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후보 약력
2. 공화당의 이념 & 자질
3. 미대선이 갖는 의의
4. 매케인 후보 공약
5. 전망
-한반도
-경제
-이라크
6.결론
2. 공화당의 이념 & 자질
3. 미대선이 갖는 의의
4. 매케인 후보 공약
5. 전망
-한반도
-경제
-이라크
6.결론
본문내용
<국제관계학 개론_고대원 교수님>
미 대선이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
9조
존 매케인(John Sidney McCain III)
-개요-
1. 후보 약력
2. 공화당의 이념 & 자질
3. 미대선이 갖는 의의
4. 매케인 후보 공약
5. 전망
-한반도
-경제
-이라크
6.결론
1. 존 매케인(John Sidney McCain III)의 약력
1936 - 출생~ 장군의 아들: Full Name, John Sidney McCain III, 미해군 장교였던 아버지(John S. McCain Jr)와 어머니(Roberta) 사이에서 3남매 중 둘째로 태어남. 출생장소는 미국이 군사적으로 통제권을 발휘하던 파나마 대운하 지역. 그의 할아버지(John Sidney McCain, Sr)는 별4개 군장성이었으며, 그의 아버지는 미해군 사령관에 오름
1958~60 - 군인의 길: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뒤를 따라 군인의 길을 걷기 위해 미해군사관학교(Naval Academy at Annapolis)에 입학, 60년에는 비행학교(flight school) 졸업
1967 - 베트남 전쟁 포로: 폭격기 조정사로 베트남전을 수행하다 하노이 상공에서 비행 중인 전투기가 총격을 받음. 두 팔이 부러지고, 한쪽 다리에 부상을 당함. Hanoi Hilton이라는 별명을 가진 포로 수용소에 갇힘. 미군의 고위 장성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파악한 베트콩군은 협상용 인질로 멕케인의 초반기 석방을 시도했으나 메케인이 이를 거부하며 자신을 정치적 선전도구로 활용하는 것에 반대함
1973 - 석방: 5년 반 동안의 포로생활을 마치는 동안 무수히 고문을 받음. 이 일로 메케인은 3가지의 훈장을 받음. 훈장을 받은 후에도 계속 해군 비행기 조정사로 군복무를 계속할 것을 요구함. 9개월의 재활치료 후 다시 조정사로 복귀함. 그러나 조정사로서는 영구히 신체일부가 손상되었다는 것이 판명됨
1976 - 정치입문: 미국 상원의회에 미해군 연락담당 장교(the Navy´s liaison to the U.S. Senate)로 워싱턴 정계에 관계를 가짐
1979 - 첫번째 부인과 슬하에 2명의 자녀를 두고 있던 당시, 가족들과 함께 하와이로 휴가여행을 온 두번째 부인(Cindy Lou Hensley)를 파티에서 만나 사랑에 빠짐
1982 - 하원의원 당선: 전쟁영웅으로서의 명성에 힘입어 손쉽게 하원의원에 당선됨
1986 - 상원의원 당선: 상-하의원 선거에서 동시에 공화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정치적인 입지가 커짐. 동시에 전통적인 공화당의 외교정책에 공공연하게 반대입장을 표명함
1999 - 자서전 발표: 내 가족의 신념(Faith of My Fathers)이라는 자서전 출간, 공화당 내 비주류 상원의원으로 당시 공화당 대통령후보 입후보자인 조지 W 부시와 경선을 치름. 뉴햄프셔 경선에서 무당파 지지자와 일부 민주당 지지자들의 지지에 힘입어 근소한 차이로 부시를 제치며 언론가 정가를 놀라게 함
2000 - 공화당 대선후보 경선 패배: 미시건주, 아리조나주, 뉴잉글랜드주 등에서 부시 후보를 눌렀으나 전체 선거 판도는 조지 W 부시에게 유리해져 2달간의 경선 레이스를 마감하고 최종적으로 부시 후보를 지지하며 경선을 마감함
2003 - 선거법 개혁 주도: 6년이 넘는 노력끝에 미국 상원의회로부터 선거법(campaign finance system) 개혁법안을 통과시키며 화려하게 언론과 유권자들의 관심을 확보함
2007 - 이라크 전쟁에 지속적 지지의사: 도널드 람스펠트 국방장관 등 국방부의 일부 정책에 대한 꾸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이라크 전쟁을 지속적으로 지지했으며 조지 W 부시의 재선을 공개적으로 지지함
2008 - 미국 대통령선거 공화당 후보 선정
2. 공화당의 이념, 자질, 페일린, 독자노선
(1) 공화당
공화당(共和黨, Republican Party)은 미국의 양대 정당 중 하나이고 코끼리가 당의 상징이다. 1950년대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 이래 1994년까지 40여 년 동안 의회에서 소수당이었다. 1994년 전세를 일거에 역전시켰는데 이를 ‘깅그리치 혁명’이라고 부른다. 뉴트 깅그리치가 이끌었던 공화당은 40년 만에 미국 의회의 다수를 장악하는 전대미문의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그러나 2006년에 치러진 중간 선거에서 민주당에게 다시 역전되었다.
