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레퀴엠 [requiem]
☀모짜르트의 레퀴엠(미완)
☀교회음악
☀모짜르트의 레퀴엠(미완)
☀교회음악
본문내용
것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처음으로 발간되었기 때문에 《제네바 시편가》라 불리며 멜로디는 프랑스 민요나 발라드, 독일 코랄 등에서 채용하였다.
영국에도 시편의 운문화가 퍼져서 《구역 시편가》(16세기 중반), 《신역 시편가》(17세기 후반) 등이 간행되었다. 18세기 초엽, 영국 찬송가의 아버지라 불리는 조합교회의 I.와츠(1674∼1748)가 영국 찬송가의 기초를 세웠다. 이어서 웨슬리형제와 뉴턴, 그리고 비국교회에 의하여 주관적·신앙체험적인 영국 특유의 찬송가가 18세기에 탄생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이후 다시 국교회파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문학적으로 우수한 찬송가가 많이 나타났다.
미국 교회에서는 17세기 이후 영국의 《구역 시편가》에 이어 《신역 시편가》를 사용하였으나 독립전쟁을 치른 뒤 한동안은 영국의 영향을 받아 주관적 ·신앙체험적인 찬송가도 창작되었다.
미국찬송가의 특색은 19세기 후반 신앙부흥운동의 물결을 타고 대량 생산된 복음찬송으로서, 이는 가사나 곡조의 예술성이 그다지 높지 않은 반면, 그 직설적이고 통속적인 표현과 멜로디 때문에 널리 애창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서는 개인구원적이기보다 사회구원적인 내용의 찬송가가 많이 나타났다.
복음성가
가스펠이라는 용어에 대응하기 위해 만든 우리나라 용어를 말합니다.
'찬송'은 하나님께 '찬양'한다는 의미가 있는데 비해, 복음성가는 '복음'에 관한 성스러운 노래라는 더 넓은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한때는 찬송가 이외의 곡을 모은 악보집을 '복음성가곡집'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 '찬양 곡' 이라는 용어 = '기독교 음악'을 말하는 용어> 라는 의식의 확산으로 인해 '찬양'의 의미가 확장됨에 따라서 복음성가라는 용어의 쓰임이 줄어들었습니다. (아이러니 한 것은 이미 외국에서 가스펠이라고 불렸던 것을 우리나라로 가져와 '찬송가'라고 지칭해 놓고는 다시 '복음성가'라는 용어를 찬송가 외의 곡들을 지칭하는 말로 썼다는 것입니다.)
'복음성가곡집'과 같은 모음집들은 최근에 들어와 다시 '찬양 곡집'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천주교에서는 비슷한 의미로 '생활 성가'라는 말을 씁니다.
CCM
현대적인 기독교 음악을 말합니다. Contemporary Christian Music의 약자 입니다.
초기에 이 장르는 Christian Rock과 같은 장르를 분류시키기 위해 나왔습니다.
기존의 Gospel과는 현격하게 차이를 보이는 스타일의 음악들을 CCM으로 구분한 것이죠.
그래서 좁은 의미로는 크리스챤 락과 힙합, 메탈 등을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워십찬양과 연주곡을 제외한 최근의 모든 크리스챤 음악을 말하기도 합니다.
함께 부르는 것이 아니라 Listening을 염두로 두는 것이기 때문에 박자나 음정이 따라부르기 어려운 곡들도 있습니다.
가사 내용 또한 개인적인 고백이나 비기독교인들을 향한 이야기, 또는 기독교와는 관련없는 대중적인(그러나 기독교적 세계관과 가치관이 느껴지는) 가사들이 많습니다.
CCM에 맞춘 댄스 또한 같은 성향을 띄며, CCD라고 부릅니다.
영국에도 시편의 운문화가 퍼져서 《구역 시편가》(16세기 중반), 《신역 시편가》(17세기 후반) 등이 간행되었다. 18세기 초엽, 영국 찬송가의 아버지라 불리는 조합교회의 I.와츠(1674∼1748)가 영국 찬송가의 기초를 세웠다. 이어서 웨슬리형제와 뉴턴, 그리고 비국교회에 의하여 주관적·신앙체험적인 영국 특유의 찬송가가 18세기에 탄생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이후 다시 국교회파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문학적으로 우수한 찬송가가 많이 나타났다.
미국 교회에서는 17세기 이후 영국의 《구역 시편가》에 이어 《신역 시편가》를 사용하였으나 독립전쟁을 치른 뒤 한동안은 영국의 영향을 받아 주관적 ·신앙체험적인 찬송가도 창작되었다.
미국찬송가의 특색은 19세기 후반 신앙부흥운동의 물결을 타고 대량 생산된 복음찬송으로서, 이는 가사나 곡조의 예술성이 그다지 높지 않은 반면, 그 직설적이고 통속적인 표현과 멜로디 때문에 널리 애창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서는 개인구원적이기보다 사회구원적인 내용의 찬송가가 많이 나타났다.
복음성가
가스펠이라는 용어에 대응하기 위해 만든 우리나라 용어를 말합니다.
'찬송'은 하나님께 '찬양'한다는 의미가 있는데 비해, 복음성가는 '복음'에 관한 성스러운 노래라는 더 넓은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한때는 찬송가 이외의 곡을 모은 악보집을 '복음성가곡집'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 '찬양 곡' 이라는 용어 = '기독교 음악'을 말하는 용어> 라는 의식의 확산으로 인해 '찬양'의 의미가 확장됨에 따라서 복음성가라는 용어의 쓰임이 줄어들었습니다. (아이러니 한 것은 이미 외국에서 가스펠이라고 불렸던 것을 우리나라로 가져와 '찬송가'라고 지칭해 놓고는 다시 '복음성가'라는 용어를 찬송가 외의 곡들을 지칭하는 말로 썼다는 것입니다.)
'복음성가곡집'과 같은 모음집들은 최근에 들어와 다시 '찬양 곡집'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천주교에서는 비슷한 의미로 '생활 성가'라는 말을 씁니다.
CCM
현대적인 기독교 음악을 말합니다. Contemporary Christian Music의 약자 입니다.
초기에 이 장르는 Christian Rock과 같은 장르를 분류시키기 위해 나왔습니다.
기존의 Gospel과는 현격하게 차이를 보이는 스타일의 음악들을 CCM으로 구분한 것이죠.
그래서 좁은 의미로는 크리스챤 락과 힙합, 메탈 등을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워십찬양과 연주곡을 제외한 최근의 모든 크리스챤 음악을 말하기도 합니다.
함께 부르는 것이 아니라 Listening을 염두로 두는 것이기 때문에 박자나 음정이 따라부르기 어려운 곡들도 있습니다.
가사 내용 또한 개인적인 고백이나 비기독교인들을 향한 이야기, 또는 기독교와는 관련없는 대중적인(그러나 기독교적 세계관과 가치관이 느껴지는) 가사들이 많습니다.
CCM에 맞춘 댄스 또한 같은 성향을 띄며, CCD라고 부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