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정폭력의 실태 - 아내폭력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1.폭력의 의미와 가정폭력
1) 폭력의 개념
2) 폭력의 설명방식
3) 폭력의 범위와 허용정도
4) 가정폭력의 의미
2. 아내폭력의 의미와 실태
1) 아내폭력의 의미
① 아내폭력의 개념
② 아내폭력의 하위개념
③ 폭력행위의 발생 시기, 반복주기 및 발생빈도
2) 실태파악
3. 아내폭력의 원인에 대한 이론
⑴ 개인적 이론(Intraindividual Theory)
⑵ 사회 심리적 이론(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⑶ 사회문화적 이론(Sociocultural Theory)
4. 아내폭력의 갈등 요인
5. 이론을 통해 본 아내폭력의 원인
1) 개인적 원인에 대한 이론적용
2) 사회적 원인에 대한 이론 적용
Ⅲ. 결 론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1.폭력의 의미와 가정폭력
1) 폭력의 개념
2) 폭력의 설명방식
3) 폭력의 범위와 허용정도
4) 가정폭력의 의미
2. 아내폭력의 의미와 실태
1) 아내폭력의 의미
① 아내폭력의 개념
② 아내폭력의 하위개념
③ 폭력행위의 발생 시기, 반복주기 및 발생빈도
2) 실태파악
3. 아내폭력의 원인에 대한 이론
⑴ 개인적 이론(Intraindividual Theory)
⑵ 사회 심리적 이론(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⑶ 사회문화적 이론(Sociocultural Theory)
4. 아내폭력의 갈등 요인
5. 이론을 통해 본 아내폭력의 원인
1) 개인적 원인에 대한 이론적용
2) 사회적 원인에 대한 이론 적용
Ⅲ. 결 론
본문내용
리고 성적 폭력 등이 포함된다. 신체적 폭력은 악의와 해를 끼치려는 고의성을 내포하는 면에서는 다른 해악적 행위와 비슷하지만 신체적 고통의 괴로움이라는 점에서 독특하고(Gelles 이동원김지선 역, 1998), 폭력의 결과가 살인이라는 엄청난 불행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Post, 1982), 당장 신변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공포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우선적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정서적, 심리적 폭력의 영향이 신체적 피해의 영향보다 더 크고 깊으며 성적 학대는 더욱 더 해로운 결과를 초래한다(Gelles/이동원김지선 역, 1998)는 연구와 심리적 폭력, 언어적 폭력, 성적 폭력의 상호관련성과 실태의 심각성이 지적되면서 하위개념의 폭력행위들을 아내폭력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하는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폭력경험이 있는 301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아내폭력의 발생을 조사한 연구(홍순애, 1996)에서는 전 응답자의 62.8%가 여러 하위유형의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하위개념의 폭력행위가 아내폭력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traus 등(1996)이 개발한 CTS2(Conflict Tactics Scales 2)도 협상, 신체적 폭력,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 상해 상해(injury)는 폭력행동의 결과가 신체적 손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삐거나, 타박상 입음, 상처가 생김, 기절함, 뼈가 부러짐, 다쳐서 병원에 감, 맞은 후유증으로 다음 날까지 몸이 아픈 것 등의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난다.
폭력(violence)은 심리적신체적으로 가해지는 공격적 행동을 말한다. 예를 들면, 모욕적인 말, 고함지름, 소유물을 부숨, 악의에 찬 괴롭히는 말, 물건을 집어던짐, 팔을 비틈, 머리카락을 잡아당김, 빰을 때림, 벽쪽으로 세게 밀어부침, 무기를 사용하여 위협하는 등의 공격적 행동이다.
