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의 주요 관광지 및 전략과 발전 방향 - 스페인 환경분석, 주요관광지 소개, 관광정책과 전략, 문제점과 발전방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스페인 소개

2. 환경 분석
(1) 문화
(2) 관습
(3) 건축
(4) 문학
(5) 미술
(6) 스포츠
(7) 요리
(8) 경제

3. 주요 관광지 소개
(1) 유적
(2) 축제

4. 관광정책과 전략
(1) 외래객 유치정책
(2) 관광산업 지원정책
(3) 국민관광촉진정책
(4) 관광홍보 및 마케팅
(5) 국영숙박시설 Parador 운영

5. 문제점과 발전 방향
(1) 문제점
(2) 발전 방향

6.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으며, 이를 위해 약 40개국을 관광 홍보전략 국가를 설정하고,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주도하에 시장별로 차별화된 홍보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지 언어와 문화콘텐츠를 바탕으로 한 홍보카탈로그 작성 등을 준비하고 대상국의 관광관련 전시회에 적극 참여하여 자국의 관광 상품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서부 유럽 중심 의 마케팅 일변도에서 미국, 아시아, 태평양 및 중부유럽시장을 공략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7) 스페인 접근 운송 수단의 확충
항공을 통한 관광객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보다 다양한 항공노선이 확충되어야 하며, 육로의 경우 유럽 연합 시민의 접근로를 개선해야 한다. 항만 시설 역시 확충해야 하며, 철로의 경우 유럽 철로와 접목하여 접근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접근 운송 수단의 확충이 여행 동기 가운데 회의, 비즈니스, 축제 등의 비중을 높이는 쪽으로 연계하고자 한다. 최근 스페인-한국 간 직항로 개설이 확정된 것도 이러한 방편의 하나이다.
8) 컨벤션 산업 유치
스페인의 관광 진흥에는 관광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컨벤션 산업 등이 포함되어 각종 국제회의를 유치하여 이를 관광 수익과 연계하고자 한다. 특히 바르셀로나 컨벤션 뷰로(BCB)는 1984년-2004년 기간에 비즈니스 회의 목적으로 약 300만 명의 관광객이 다녀갔다고 발표하였는데 이는 컨벤션 인센티브 여행 시장이 동기간에 500%성장했음을 의미한다.
국제회의컨벤션협회(ICCA)는 바르셀로나가 지난 20년 국제회의를 가장 많이 유치하여 국제비즈니스관광시장에서 벤치마킹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국제회의는 1984년 150개, 2003년 1,104개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비즈니스 회의 시장은 도시 관광과 연계되고 있으며, 약 3.5억 유로의 경제효과를 창출하는 등 전체 경제 규모의 35%가 BCB 활동의 간접 효과로 추정되고 있다. 아울러 바르셀로나는 2004년 "바르셀로나국제컨벤션센터(CCIB)" 개장으로 대규모 컨벤션을 추진하는 등 유럽 중심의 비즈니스 회의마케팅 홍보에서 중국 등 아시아까지를 겨냥한 마케팅이 활발해지고 있다.
6. 결론 및 시사점
첫째, 기존의 유산 보존과 자원화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역사의 흔적을 보존하고 관광 자원화 하는 데에 인색한 면이 있다. 중앙청 건물의 파괴, 기존 문화·역사적 의미의 유산 훼손, 유물 발굴 훼손 및 보존 마인드 미흡, 아픈 역사의 흔적 등 관광가치를 지닌 수많은 자원이 발굴되고 보존되고 디지털화되지를 못하고 있다.
둘째, 자연이 주는 관광자원의 중요성 인식이 미흡하다.
관광산업은 무공해 산업으로 외화획득의 주요한 원천이 될 수 있다. 스페인의 경우 태양과 해변만으로도 연 370억 달러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우리는 사계절로 바뀌는 태양과 삼면이 바다인 해변을 지니고 있으며, 나아가 천혜의 자연환경을 지니고 있다.
셋째, 관광자원의 지속적인 개발이다.
제주도와 영종도 그리고 통일 후 DMZ의 생태 및 자연보호 관광 자원화까지 대비하는 등 지방별로 특색 있는 문화테마 관광자원을 개발 육성하여 전국토를 관광자원화해야 한다. 관광자원에는 자연이 주는 자원 이외에도 인물 -작가, 미술인, 음악인, 대중가수, 영화인, 지식인, 군인, 경찰, 무속인, 종교인, 기업인 등등- 가치를 관광 상품화 할 수 있어야 하며, 한편으로는 음식, 축제, 쌀농사 등을 보고, 즐기고, 맛보고 체험해 보는 상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더불어 스페인처럼 관광서비스 분야에 품질인증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관광객 유치를 위한 홍보 전략과 관광인프라 확충이다.
우리는 가까운 이웃에 13억의 세계 5위의 관광대국인 중국과 여행을 즐기는 일본 그리고 우리의 4계절과 문화를 부러워하는 동남아 국가들이 있다. 현지어 및 현지 문화를 고려한 홍보 책자로 마케팅을 구사할 필요가 있으며, 신속한 관광객 운송을 위한 항공기, 선박, 철도 및 육로 등 각종 접근 운송수단의 확충이 필요하다. 스페인의 경우 관광 인프라 구축은 관광객의 신속한 이동을 확보하였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투자의 유치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다섯째, 큰 행사를 계기로 관광국으로 변모해야 한다.
스페인은 월드컵, 올림픽 등을 치루면서 관광대국으로 성장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올림픽과 월드컵을 개최하였지만 관광객의 유치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스페인의 관광자원 중 하나는 모든 시민의 친절 의식과 철저한 관광가이드 양성이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적어도 외국인에게만은 상대국 언어를 할 줄 몰라도 미소와 더불어 목적지를 안내할 수 있을 정도의 관광마인드를 지녀야 한다. 또한 언어와 우리나라 역사에 능통한 관광가이드를 양성하여 관광단이 일단 한국에 들어오면 한국인 가이드가 철저하게 영역을 담당해야 한다.
여섯째, 대규모 국제회의를 유치하고 이를 관광과 연계할 수 있어야 한다.
비즈니스 회의 시장은 비즈니스 회의 자체의 경제효과를 창출할 뿐 아니라 관광 수익이 라는 간접적인 효과를 발생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아울러 대규모 국제회의를 기획할 수 있는 기획전문가의 양성 또한 중요한 점이다. 스페인의 경우에서 보는바와 같이 천해의 자원만이 관광자원이 아니다. 우리의 삶을 외국 관광객들과 더불어 먹고, 마시고, 즐기고, 사고, 체험해 보는 그런 환경을 공유하는 대한민국의 관광산업이 되어야 한다.
<참고자료>
www.traveltimes.co.kr
www.travelinfo.co.kr
www.tour.go.kr
www.rumbo.es
www.sanfermin.com
www.panoramio.com
www.fotki.com
스페인&포르투갈 - 김옥철, 천일문화사, 2009
관광자원과 국제관광 - 김성용, 기문사, 2009
관광과 세계문화 - 최영민 외, 백산출판사, 2008
포르투갈 모로코 스페인 여행기 - 윤영순, 솔과학, 2008
두근두근 세계여행 스페인 - 편집부, 중앙북스, 2008
멈추지 않는 유혹, 스페인 - 김지영, 넥서스BOOKS, 2007
스페인 - 편집부, 시공사, 2004
관광정책론 - 권순, 백산출판사, 2004
관광정책론 - 이연택, 일신사,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10.04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