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 방문동기][지역축제]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필요성, 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요인과 진도 영등축제 방문동기분석, 강원 국제관광엑스포축제 방문동기분석 및 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 관련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축제 방문동기][지역축제]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필요성, 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요인과 진도 영등축제 방문동기분석, 강원 국제관광엑스포축제 방문동기분석 및 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 관련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필요성

Ⅲ. 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요인

Ⅳ. 진도 영등축제 방문동기분석
1. 인구통계학적특성
2. 변수의 신뢰성 및 요인분석
1) 신뢰성검증
2) 동기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3) 영등제 방문경험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4) 연령에 따른 동기요인의 분산분석 결과

Ⅴ. 강원 국제관광엑스포축제 방문동기분석
1. 방문동기
2. 방문자의 만족도
3. 만족에 대한 동기요인의 영향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기 연구에서 5개의 동기요인(일상탈출, 흥분스릴, 이벤트신비감, 사교성, 가족친화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 가족친화성 동기는 미혼자보다는 기혼자에게 더욱 강하고, 연령이 많은 사람일수록 이벤트신비감에 강한 동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Mohr, Backman, Gahan, & Backman은 ‘Air Balloon\'축제 참가자들의 동기를 분석한 결과, 5개 동기요인(사교성, 가족친화성, 흥분독특성, 일상탈출, 이벤트 신비감)으로 분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재방문객이 처음방문객에 비하여 축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처음방문객과 재방문객 간에는 흥분과 신비감의 두 요인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고 있다.
Getz에 의하면 지역축제 방문객의 동기는 볼거리, 의례, 게임, 체험공유, 고유성 등의 5개 항목으로 구성된다고 지적하고 있다(Betty).
Ⅳ. 진도 영등축제 방문동기분석
1. 인구통계학적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보면 남자가 111명으로 50.9%이고 여자는 107명으로 49.1%로 나타내어 성별에서는 고른 분포를 나타냈고, 연령에서는 20대가 75명(34.9%), 30대가 40명(18.3%), 40대가 39명(17.9%), 50대(22.9%), 60대 이상이 14명으로 6.4%를 나타냈다. 20대가 다소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60대 이상의 참가자들의 설문조사에 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다소 통계상의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직업에 있어서는 학생이 49명으로 22.5%이고, 회사원이 39명으로 17.9%, 주부가 46명으로 21%, 자영업이 57명으로 26.1%를 나타냈다. 일년 중 바닷길이 열리는 날이 정해져 있어 행사날짜를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평일에 축제를 개최하여 아무래도 시간적여유가 있는 주부나 학생, 자영업의 직업을 가진 사람이 많이 참석한 것으로 예측된다.
소득에 있어서는 100만원 미만이 79명으로 36.2%를 나타냈고 100~150만원이 32명으로 14.7%, 150~200만원이 40명으로 18.3%, 200~250만원이 30명으로 13.8%, 250~300만원이 30명으로 13.8%를 나타냈다. 학생들이나 주부들의 응답으로 낮은 소득분포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가족구성은 미혼이 75명으로 34.4%를 나타냈고 기혼 중 1명이상의 자녀가 있는 참가자는 91명으로 41.7%를 나타내었으며 거주지를 보면 전라도가 83명으로 38.1%를 나타냈고 서울경기가 54명으로 24.8%를 나타내었으며 충청도가 50명으로 22.9%, 경상도가 26명으로 11.9%를 나타냈다. 다른 축제에 비해서 비교적 외부방문객이 많은 것으로 보이며 거리가 상당히 먼 곳임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지역의 방문객이 많은 것으로 보아 수도권 방문객의 접근성을 도와줄 도로나 안내판의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230대의 참가자가 다른 축제에 비해 많이 참가하고 있어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축제참가자의 영등제 참여경험을 보면 영등제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재방문객이 65명으로 29.8%를 나타냈으며 처음 참가자가 153명으로 70.2%를 나타냈다. 이는 계속해서 축제참가자수가 늘어나고 있음을 나타낸 수치라고 예측되어 진다. 다른 축제에 참가한 경험을 묻는 항목에는 156명이 참가한 경험이 있어 71.6%를 나타냈으며 62명은 참가경험이 없는 참가자로 28.6%를 나타냈다. 특히 전남지역의 경우 문화관광축제가 많이 개최되고 있는 지역으로서 상대적으로 축제에 참가할 기회가 많은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다른 축제와 차별화할 수 있는 축제의 전략이 더욱 요구되어진다.
2. 변수의 신뢰성 및 요인분석
1) 신뢰성검증
Cronbach\'s Alpha 계수는 신뢰성분석의 개념인 내적 일치성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여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는 척도를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 문항을 가지고 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반분 신뢰도를 구하고 이의 평균치를 산출한 것이 계수 값이 되는 데, 보통 0.7이상이면 신뢰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연구의 신뢰도 알파 값은 0.8127로 비교적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MSA계수(Kaiser의 표본적합도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아이겐 값(Eigen Value)이 ‘1’이상 되는 요인만을 선정하였다.
2) 동기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요인분석결과 17개 항목이 5개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분산설명력은 각각 22.86%, 10.28%, 8.69%, 7.07%, 6.68%로 총 분산설명력은 52.59%로 나타났으며 요인분석에 대한 표본의 적합도는 0.746으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요인1은 축제분위기를 느끼고 일상생활을 탈피하고자 하는 내용으로 ‘일상탈출성’이라 하였으며 요인2는 사람이 많은 것을 좋아하거나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는 내용으로 ‘사회성’이라 하였다. 요인3은 답사 등의 교육적인 동기나 음식 문화에 대한 체험에 관한 내용으로 ‘경험성’이라 하였다. 요인4는 유명하고 구경거리가 많은 것에 대한 내용으로 ‘신기성(event novelty)’이라고 하였으며 요인5는 새로운 축제와 진도의 자연경관에 대한 내용으로 ‘기대성’이라는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분석의 결과를 보면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일상탈출성, 사회성, 신기성 등이 나타났다. 축제의 형태와 내용이 다르더라도 요인은 비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각각의 동기요인의 중요도는 다르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충기와 이태희의 경주 세계문화 엑스포에 관한 연구에서와 같이 축제의 형태가 문화예술인 경우는 문화적 요인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고 Scott의 연구에서와 같이 자연친화적이고 가족을 위한 축제의 경우 가족요인과 자연친화적 요인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Uysal, Gahan과 Martin의 ‘옥수수축제’에 참가한 방문객들에 대한 동기연구에서는 일상탈출의 동기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Formica와 Uysal의 연구에서는 ‘신기성’이 가장 강한 동기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제가 역사적인 경우는 역사적인 요인이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0.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