 신입, staff nurse, charge nurse, unit manager가 미리 교육방법을 제시
- 교육, 평가
- preceptor가 1주일 단위로 교육내용 점검
- 2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때 각각 feedback
- unit manager feedback
⑵ 재직교육
① 최신 간호동양, 특강, 해외연수보고회 등
② 직무교육
- 직무교육 : 신체사정, 심폐소생술, preceptor(기본, 향상)
- 간호팀별 실무향상 교육
- 간호단위별 교육 : 1달에 한번 conference
③ 보수교육
- 임상약리, 발관리, 진단적검사의 이해, 여성건강관리, 호스피스
⑶ 직원개
  • 가격2,7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0.08.23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80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