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15 1장 하나님의 영화로우심과 아름다우심 - 조셉 파이파
p.51 2장 하나님의 영광을 보라 - 조엘 비키
p.73 제3장 경험적 칼빈주의 - 이안 해밀턴
p.99 4장 존 칼빈, 실천적인 신학자: 개혁자의 영성 -제임스 맥골드릭
p.133 제5장 하나님과의 교제 - 이안 해밀턴
p.155 제6장 청교도들의 묵상 실천 -조엘 비키
p.201 제7장 안실일과 개혁주의 경건 - 조셉파이파
p.235 제8장 성경 신학과 설교에서 적용의 문제 - 윌리엄 데니슨
p.287 9장 구속자적 설교에 대한 비판 - 존캐릭
p.51 2장 하나님의 영광을 보라 - 조엘 비키
p.73 제3장 경험적 칼빈주의 - 이안 해밀턴
p.99 4장 존 칼빈, 실천적인 신학자: 개혁자의 영성 -제임스 맥골드릭
p.133 제5장 하나님과의 교제 - 이안 해밀턴
p.155 제6장 청교도들의 묵상 실천 -조엘 비키
p.201 제7장 안실일과 개혁주의 경건 - 조셉파이파
p.235 제8장 성경 신학과 설교에서 적용의 문제 - 윌리엄 데니슨
p.287 9장 구속자적 설교에 대한 비판 - 존캐릭
본문내용
조엘 비키,존 캐릭,윌리엄 데니슨,이안 해밀턴,제임스 맥골드릭,조셉 파이파, 이운연 서성훈 역『성경이 말하는 영성』 진리의 깃발, 2006
본서는 오늘날 세속적이고 이교적인 영성의 개념이 교회를 오염시키고 있는 현실속에서 진정한 개혁주의 영성이 어떤 것인지를 바로 알게 해주는 역작으로 모두 6명의 학자들이 \"삼위 하나님을 향한 사랑이 얼마나 간절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이를 알게 해주는 책입니다! 칼빈과 개혁주의는 하나님의 영화로우심과 아름다우심을 나타내며 진정한 영적인 것을 추구하는 경험을 중시하는 것으로, 개혁주의 사상에서 바로 솟아나는 개혁주의 경건이 이러한 것임을 알게 해 준다.
p.15 1장 하나님의 영화로우심과 아름다우심 - 조셉 파이파
저자는 우리의 왕되신 우리 주님의 아름다우시고 영화로우신 면들을 상고하고 있다. 주님의 이 성품들은 우리로 하여금 거룩한 믿음과 열심 예배에 대해 마음을 끓어오르게 할 것이다.
특히 시편을 통해 우리가 어떻게 실천적인 방식으로 그분께 복종할것인지 예증하고 있다. 본장에서는 특별히 시편93련에 초첨을 맞추고 있는데 그렇게 하는 이유는 이 시편이 우리앞에 하나님을 왕으로 선표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성경을 연구하거나 설교하기 위해서는 시편의 구조와 문맥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도록 촉구하고 있다.
시편93편에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위엄과 권능으로 다스리시기 때문에 우리가 그분을 그의 말씀을 따라 가룩함 가운데 섬겨야 함을 깨닫게 된다. 우리는 이 시편에서 세가지 특별한 주제를 살펴 볼수 있다: 1. 그리스도의 위엄있는 다스리심 2. 엄위하신 그리스도의 정복하는 힘 3. 엄위하신 그리스도께 대한 우리의 반응에 대해 말한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우리가 어떻게 우리 구주의 엄위하신 통치에 응답해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해 저자는
p.18 첫째로 우리는 그분의 말씀에 대한 신뢰를 나타냄으로써 그분께 응답해야 한다고 본다. 여기서 그리스도의 확실한 말씀은 오직 그 말씀을 통해서만 우리가 그 왕을 알고 더 나아가서 왕께서 받으실만한 응답을 할수 있는지 알게 된다고 우리에게 보장한다. 그래서 개혁주의 경건의 한 부분으로서 그 왕께 대한 한가지 응답은 그 영광스러운 교리인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이다. 또한 우리가 그분을 우리의 영화로우신 왕으로서 바라는 것은 말씀을 통해서이다. 더 나아가 주님은 그의 말씀안에서 우리에게 오신다. 성령께서 그 말씀을 사용해서 우리를 성부께 이끄려 하듯이 우리가 그리스도와 교통하는 것은 곧 그의 말씀을 통해서이다.
둘째로 응답은 개인적 거룩함이다. 이 시편 기자는 선포하기를 “여호와여....거룩함이 주의 집에 영구하리이다”라고 했다. 그러므로 이사야 선지자가 고백하듯이 그분의 존전에 나아오는 모든 자들은 또한 거룩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거룩함에 대한 열정을 가져야 한다. 셋째는 그분의 말씀을 따라 거룩함으로 그분을 섬기는 것은 우리가 예배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96:7-9)
마지막으로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복음안에서 독자들에게 다가오실 때 여러분은 그분을 왕중의 왕으로서, 만주의 주님으로서 받아들이고 붙들고 나아가야 함을 촉구하고 있다.
