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기술적 분석의 개념
1. 의의
2. 기본전제
3. 유용성
4. 한계점
Ⅲ. 기술적 분석의 유형과 방법
1. 도표 분석
2. 모형분석
3. 추세분석
4. 지표분석
Ⅳ. 기술적 분석의 일반이론
Ⅵ. 결론
Ⅱ. 기술적 분석의 개념
1. 의의
2. 기본전제
3. 유용성
4. 한계점
Ⅲ. 기술적 분석의 유형과 방법
1. 도표 분석
2. 모형분석
3. 추세분석
4. 지표분석
Ⅳ. 기술적 분석의 일반이론
Ⅵ. 결론
본문내용
이격도는 보다 단기적인 투자시점을 포착하기 위해 주가 이동평균선의 보조지표로서 이용된다.
이격도(%)= 당일의 주가/당일의 이동평균주가 × 100
주가가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크게 괴리되는 현상을 이격도가 높아진다고 하며, 결국 주가는 이격도가 높아지면 다시 이동평균선으로 접근하고, 이격도가 100%에 이르면 주가가 다시 이동엇균선에서 멀어지거나 또는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는 것에 근거한다. 이격도를 이용한 투자전략을 25일선 이격도로 예를 들면 상승국면의 경우 이격도가 98% 수준 이하이면 매입시점이고, 106% 이상이면 매도시점이 된다. 하락구면의 경우는 92% 이하이면 매입시점이고, 102% 이상이면 매도시점이된다.
3) 거래량이동평균선
거래량이동평균선은 주식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관계를 거래량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거래량이 주가에 선행한다는데 근거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주가가 상승할 때에는 매입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거래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주가가 하락할 때에는 매입수요가 줄기 때문에 거래량이 감소한다는 기본적이 원리에 입각하여 주가의 예측과 매입, 매도신호를 찾고자 하는 것이 거래량 이동평균선이다.
4) 주가-거래량 상관곡선
주가-거래량 상관곡선은 역시 걔방향곡선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거래량은 주가가 상승하기 전에 증가하고 주가하락에 앞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데 근거한 주가예측지표이다.
이 지표는 주가와 거래량이 25일 이동평균치를 이용하여 종축에는 주가를, 횡축에는 거래량을 나타내어 매일 매일의 교차점을 연결하여 작성한다.
5) P&F 도표(Point and Figure)
P&F도표는 시간개념을 배제하고 사소한 주가변동을 무시함으로써 주가의 주추세를 파악하는 한편 향후 주가의 상승폭 또는 하락폭을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P&F도표는 주가가 상승하면 X표로, 주가가 하락할 때에는 O표로 각각 상승과 하락을 구분 표시하되, 주가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또는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할 때에는 사전에 정해진 가격폭 이상의 주가등락이 있을 경우에 한해, 하락 또는 상승표시를 나타낸다. P&F도표는 도표에 나타난 상승 또는 하락표시의 패턴과 추세를 이용하여 적절한 매매시점을 포착한다. 그러나 P&F도표에 나타난 매매신호는 주가가 이미 상당수준까지 상승 또는 하락한 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매매시점을 포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6)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
주가는 경제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항을 받지만 한편으로는 그 당시의 시장분위기에 따른 투자심리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은 주식시장에 대한 인기의 변화 즉 투자심리의 변화를 일정 기간 동안 파악하여 과열상태인지, 침체상태인지를 측정하는 기법이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이다. 투자심리선은 최근 12일 중 전일대비 종가의 상승일수가 차지하는 비율로서 나타낸다.
투자심리선= (12일 중 상승일수/12) × 100
일반적으로 투자심리선은 50%를 중심으로 하여 75% 이상이면 과열상태를, 25%이하이면 침체상태를 나타낸다.
Ⅵ. 결론
내가 생각하는 기업가치의 평가방법은 이름값이었다. 삼성, 포스코, sk텔레콤, 현대자동차 등 이런식으로 인지도가 주식의 가치를 높일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렇게 생각하고 코스닥이나 주식시장에서 그많은 기업들을 어떻게 알아서 평가하고 매수,매도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공부 함으로써 자신이 잘모르는 기업이라 할지라도 혹은 자신이 잘모르는 분야의 기업이라도 주식시장에서 만큼은 이 기업을 과연 매수 또는 매도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웠다. 이번에도 도서관에서 많은 책을 빌려와 레포트 준비를 했다. 이요섭 교수님의 “금융시장의 이해”란 책도 꼭 빌리고 싶었지만 도서관에 가면 항상 대출 중 이었다. 많은 책들을 읽어보면서 저번 레포트와는 달리 책들이 기술적 분석에 대해선 설명하는 내용이 많이 차이가 났다. 이책에 있는 부분은 저책에 없고, 저책에 있는 부분은 이책에 없는 그런 부분들이 많았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모든 책들에 들어있는 포괄적 내용을 쓸려고 노력했다. 난 이 투자와 재무라는 과목을 주식에 대한 흥미로 인하여 수강을 하게 되었다. 이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이런 나의 흥미를 많이 깨우쳐 주었고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주식은 아무나 하는게 아니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간다.
