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교재론]종교개혁과 30년전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사교재론]종교개혁과 30년전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종교개혁
1. 종교개혁의 배경
2. 독일 종교개혁의 진행과정

Ⅱ. 30년 전쟁
1. 30년 전쟁의 진행 과정과 베스트팔렌(Westfalen) 강화조약
2. 베스트팔렌 조약(Peace of Westfalen)의 결과
3. 30년 전쟁의 결과

Ⅲ. 보충 사전

본문내용

이었음에 틀림없다. 또한 루터주의가 확립되면 수도원이 폐쇄되고 그 재산이 제후들것이 된다는 사실또한 중요한 원인임에 틀림없었다.
Ⅱ. 30년 전쟁
1. 30년 전쟁의 진행 과정과 베스트팔렌(Westfalen) 강화조약
이처럼 두 진영간의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보헤미아(오늘날의 체코 지역)의 종교적 갈등이 도화선이 되어 30년 전쟁으로 연결되었다. 중세 이래로 신성 로마 제국의 영토에 속해 있었던 보헤미아 지역은 황제 카를 5세의 동생인 페르디난트 1세가 보헤미아 귀족들의 추대로 1526년 국왕으로 즉위한 이후로 줄곧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소속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 보헤미아 지역의 귀족들 중에는 개신교도가 압도적으로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합스부르크 가문은 특히 페르디난트 2세가 1617년 보헤미아 국왕에 즉위하면서부터 신교파가 다수인 의회의 의사를 무시하고 카톨릭으로의 복귀를 강요하는 정책을 펼쳐나갔다
이 같은 조처에 보헤미아의 개신교 귀족 대표들은 1618년 프라하 성을 만문하여 항의하던 중, 국왕의 대리자인 총독과 그 비서를 창문 밖 수십 미터 아래로 내던져 버렸다. 이 ‘프라하 창문 투척 사건’은 30년 전쟁을 촉발시킨 가장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 보헤미아 귀족들은 1619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선출된 페르디난트 2세 대신에 칼뱅주의자인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를 보헤미아의 새 <프라하 창문 투척 사건> 국왕으로 추대함으로써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에 반기를 들었고 개신교 연합(Union)은 보헤미아를 새로운 동맹 세력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이제 전쟁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1620년 황제군은 카톨릭 연맹군(Liga)과 연합하여 보헤미아를 공격해서 승리를 거두었고 합스부르크 가의 또 다른 가문이 통치하고 있었던 스페인도 개신교 연합의 맹주격인 팔츠 선제후인 프리드리히 5세의 본거지인 팔츠로 진격하여 일부 지역을 점령하였다. 그러자 프리드리히 5세는 네델란드로 망명하였고, 카톨릭 연맹군은 그 잔당을 토벌하기 위해 독일의 북서 지역까지 진출했다. 그러자 이 지역에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덴마크의 국왕 크리스티안 4세(Christian Ⅳ, 1588~1648)가 신교도로서 전쟁에 개입했다. 하지만 보헤미아 출신으로 30년 전쟁기의 가장 탁월한 용병 대장인 발렌슈타인(A.W. Wallenstein, 1583~1634)이 지휘하는 황제군과 카톨릭 연맹군이 연합하여 덴마크 군대를 격파함으로써 덴마크는 물러나지 않을 수 없었다. 더구나 황제 페르디난트 2세는 1629년 ‘반환 칙령’을 선포하여 1552년 이후 개신교 제후들이 접수한 모든 카톨릭 교회와 수도원의 토지 반환을 의무 사항으로 규정함으로써 전쟁은 카톨릭 측의 완벽한 승리로 끝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독실한 루터교 신자이자 ‘북방의 사자왕’으로 불리던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아돌프(Gustav Ⅱ Adolf, 1594~1632)가 정예 군대를 이끌고 독일로 진격함에 따라 상황은 다시 반전되었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패권을 저지하려는 프랑스에서 상당 부분의 전비를 지원받은 스웨덴군은 탁월한 군사적 전술로 연전연승하며 남부 독일에까지 깊숙이 진출하여 한때 카톨릭 진영의 핵심인 바이에른 지역까지 정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구스타프 아돌프는 발렌슈타인이 이끄는 황제군과 작센 지역의 뤼첸(Lutzen)에서 교전하던 중 전사하고 말았고 황제의 대장군이었던 발렌슈타인 역시 황제의 총애를 잃고 암살당함으로써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그러자 전쟁에 지친 독일의 개신교 진영은 1635년 황제와 프라하 강화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전쟁을 종식시키고자 하였다.(그림은 1632년 뤼첸전투를 그린 것이다.)
그런데 이 시점에서 지금까지 직접적인 개입을 꺼리고 있던 프랑스가 참전함으로써 전쟁은 10년 이상이나 더 지속되었고 이 마지막 기간에 30년 전쟁은 유난히 파괴적인 양상을 띠었다. 앞선 황제였던 카를 5세 때부터 프랑스와의 마찰은 계속 이어졌었는데, 합스부르크왕실의 타도는 16세기 이래 프랑스의 가장 중요한 대외정책이었고, 당시 프랑스의 정권을 잡았던 리슐리외(cardinal et duc de Richelieu)또한 이를 답습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독일 내의 신교 세력과 스웨덴에 재정적 지원을 계속해 왔다. 그러나 황제의 세력이 꺽이지 않은 채, 스웨덴이 패하자 직접 개입하기로 하였고(1635), 프랑스군은 라인강을 넘어 남부독일로 침입하고, 스웨덴군도 공격을 재개하였다. 그렇게 다시 10여년간 황제군이 점점 밀리는 가운데 오랜 전쟁에 지친 전쟁 당사자들은 마침내 1644년 말부터 베스트팔렌(Westfalen) 지역의 주교 도시 뮌스터(Munste)r와 개신교 도시 오스나브뤼크(Osnabruck)에 모여 강화회담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648년 10월 24일 두 도시에서 동시에 조인된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되었고, 30년 전쟁은 종결되었다.
탐구활동
<리슐리외 추기경> <베스트팔렌 강화조약 모습>
1. 지금까지 보아온 30년 전쟁의 원인은 무엇이었으며, 진행과정은 어떻게 되었을까?
2. 프랑스는 카톨릭을 국교로 삼으면서, 왜 신교 세력을 도와주었을까?
2. 베스트팔렌 조약(Peace of Westfalen)의 결과
베스트팔렌 강화조약으로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화의의 신앙 속지주의 원칙이 다시 한 번 재확인되었고, 칼뱅파가 카톨릭, 루터파와 동등하게 그 지위를 인정바게 됨으로써 제국의 종교적 통일성을 회복한다는 것은 이제 완전히 불가능한 일이 되어 버렸다. 프랑스는 알자스 지방을 포함하여 라인 강 왼쪽 지역에 확고한 교두보를 확보했고, 스웨덴은 발트 해 연안의 북부 독일 지역을 점령하고, 서폼메른(Pommern)도 얻었으며, 네델란드와 스위스는 제국에서부터 최종적인 독립을 성취하였다. 제국의 제후들은 비록 봉건법적으로는 여전히 황제의 봉신으로 남아 있기는 했지만 독자적인 외교 체결권과 같은 사실상의 주권을 획득하게 됨으로써 황제의 권력은 더욱 축소되었다.
한 눈에 알아 보기!
○ 신앙 속지주의 원칙의 재확인
○ 칼뱅파가 카톨릭, 루터파와 동등한 지위 획득
○ 프랑스와 스웨덴의 영토 획득(메쓰, 툴 및 베르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9.23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