를 아내학대의 하위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폭력행위의 정도에 있어서는 밀치기, 가볍게 치기 등의 가벼운 정도의 ‘약한 폭력’과 세게 밀기, 목을 조르기, 위험한 흉기를 사용하여 위협하기 등의 심각한 정도의 ‘심한 폭력’으로 구분하고 있다(백경임, 1998재인용). 이처럼 폭력행위는 그 정도에 따라 피해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③ 폭력행위의 발생 시기, 반복주기 및 발생빈도
이러한 폭력의 정도와 함께 아내폭력의 심각성을 논의할 때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 폭력행위의 발생시기, 반복주기 및 발생빈도도 검토의 대상이 된다. 일 년에 한번을 구타하더라도 뼈가 부러지거나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 하면, 빈번히 때리더라도 외상을 남기지 않는 교묘한 수법을 사용하는 사례도 흔히 보고되고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쉼터를 이용하고 있거나 상담을 받는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김지영, 1995)에서 52명의 응답자 가운데 반복주기가 1주에 1~2회와 3~4회가 각각 11.5%이고 1개월에 1~3회는 21.2%, 6개월에 1~2회는 23.1%, 그리고 년 1~2회도 26.9%나 되었다. 이들의 경우 최초의 구타시기가 결혼 6개월 이내가 51.9%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폭력의 반복주기가 짧고 발생시기가 결혼 초기라는 점에서 아내폭력의 복잡한 요인의 또 다른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2) 실태파악
우리나라의 아내폭력에 대한 실태를 1995년의 전국규모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보면 아내폭력율은 27.9%이었는데 이 수치에 부부 상호 폭력율 12.3%를 합산하면 아내 폭력율은 훨씬 더 증가한다고 한다. 그리고 2004년 9-12월 여성부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19-65세 혼인경험자 6천156명(남성 3천71명ㆍ여성 3천85명)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배우자 폭력실태’의 경우 지난 1년간 배우자로부터 ‘신체적인 폭력을 당했다’는 응답자가 전체 응답가구의 15.7%로, 기혼가구 6가구 가운데 1가구는 부부간에 신체적 폭력을 경험하고 셈이다. 신체적 폭력뿐 아니라 정신적 폭력, 성적 폭력까지 포함하면 비율은 훨씬 높아져 44.6%에 달한다. 그렇다면 누가 가해자인가. 조사에 따르면, 방어적 폭력이나 대응 폭력을 제외한 주도적 폭력의 행사자는 남성이 12.1%로 여성 3.7%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발로 차거나 주먹, 혹은 혁대나 몽둥이 등 물건으로 때리거나, 칼이나 흉기로 위협하는 심한 폭력을 기준으로 보면, 남자가 3.7%로 여자 1.2%보다 세 배 이상 높았다. 이에 대해 여성부는 “여성에 의한 남편폭력 대부분은 남편의 폭력에 대한 방어차원에서 행사되며, 우리나라 배우자 폭력의 대부분은 남성에 의한 아내폭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① 폭력이 시작된 시기
폭력이 시작된 시기는 결혼후 3개울 이내, 결혼저, 결혼 1년후, 결혼 4개우럴-1년 이내 순으로 나타나 74%가 결혼 초 또는 결혼 전 등 관계의 초기부터 폭력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결혼 전 폭력의 경우 상대자의 협박, 순결상실, 임신 등으로 결혼 생활을 시작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시작 시기>
명
(%)
결혼전
25
16.4
결혼후-3개월 이내
43
28.3
결혼 4개월-1년 이내
21
13.8
결혼 1년후
23
15.1
결혼 3년후
12
7.9
결혼 5년후
11
7.2
결혼 10년후
8
5.3
기타
9
6.0
계
152
②폭력이 일어나는 시간 및 빈도
폭력이 주로 일어나는 시간은 야간, 구분없이 순으로 답하여, 폭력이 주로 남편의 귀가후나 남편이 집에 있는 시간 언제든지 일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시간
명
(%)
오전
2
1.2
오후
8
5.0
야간
74
46.0
구분없이
68
42.2
기타
9
5.6
계
161
빈도
명
(%)
첫번째
2
1.5
년1회 이상 12회 미만
53
39.3
월1회 이상 4회 미만
26
19.2
추1회 이상 6회 미만
22
16.3
주7회 이상
1
0.8
기타
31
22.9
계
135
100.0
폭력의 빈도는 년 1회 이상 12회 미만이 39%로 가장 많았으나, 월 1회 이상의 폭력,주 1회 이상 폭력 등 잦은 폭력을 당하는
그러나 정서적, 심리적 폭력의 영향이 신체적 피해의 영향보다 더 크고 깊으며 성적 학대는 더욱 더 해로운 결과를 초래한다(Gelles/이동원김지선 역, 1998)는 연구와 심리적 폭력, 언어적 폭력, 성적 폭력의 상호관련성과 실태의 심각성이 지적되면서 하위개념의 폭력행위들을 아내폭력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하는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폭력경험이 있는 301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아내폭력의 발생을 조사한 연구(홍순애, 1996)에서는 전 응답자의 62.8%가 여러 하위유형의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하위개념의 폭력행위가 아내폭력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traus 등(1996)이 개발한 CTS2(Conflict Tactics Scales 2)도 협상, 신체적 폭력,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 상해 상해(injury)는 폭력행동의 결과가 신체적 손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삐거나, 타박상 입음, 상처가 생김, 기절함, 뼈가 부러짐, 다쳐서 병원에 감, 맞은 후유증으로 다음 날까지 몸이 아픈 것 등의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난다.
폭력(violence)은 심리적신체적으로 가해지는 공격적 행동을 말한다. 예를 들면, 모욕적인 말, 고함지름, 소유물을 부숨, 악의에 찬 괴롭히는 말, 물건을 집어던짐, 팔을 비틈, 머리카락을 잡아당김, 빰을 때림, 벽쪽으로 세게 밀어부침, 무기를 사용하여 위협하는 등의 공격적 행동이다.