이격도(%)= 당일의 주가/당일의 이동평균주가 × 100
주가가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크게 괴리되는 현상을 이격도가 높아진다고 하며, 결국 주가는 이격도가 높아지면 다시 이동평균선으로 접근하고, 이격도가 100%에 이르면 주가가 다시 이동엇균선에서 멀어지거나 또는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는 것에 근거한다. 이격도를 이용한 투자전략을 25일선 이격도로 예를 들면 상승국면의 경우 이격도가 98% 수준 이하이면 매입시점이고, 106% 이상이면 매도시점이 된다. 하락구면의 경우는 92% 이하이면 매입시점이고, 102% 이상이면 매도시점이된다.
3) 거래량이동평균선
거래량이동평균선은 주식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관계를 거래량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거래량이 주가에 선행한다는데 근거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주가가 상승할 때에는 매입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거래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주가가 하락할 때에는 매입수요가 줄기 때문에 거래량이 감소한다는 기본적이 원리에 입각하여 주가의 예측과 매입, 매도신호를 찾고자 하는 것이 거래량 이동평균선이다.
4) 주가-거래량 상관곡선
주가-거래량 상관곡선은 역시 걔방향곡선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거래량은 주가가 상승하기 전에 증가하고 주가하락에 앞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데 근거한 주가예측지표이다.
이 지표는 주가와 거래량이 25일 이동평균치를 이용하여 종축에는 주가를, 횡축에는 거래량을 나타내어 매일 매일의 교차점을 연결하여 작성한다.
5) P&F 도표(Point and Figure)
P&F도표는 시간개념을 배제하고 사소한 주가변동을 무시함으로써 주가의 주추세를 파악하는 한편 향후 주가의 상승폭 또는 하락폭을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P&F도표는 주가가 상승하면 X표로, 주가가 하락할 때에는 O표로 각각 상승과 하락을 구분 표시하되, 주가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또는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할 때에는 사전에 정해진 가격폭 이상의 주가등락이 있을 경우에 한해, 하락 또는 상승표시를 나타낸다. P&F도표는 도표에 나타난 상승 또는 하락표시의 패턴과 추세를 이용하여 적절한 매매시점을 포착한다. 그러나 P&F도표에 나타난 매매신호는 주가가 이미 상당수준까지 상승 또는 하락한 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매매시점을 포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6)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
주가는 경제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항을 받지만 한편으로는 그 당시의 시장분위기에 따른 투자심리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은 주식시장에 대한 인기의 변화 즉 투자심리의 변화를 일정 기간 동안 파악하여 과열상태인지, 침체상태인지를 측정하는 기법이 투자심리선(psychological line)이다. 투자심리선은 최근 12일 중 전일대비 종가의 상승일수가 차지하는 비율로서 나타낸다.
투자심리선= (12일 중 상승일수/12) × 100
일반적으로 투자심리선은 50%를 중심으로 하여 75% 이상이면 과열상태를, 25%이하이면 침체상태를 나타낸다.
Ⅵ. 결론
내가 생각하는 기업가치의 평가방법은 이름값이었다. 삼성, 포스코, sk텔레콤, 현대자동차 등 이런식으로 인지도가 주식의 가치를 높일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렇게 생각하고 코스닥이나 주식시장에서 그많은 기업들을 어떻게 알아서 평가하고 매수,매도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공부 함으로써 자신이 잘모르는 기업이라 할지라도 혹은 자신이 잘모르는 분야의 기업이라도 주식시장에서 만큼은 이 기업을 과연 매수 또는 매도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웠다. 이번에도 도서관에서 많은 책을 빌려와 레포트 준비를 했다. 이요섭 교수님의 “금융시장의 이해”란 책도 꼭 빌리고 싶었지만 도서관에 가면 항상 대출 중 이었다. 많은 책들을 읽어보면서 저번 레포트와는 달리 책들이 기술적 분석에 대해선 설명하는 내용이 많이 차이가 났다. 이책에 있는 부분은 저책에 없고, 저책에 있는 부분은 이책에 없는 그런 부분들이 많았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모든 책들에 들어있는 포괄적 내용을 쓸려고 노력했다. 난 이 투자와 재무라는 과목을 주식에 대한 흥미로 인하여 수강을 하게 되었다. 이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이런 나의 흥미를 많이 깨우쳐 주었고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주식은 아무나 하는게 아니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간다.
키워드
추천자료
고객만족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경영전략] 고객만족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인터넷기업 가치 평가
기업의 가치평가 방법
“기업의 부동산 처분이 주식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무회계][아웃소싱][부가가치세법][사회복지법인][벤처기업][창업기업]세무회계의 개념, 세...
[경쟁, 독점, 자연독점산업, 산업구조]경쟁과 독점, 경쟁과 자연독점산업, 경쟁과 산업구조, ...
M&A(기업인수합병) 가치평가의 중요성, 규정, M&A(기업인수합병) 가치평가 잉여현금...
[기업전략][기업][미디어][가치극대]기업의 미디어전략, 기업의 가치극대전략, 기업의 경영리...
[기업주가][기업주가와 회계정보공시][기업주가와 브랜드가치][기업주식]기업주가와 국가별 ...
[가치사슬과 기업이윤] 가치사슬의 개념(정의)과 특성(특징), 가치사슬과 가치획득(가치사슬...
기업문화의 형성요인, 유형 및 나아가야할 방향 (기업문화, 기업문화의 형성요인, 조직문화의...
[기업 경영][기업 가치경영][기업 4C경영][기업 웹경영][기업 품질경영][기업 지식경영][가치...
★ 투자론 - LG화학 기업분석 ( LG화학, 기술적 분석, 기본적 분석, 경제분석, 산업분석,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