그래서 시편95편은 말씀한다. “오늘이 바로 구원의 날이로다” 내일이 아니라 바로 지금이다.
p.51 2장 하나님의 영광을 보라 - 조엘 비키
출애굽기 33:18절에 “ 모세가 가로되 원컨대 주의 영광을 내게 보이소서” 라고 말씀한다. 저자는 이 기도에 성경적이고 개혁주의적이며 경험적인 경건의 심장박동과 핵심이 있다고 밀한다. 본서에서 이 기도가 어떤 상황가운데 나왔는지, 그리고 얼마나 멋지게 응답받는지를 보고자 한다.
1. 상황 때문에 하게된 기도
출애굽기33장에서 우리는 큰 어려움을 당했을때 그 백성들의 종으로서 조용한 곳에서 하나님과 얼굴과 얼굴을 마주하고서 대화하고 있는 모세를 볼수 있다. 이스라엘백성들은 금송아지를 만드는 사악한 죄를 지었다. 하나님은 그 백성들을 모두 없애버리시고 멸하실것이라고 위협하셨다. 하나님은 모세의 후손들로 새로운 나라를 세우시겠다고 제안하셨다(10절).
그러나 모세는 여호와께 이방인들에게 비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그리고 그 조상들에게 하신 약속을 위해서 그 진노렝서 돌이키시고 백송들에게 있는 악을 회개하게 해 주실것을 탄원했다(11-13절). 그래서 백성들은 보호를 받게 되었다.
출애굽기 33:12-23절에 보면 하나님과 모세와 나눈 대화의 일부를 전해준다. 모세는 주님없이는 갈수 없다고 말했다.(15절) 모세는 하나님의 은총의 표가 없기 계속하는 것보다 죽는것이 낫다고 했다. 그래서 가장 큰 간구를 한다. “주의 영광을 내게 보이소서”
모세가 간구할수 있는 것중에 이보다 더 큰 기도의 재목이 없을 것이다. 이는 크고 담대한 간구이며 그가 원하는 모든 것의 핵심이다. 하나님의 영광을 보고자 하는 배램이 모세의 기도의 동기이며 심정이다. 여기서 저자는 오직 참된 그리스도인만이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본다고 한다(고후4:6).
그러면 모세가 주의 영광을 보여 주시옵소서 라고 기도하게 만든 정황은 어떠한가? 세가지로 지적한다: 1. 모세는 하나님을 더 알고 싶었다. 모세는 살면서 하나님의 영광을 많이 보았었다. 열가지 재앙에서 하나님의 심판을 보았고, 홍해를 건너는 출애굽을 경험했으며 하나님과 만남으로 십계명을 받는 일등 시내산에서 일어난 모든 것을 보았다. 그런 경험에서 모세는 하나님의 영광을 보았고 하나님의 영광을 볼수록 더 간
본서는 오늘날 세속적이고 이교적인 영성의 개념이 교회를 오염시키고 있는 현실속에서 진정한 개혁주의 영성이 어떤 것인지를 바로 알게 해주는 역작으로 모두 6명의 학자들이 \"삼위 하나님을 향한 사랑이 얼마나 간절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이를 알게 해주는 책입니다! 칼빈과 개혁주의는 하나님의 영화로우심과 아름다우심을 나타내며 진정한 영적인 것을 추구하는 경험을 중시하는 것으로, 개혁주의 사상에서 바로 솟아나는 개혁주의 경건이 이러한 것임을 알게 해 준다.
p.15 1장 하나님의 영화로우심과 아름다우심 - 조셉 파이파
저자는 우리의 왕되신 우리 주님의 아름다우시고 영화로우신 면들을 상고하고 있다. 주님의 이 성품들은 우리로 하여금 거룩한 믿음과 열심 예배에 대해 마음을 끓어오르게 할 것이다.
특히 시편을 통해 우리가 어떻게 실천적인 방식으로 그분께 복종할것인지 예증하고 있다. 본장에서는 특별히 시편93련에 초첨을 맞추고 있는데 그렇게 하는 이유는 이 시편이 우리앞에 하나님을 왕으로 선표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성경을 연구하거나 설교하기 위해서는 시편의 구조와 문맥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도록 촉구하고 있다.
시편93편에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위엄과 권능으로 다스리시기 때문에 우리가 그분을 그의 말씀을 따라 가룩함 가운데 섬겨야 함을 깨닫게 된다. 우리는 이 시편에서 세가지 특별한 주제를 살펴 볼수 있다: 1. 그리스도의 위엄있는 다스리심 2. 엄위하신 그리스도의 정복하는 힘 3. 엄위하신 그리스도께 대한 우리의 반응에 대해 말한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우리가 어떻게 우리 구주의 엄위하신 통치에 응답해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해 저자는
p.18 첫째로 우리는 그분의 말씀에 대한 신뢰를 나타냄으로써 그분께 응답해야 한다고 본다. 여기서 그리스도의 확실한 말씀은 오직 그 말씀을 통해서만 우리가 그 왕을 알고 더 나아가서 왕께서 받으실만한 응답을 할수 있는지 알게 된다고 우리에게 보장한다. 그래서 개혁주의 경건의 한 부분으로서 그 왕께 대한 한가지 응답은 그 영광스러운 교리인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이다. 또한 우리가 그분을 우리의 영화로우신 왕으로서 바라는 것은 말씀을 통해서이다. 더 나아가 주님은 그의 말씀안에서 우리에게 오신다. 성령께서 그 말씀을 사용해서 우리를 성부께 이끄려 하듯이 우리가 그리스도와 교통하는 것은 곧 그의 말씀을 통해서이다.