를 아내학대의 하위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폭력행위의 정도에 있어서는 밀치기, 가볍게 치기 등의 가벼운 정도의 ‘약한 폭력’과 세게 밀기, 목을 조르기, 위험한 흉기를 사용하여 위협하기 등의 심각한 정도의 ‘심한 폭력’으로 구분하고 있다(백경임, 1998재인용). 이처럼 폭력행위는 그 정도에 따라 피해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③ 폭력행위의 발생 시기, 반복주기 및 발생빈도
이러한 폭력의 정도와 함께 아내폭력의 심각성을 논의할 때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 폭력행위의 발생시기, 반복주기 및 발생빈도도 검토의 대상이 된다. 일 년에 한번을 구타하더라도 뼈가 부러지거나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 하면, 빈번히 때리더라도 외상을 남기지 않는 교묘한 수법을 사용하는 사례도 흔히 보고되고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쉼터를 이용하고 있거나 상담을 받는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김지영, 1995)에서 52명의 응답자 가운데 반복주기가 1주에 1~2회와 3~4회가 각각 11.5%이고 1개월에 1~3회는 21.2%, 6개월에 1~2회는 23.1%, 그리고 년 1~2회도 26.9%나 되었다. 이들의 경우 최초의 구타시기가 결혼 6개월 이내가 51.9%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폭력의 반복주기가 짧고 발생시기가 결혼 초기라는 점에서 아내폭력의 복잡한 요인의 또 다른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2) 실태파악
우리나라의 아내폭력에 대한 실태를 1995년의 전국규모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보면 아내폭력율은 27.9%이었는데 이 수치에 부부 상호 폭력율 12.3%를 합산하면 아내 폭력율은 훨씬 더 증가한다고 한다. 그리고 2004년 9-12월 여성부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19-65세 혼인경험자 6천156명(남성 3천71명ㆍ여성 3천85명)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배우자 폭력실태’의 경우 지난 1년간 배우자로부터 ‘신체적인 폭력을 당했다’는 응답자가 전체 응답가구의 15.7%로, 기혼가구 6가구 가운데 1가구는 부부간에 신체적 폭력을 경험하고 셈이다. 신체적 폭력뿐 아니라 정신적 폭력, 성적 폭력까지 포함하면 비율은 훨씬 높아져 44.6%에 달한다. 그렇다면 누가 가해자인가. 조사에 따르면, 방어적 폭력이나 대응 폭력을 제외한 주도적 폭력의 행사자는 남성이 12.1%로 여성 3.7%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발로 차거나 주먹, 혹은 혁대나 몽둥이 등 물건으로 때리거나, 칼이나 흉기로 위협하는 심한 폭력을 기준으로 보면, 남자가 3.7%로 여자 1.2%보다 세 배 이상 높았다. 이에 대해 여성부는 “여성에 의한 남편폭력 대부분은 남편의 폭력에 대한 방어차원에서 행사되며, 우리나라 배우자 폭력의 대부분은 남성에 의한 아내폭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① 폭력이 시작된 시기
폭력이 시작된 시기는 결혼후 3개울 이내, 결혼저, 결혼 1년후, 결혼 4개우럴-1년 이내 순으로 나타나 74%가 결혼 초 또는 결혼 전 등 관계의 초기부터 폭력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결혼 전 폭력의 경우 상대자의 협박, 순결상실, 임신 등으로 결혼 생활을 시작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시작 시기>
명
(%)
결혼전
25
16.4
결혼후-3개월 이내
43
28.3
결혼 4개월-1년 이내
21
13.8
결혼 1년후
23
15.1
결혼 3년후
12
7.9
결혼 5년후
11
7.2
결혼 10년후
8
5.3
기타
9
6.0
계
152
②폭력이 일어나는 시간 및 빈도
폭력이 주로 일어나는 시간은 야간, 구분없이 순으로 답하여, 폭력이 주로 남편의 귀가후나 남편이 집에 있는 시간 언제든지 일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시간
명
(%)
오전
2
1.2
오후
8
5.0
야간
74
46.0
구분없이
68
42.2
기타
9
5.6
계
161
빈도
명
(%)
첫번째
2
1.5
년1회 이상 12회 미만
53
39.3
월1회 이상 4회 미만
26
19.2
추1회 이상 6회 미만
22
16.3
주7회 이상
1
0.8
기타
31
22.9
계
135
100.0
폭력의 빈도는 년 1회 이상 12회 미만이 39%로 가장 많았으나, 월 1회 이상의 폭력,주 1회 이상 폭력 등 잦은 폭력을 당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