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교육]우리나라의 교육과 관련된 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시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우리나라교육관련문화-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와교육]우리나라의 교육과 관련된 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시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우리나라교육관련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교육이란?
1) 사교육의 개념
2) 사교육의 의미
2. 교육열이란?
3. 우리나라의 사교육 실태
4. 사교육 과열의 원인
1) 사교육의 구조
2) 사교육의 구성 요인
3) 사교육 발생원인
5. 사교육비로 인한 부작용
6. 시대별 교육비 지출의 변화과정
1) 전통시대
2) 1970~80년대
3) 1990년대
4) 2000년 이후~현재
7.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의존하는 이유에 대한 설문조사
8.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 형성의 배경
1) 교육경험과 현재 삶에 대한 만족도
2) 자녀의 현 상태에 대한 인식
3) 사회 현실에 대한 인식
9. 사교육 근절 및 공교육 정상화 방안
1)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문제 해결
2) 입시제도의 개선
3) 학연주의, 학벌주의 타파
4) 인성교육의 강화
5)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계발
6) 학력에 대한 선입견의 제거와 능력을 중시하는 풍토 조성
7) 공교육에 대한 투자 확대
8) 적성과 소질을 고려한 교육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째 쟁점인 교육열을 보는 시각과 관련하여 가치 판단을 전제한 시각에서 볼 때 교육열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개념으로 정의된다. 긍정적인 면에서 볼 때 교육열은 한국의 교육 발전과 경제 발전을 이끈 원동력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부정적인 면에서는 한국 사회 특유의 학력 경쟁과 이와 관련된 각종 교육 병폐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이와는 달리 가치 판단을 보류한 시각에서는 교육열 자체를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보지 않는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이종각은 교육열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기보다는 중립적 개념으로 취급하길 주장하면서, 교육열이라는 개념을 우리 교육 현상을 분석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 ‘원인으로서의 교육열’과 ‘결과로서의 교육열’을 구분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는 일반적으로 ‘원인으로서의 교육열’은 간과하고 ‘결과로서의 교육열’만 파악하는 편파적인 입장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박남기도 교육열은 그 자체로 바람직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적 현상이 아니라 한 사회의 오랜 역사적 상황 속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사회 현상 중의 하나로 보았다. 그리고 이 교육열은 교육열 주체의 상황에 따라 과열되기도 하고 냉각되기도 하며, 과열과 냉각 모두 문제가 된다고 보았다.
교육열에 관련된 요인들과 이들 사이의 관계 설정이라는 두 번째 쟁점과 관련하여 기존의 교육열 개념 정의는 대체로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교육열을 교육에 대한 욕구, 욕망, 열의, 열기 등 심리적 특성으로 정의한 경우다. 이돈희는 교육열을 ‘한국인들이 소유하고 있는 교육적 열기’로, 김용숙은 ‘입신 출세에 필요한 최고의 학력이나 일류의 학벌을 자녀들에게 갖게 하려는 개인적 차원의 사적인 욕망’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정의가 교육열을 다소 추상적으로 정의한데 반해 일부 연구자들은 교육열을 양적으로 측정하는데 관심을 두고 조작적인 정의를 하였다. 오욱환은 “취학하고자 하는 욕구”로, 김영화는 “부모가 기대하는 자녀 교육의 수준”으로 정의하고, 양적 지표를 통해 교육열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화기 및 일제시대의 교육열을 분석한 한우희는 교육열을 ‘취학열’과 같은 의미로 보았다.
둘째, 교육열을 교육에 대한 열망과 그 열망이 표출된 행동 및 그러한 열의와 행동을 형성시키는 현실 인씩까지를 포함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정의한 경우이다. 김희복은 한국인의 교육열을 “한국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교육과 관련된 사회 현실에 대한 인식, 자녀 교육에 대한 기대, 그리고 자녀 교육을 위한 교육 지원 행위를 포함하는 교육에 대한 열의”로 정의하였다. 이 정의는 욕구, 지각 또는 인식, 행동의 세가지를 교육열 개념의 요소로 파악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교육열 개념 정의에 대해 이종각은 교육열과 교육열에 관련된 요인들을 분리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교육열 개념에 혼돈을 가져오고, 교육열에 대한 객관적이고 치밀한 분석을 가로막게 된다고 비판하면서 교육열 개념화 작업에서는 먼저 교육열인 것과 교육열이 아닌 것을 구분하고, 그 다음에 그것들 사이의 관련성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 우리나라의 사교육 실태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비교> 통계청,「2008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2009.02.27.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은 입시위주의 교육이다. 마치 교육의 최종목표가 대학입시인 것처럼 공교육, 사교육 할 것 없이 오로지 입시에 의해 재단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입시를 위한 사교육 경쟁으로 인해 서민가계는 파탄의 위기를 맞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사교육비지출이 가계지출 중 식료품비비중보다 크다고 한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도시 근로자의 소비지출 가운데 교육비의 비중이 11.6%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가장 큰 원인이 사교육비 증가라고 한다. 사교육의 유형도 과거와는 달리 초등학생들도 예체능 감성교육을 위한 사교육유형에서 벗어나 논술, 영어로 대체되는 등 초등학교 때부터 대학 입시종속이 심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가구의 월평균 소득수준별 월평균 사교육비 및 참여율> 통계청,「2008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2009.02.27.
(단위 : 만원, %)
2007년
2008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일반고
전문고
사교육비
22.2
23.3
24.2
24.1
20.6
24.9
6.9
100만원 미만
5.3
5.4
6.4
6.0
3.5
5.0
2.0
100~200 미만
10.7
10.8
12.5
11.7
7.5
10.0
3.6
200~300 미만
17.7
17.7
19.3
18.4
13.7
16.2
6.4
300~400 미만
24.1
24.5
25.0
26.2
21.7
23.9
10.6
400~500 미만
30.3
30.6
30.3
32.1
29.6
32.1
13.2
500~600 미만
34.4
35.6
34.2
37.7
36.4
38.8
16.5
600~700 미만
38.8
40.2
37.9
43.1
42.2
44.3
22.6
700만원 이상
46.8
47.4
42.7
51.0
53.5
55.9
24.4
참 여 율
77.0
75.1
87.9
72.5
53.4
60.5
30.3
100만원 미만
36.9
34.3
48.3
31.7
19.8
24.1
15.4
100~200 미만
59.7
55.3
72.9
52.5
32.0
38.6
22.0
200~300 미만
77.0
73.7
89.0
70.2
47.7
53.1
31.4
300~400 미만
84.4
82.2
92.8
81.6
60.7
64.3
42.5
400~500 미만
89.2
87.2
95.3
87.1
70.0
73.3
48.0
500~600 미만
90.5
89.7
96.3
90.1
74.8
77.6
50.9
600~700 미만
92.7
90.5
96.4
90.4
77.8
80.0
56.7
700만원 이상
93.5
91.8
96.4
93.2
80.7
82.5
59.8
소득 계층별 사교육비의 불균형 문제는 우리나라 교육의 양극화 현상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히 고소득층이 집중된 강남 일부 지역에서는 선행학습이 심각하여 학교에서 진단평가시 심화학습 문제를 내야할 정도라고 한다. 그리니 교사로서도 진도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10.06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