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의 소재
Ⅱ. 정보 수집행위의 법적 성질
1. 통신비밀보호법상의 감청에 해당하는지 여부
2. 강학상 행정행위인지 여부
3. 처분성인정 여부
Ⅲ. 구제방법
1. 정보수집 행위가 종료된 경우
2. 정보수집 행위가 계속중인 경우
Ⅳ. 결
Ⅱ. 정보 수집행위의 법적 성질
1. 통신비밀보호법상의 감청에 해당하는지 여부
2. 강학상 행정행위인지 여부
3. 처분성인정 여부
Ⅲ. 구제방법
1. 정보수집 행위가 종료된 경우
2. 정보수집 행위가 계속중인 경우
Ⅳ. 결
본문내용
는 볼 수 없는 바 대등 당사자를 전제로 하는 일반 민사소송보다는 공법상의 당사자소송으로 국가배상사건을 다루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경찰의 위법한 정보수집행위로 인하여 손해를 입은 당사자는 공법상 당사자소송을 통하여 국가배상법상의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2. 정보수집 행위가 계속중인 경우
(1) 취소소송
경찰의 정보수집행위가 계속 중인 경우에는 취소할 처분행위가 계속 존재하고 소송을 통해 해결할 권리보호의 필요성이 존재하므로 행정소송법 제3조 제1호의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2) 국가배상청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찰의 위법한 정보수집행위로 인하여 손해를 입는 경우에는 국가배상법 제2조의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Ⅳ. 결
경찰의 범죄예방을 위한 또는 위험방지를 위한 은밀한 정보수집행위는 통신비밀보호법상의 범죄수사를 위한 감청에 해당하고 권력적 사실행위로서 처분성이 인정된다.
따라서, 위법한 정보수집행위가 계속중인 때에는 행정소송법 제3조 제1호의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하지만, 위법한 정보수집행위가 종료된 때에는 협의의 소의 이익이 흠결되어 항고소송은 부적법하고 다만 국가배상을 청구 할 수 있다.
2. 정보수집 행위가 계속중인 경우
(1) 취소소송
경찰의 정보수집행위가 계속 중인 경우에는 취소할 처분행위가 계속 존재하고 소송을 통해 해결할 권리보호의 필요성이 존재하므로 행정소송법 제3조 제1호의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2) 국가배상청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찰의 위법한 정보수집행위로 인하여 손해를 입는 경우에는 국가배상법 제2조의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Ⅳ. 결
경찰의 범죄예방을 위한 또는 위험방지를 위한 은밀한 정보수집행위는 통신비밀보호법상의 범죄수사를 위한 감청에 해당하고 권력적 사실행위로서 처분성이 인정된다.
따라서, 위법한 정보수집행위가 계속중인 때에는 행정소송법 제3조 제1호의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하지만, 위법한 정보수집행위가 종료된 때에는 협의의 소의 이익이 흠결되어 항고소송은 부적법하고 다만 국가배상을 청구 할 수 있다.
추천자료
바람직한 정보경찰의 방향
정보통신윤리 지도에 관한 고찰
특별행정작용에 대하여
스토킹 대처방안
[사이버범죄]컴퓨터범죄의 특성과 사례분석 및 대응체제
[사이버범죄][인터넷범죄][컴퓨터범죄]사이버범죄(인터넷범죄) 및 컴퓨터범죄(사이버범죄(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발표자료입니다.
수사의 개시
[청소년비행 사례][청소년비행][비행청소년][청소년범죄][청소년문제][비행]다양한 청소년비...
베어링 기업이 몰락...통제기능 상실
성폭력범죄처벌법 중 전자팔찌법안과 화학적거세법안의 실효성에 관한 논의(한국사회문제B형)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性犯罪者 身上公開制度)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에 대한 반대의견과 개...
[청소년 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의 특성과 특징, 청소년 사이버범죄의 특징, 실태와 사례, 문...
경찰관직무집행법상 위법한 즉시강제의 피해사례와 구제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