둘째로 응답은 개인적 거룩함이다. 이 시편 기자는 선포하기를 “여호와여....거룩함이 주의 집에 영구하리이다”라고 했다. 그러므로 이사야 선지자가 고백하듯이 그분의 존전에 나아오는 모든 자들은 또한 거룩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거룩함에 대한 열정을 가져야 한다. 셋째는 그분의 말씀을 따라 거룩함으로 그분을 섬기는 것은 우리가 예배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96:7-9)
마지막으로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복음안에서 독자들에게 다가오실 때 여러분은 그분을 왕중의 왕으로서, 만주의 주님으로서 받아들이고 붙들고 나아가야 함을 촉구하고 있다.
그래서 시편95편은 말씀한다. “오늘이 바로 구원의 날이로다” 내일이 아니라 바로 지금이다.
p.51 2장 하나님의 영광을 보라 - 조엘 비키
출애굽기 33:18절에 “ 모세가 가로되 원컨대 주의 영광을 내게 보이소서” 라고 말씀한다. 저자는 이 기도에 성경적이고 개혁주의적이며 경험적인 경건의 심장박동과 핵심이 있다고 밀한다. 본서에서 이 기도가 어떤 상황가운데 나왔는지, 그리고 얼마나 멋지게 응답받는지를 보고자 한다.
1. 상황 때문에 하게된 기도
출애굽기33장에서 우리는 큰 어려움을 당했을때 그 백성들의 종으로서 조용한 곳에서 하나님과 얼굴과 얼굴을 마주하고서 대화하고 있는 모세를 볼수 있다. 이스라엘백성들은 금송아지를 만드는 사악한 죄를 지었다. 하나님은 그 백성들을 모두 없애버리시고 멸하실것이라고 위협하셨다. 하나님은 모세의 후손들로 새로운 나라를 세우시겠다고 제안하셨다(10절).
그러나 모세는 여호와께 이방인들에게 비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그리고 그 조상들에게 하신 약속을 위해서 그 진노렝서 돌이키시고 백송들에게 있는 악을 회개하게 해 주실것을 탄원했다(11-13절). 그래서 백성들은 보호를 받게 되었다.
출애굽기 33:12-23절에 보면 하나님과 모세와 나눈 대화의 일부를 전해준다. 모세는 주님없이는 갈수 없다고 말했다.(15절) 모세는 하나님의 은총의 표가 없기 계속하는 것보다 죽는것이 낫다고 했다. 그래서 가장 큰 간구를 한다. “주의 영광을 내게 보이소서”
모세가 간구할수 있는 것중에 이보다 더 큰 기도의 재목이 없을 것이다. 이는 크고 담대한 간구이며 그가 원하는 모든 것의 핵심이다. 하나님의 영광을 보고자 하는 배램이 모세의 기도의 동기이며 심정이다. 여기서 저자는 오직 참된 그리스도인만이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본다고 한다(고후4:6).
그러면 모세가 주의 영광을 보여 주시옵소서 라고 기도하게 만든 정황은 어떠한가? 세가지로 지적한다: 1. 모세는 하나님을 더 알고 싶었다. 모세는 살면서 하나님의 영광을 많이 보았었다. 열가지 재앙에서 하나님의 심판을 보았고, 홍해를 건너는 출애굽을 경험했으며 하나님과 만남으로 십계명을 받는 일등 시내산에서 일어난 모든 것을 보았다. 그런 경험에서 모세는 하나님의 영광을 보았고 하나님의 영광을 볼수록 더 간
추천자료
효과적인 성서학습
피조물들의 고대하는 바[성경 : 로마서 : 1장 19절 - 22절]
학습 진행안 구성
동성애자들이 말하는 그들의 문제
크리스천으로서의 투자
[교회개관][교회성장][목회][한국교회][교회성장론][기독교][교회]교회개관, 교회성장 및 목...
[인문과학] 기독교와 문화
[하나님][예수님][공의][그리스도법][하나님나라][교회][신학][성경]하나님의 공의, 예수님에...
한국교회의 제 영성고찰
야고보서의 신학 (야고보서의 “온전한”(tevleio") 연구)
조직신학 (무오성,권위,교리,삼위일체,특별한 문제,인간론,형상,인간의 구조적 본질)
영어번역(한영번역)의 유형, 숙어인식알고리즘, 영어번역(한영번역)과 동음이의어, 숙어문법,...
[총회 성경통신대학 졸업논문] 기독교인의 생활윤리
대천덕 신부가 말하는 토지와 경제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