공화당
대표: 빌 프라이
미 대선이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
9조
존 매케인(John Sidney McCain III)
-개요-
1. 후보 약력
2. 공화당의 이념 & 자질
3. 미대선이 갖는 의의
4. 매케인 후보 공약
5. 전망
-한반도
-경제
-이라크
6.결론
1. 존 매케인(John Sidney McCain III)의 약력
1936 - 출생~ 장군의 아들: Full Name, John Sidney McCain III, 미해군 장교였던 아버지(John S. McCain Jr)와 어머니(Roberta) 사이에서 3남매 중 둘째로 태어남. 출생장소는 미국이 군사적으로 통제권을 발휘하던 파나마 대운하 지역. 그의 할아버지(John Sidney McCain, Sr)는 별4개 군장성이었으며, 그의 아버지는 미해군 사령관에 오름
1958~60 - 군인의 길: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뒤를 따라 군인의 길을 걷기 위해 미해군사관학교(Naval Academy at Annapolis)에 입학, 60년에는 비행학교(flight school) 졸업
1967 - 베트남 전쟁 포로: 폭격기 조정사로 베트남전을 수행하다 하노이 상공에서 비행 중인 전투기가 총격을 받음. 두 팔이 부러지고, 한쪽 다리에 부상을 당함. Hanoi Hilton이라는 별명을 가진 포로 수용소에 갇힘. 미군의 고위 장성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파악한 베트콩군은 협상용 인질로 멕케인의 초반기 석방을 시도했으나 메케인이 이를 거부하며 자신을 정치적 선전도구로 활용하는 것에 반대함
1973 - 석방: 5년 반 동안의 포로생활을 마치는 동안 무수히 고문을 받음. 이 일로 메케인은 3가지의 훈장을 받음. 훈장을 받은 후에도 계속 해군 비행기 조정사로 군복무를 계속할 것을 요구함. 9개월의 재활치료 후 다시 조정사로 복귀함. 그러나 조정사로서는 영구히 신체일부가 손상되었다는 것이 판명됨
1976 - 정치입문: 미국 상원의회에 미해군 연락담당 장교(the Navy´s liaison to the U.S. Senate)로 워싱턴 정계에 관계를 가짐
1979 - 첫번째 부인과 슬하에 2명의 자녀를 두고 있던 당시, 가족들과 함께 하와이로 휴가여행을 온 두번째 부인(Cindy Lou Hensley)를 파티에서 만나 사랑에 빠짐
1982 - 하원의원 당선: 전쟁영웅으로서의 명성에 힘입어 손쉽게 하원의원에 당선됨
1986 - 상원의원 당선: 상-하의원 선거에서 동시에 공화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정치적인 입지가 커짐. 동시에 전통적인 공화당의 외교정책에 공공연하게 반대입장을 표명함
1999 - 자서전 발표: 내 가족의 신념(Faith of My Fathers)이라는 자서전 출간, 공화당 내 비주류 상원의원으로 당시 공화당 대통령후보 입후보자인 조지 W 부시와 경선을 치름. 뉴햄프셔 경선에서 무당파 지지자와 일부 민주당 지지자들의 지지에 힘입어 근소한 차이로 부시를 제치며 언론가 정가를 놀라게 함
2000 - 공화당 대선후보 경선 패배: 미시건주, 아리조나주, 뉴잉글랜드주 등에서 부시 후보를 눌렀으나 전체 선거 판도는 조지 W 부시에게 유리해져 2달간의 경선 레이스를 마감하고 최종적으로 부시 후보를 지지하며 경선을 마감함
2003 - 선거법 개혁 주도: 6년이 넘는 노력끝에 미국 상원의회로부터 선거법(campaign finance system) 개혁법안을 통과시키며 화려하게 언론과 유권자들의 관심을 확보함
2007 - 이라크 전쟁에 지속적 지지의사: 도널드 람스펠트 국방장관 등 국방부의 일부 정책에 대한 꾸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이라크 전쟁을 지속적으로 지지했으며 조지 W 부시의 재선을 공개적으로 지지함
2008 - 미국 대통령선거 공화당 후보 선정
2. 공화당의 이념, 자질, 페일린, 독자노선
(1) 공화당
공화당(共和黨, Republican Party)은 미국의 양대 정당 중 하나이고 코끼리가 당의 상징이다. 1950년대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 이래 1994년까지 40여 년 동안 의회에서 소수당이었다. 1994년 전세를 일거에 역전시켰는데 이를 ‘깅그리치 혁명’이라고 부른다. 뉴트 깅그리치가 이끌었던 공화당은 40년 만에 미국 의회의 다수를 장악하는 전대미문의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그러나 2006년에 치러진 중간 선거에서 민주당에게 다시 역전되었다.
공화당
대표: 빌 프라이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관계와 정보화
한반도의 진정한 자유를 위한 길 -나탄 샤란스키의 ‘민주주의를 말한다’와 현 대북 국제관계...
식량문제와 해결방안(국제관계에서 떠오르는 쟁점 )
국제경제관계론 - 동북아 3국의 경제 협력
분단한반도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국제관계의 이해
2007년 1학기 근현대한일관계와국제사회
2010년 1학기 근현대한일관계와국제사회 기말시험 핵심체크
국제경제파워와 국제경제관계 및 경제적 파워의 개념과 정의 및 근원
국제경제사회의 게임이론과 국제무역관계의 게임이론적 접근
2011년 1학기 근현대한일관계와국제사회 기말시험 핵심체크
[국제관계론] 국민연금의 고갈문제
터키와 한국의 국제관계[6.25전쟁 2002 월드컵]
한반도 안보와 국제관계-김정은 체제의 특찮 안정성,김정은 체제의 특징,김정은 세습,3대 세...
★ 국제정치의 이해, 국제관계의 이해 - 중화인민공화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