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노화에 대한 정의와 문제제기)
2. 텔로미어(telomere: 생물학적 수명시계)
3.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
4. 생식세포음모론 가설
5. 결론
2. 텔로미어(telomere: 생물학적 수명시계)
3.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
4. 생식세포음모론 가설
5. 결론
본문내용
기 때문에 사람이 생식세포의 DNA를 바꾸는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생식세포가 사람의 노화를 조절하는 주체가 된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 사람의 평균 수명이 계속해서 길어지고 있다. 이 수명 연장의 추세는 생식세포의 변화가 아니라 단순한 의학이나 시설의 발달에 의한 것이다. 여기서 의학의 발전에는 텔로미어와 활성산소에 대한 연구는 포함되지만 생식세포 스스로의 변화라는 근거는 없다. 결국 사람은 생식세포로부터 벗어나 독립적으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주체이므로 생식세포의 프로그램에 지배당하며 살아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요컨대 노화의 원인이 생식세포의 번식 프로그래밍이라는 생식세포음모론 가설보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된 세포분열로 인한 텔로미어의 손상이나 SOD가 무독화할 수 있는 한계치를 넘어선 활성산소의 장기간 축적이라고 말하는 것이 훨씬 더 설득력이 있다. 사회/심리적인 요인은 배제하고 순전히 과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할 때 장수의 비결은 텔로미어와 활성산소에 있다. 활성산소는 현재 가장 잘 알려지고 활발하게 연구 중이다. 그리고 텔로미어는 아직은 그를 이용한 수명연장 프로젝트가 어렵기는 하지만 머지않아 이를 이용한 수명연장도 가능해질 것이다.
요컨대 노화의 원인이 생식세포의 번식 프로그래밍이라는 생식세포음모론 가설보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된 세포분열로 인한 텔로미어의 손상이나 SOD가 무독화할 수 있는 한계치를 넘어선 활성산소의 장기간 축적이라고 말하는 것이 훨씬 더 설득력이 있다. 사회/심리적인 요인은 배제하고 순전히 과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할 때 장수의 비결은 텔로미어와 활성산소에 있다. 활성산소는 현재 가장 잘 알려지고 활발하게 연구 중이다. 그리고 텔로미어는 아직은 그를 이용한 수명연장 프로젝트가 어렵기는 하지만 머지않아 이를 이용한 수명연장도 가능해질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