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hoG 검사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choG 검사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습목적

2. 장비

3. 방법 및 진행과정
1) ECochG 개념 이해하기
2) Preparing

4. ECochG 개념 이해하기

5. 결과

6.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응하는 것으로, 자극음의 지속시간과 일치하여 계속 나타나는 복합적 반응이고, AP는 와우 기저부의 청신경 반응을 보는 것인데,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맞게, 해부학적으로도 일치하게 검사결과가 나온 걸 확인 할 수 있었다. 강도별의 파형을 보면, 강도가 낮으면 SP가 잘 나오질 않았다. 그리고 SP Amplitude, AP Amplitude, SP/AP Ratio 값은 트랜스듀서에 따라 변수가 될 수 있다고 한다. Meniere\'s Disease의 진단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결과가 SP와 AP의 amplitude ratio이다.(Sp/Ap)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판정은 summating potential과 action potential의 비율인 -SP/AP 비가 대개 0.25 이하이면 정상이고, 이 비율이 0.37 이상이면 내림프수종으로 진단된다. 탈수제를 먹인 후
전기와우도검사를 시행하여 이 비율의 변화를 관찰하여 판정하기도 한다.
Tiptrode로 검사를 했을 때, SP/AP ratio는 <0.5가 나와야 정상범위로 볼 수 있는데, 피검자 박미미의 SP/AP ratio는 95dB와 75dB 모두 0.5 이하인 검사결과를 나타내므로, 정상으로 볼 수 있겠다. 판정은 summating potential과 action potential의 비율인 -SP/AP 비가 대개 0.25 이하이면 정상이고, 이 비율이 0.37 이상이면 내림프수종으로 진단된다는 걸 알 수 있었으며, 탈수제를 먹인 후 전기와우도검사를 시행하여 이 비율의 변화를 관찰하여 판정하기도 한다는 걸 인터넷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인터넷을 보니, ‘정상 대조군에 비해 메니에르 병 환자군에서 SP/AP 진폭비가 증가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그 요인으로 SP 진폭의 증가보다 AP진폭의 감소로 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는 내용을 확인하였다. 이번 실습검사결과지에서의
SP Amplitude, AP Amplitude, SP/AP Ratio값들이 잘못 나와 있어서 내 임의로 자로 재서 결과지를 수정하였다. SP/AP Ratio값은 SP Amplitude값을 AP Amplitude로 나누어서 나온 값이다. 우리 조가 맨 처음 실습을 해서 Gold tiptrode의 상태가 아주 좋아 검사결과가 굉장히 잘 나오며, 피검자의 상태(아픈 곳 없으며, 컨디션 좋음)로 좋아서 어떠한 변수가 적용되지 않아 결과가 좋았던 것 같다.
7. 참고문헌
- http://www.clinicalotolaryngology.net/pds_tblBulletin/1-7_1.pdf
- http://www.guymark.com/evoked.html
- http://cafe.daum.net/sorisem001/BYFs/808?docid=fy8J|BYFs|808|20040629133918&q=ECochG%20%20SP%2FAP%20ratio&srchid=CCBfy8J|BYFs|808|20040629133918
- www.vertigo.or.kr/func/download.php?path...filename...

키워드

EcoG,   CM,   CP,   SP,   ecochG,   echoG,   청성유발전위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9.15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0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