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개념
Ⅲ.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역사
Ⅳ.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염료식물
1. 청색계 염료식물(靑色系 染料植物)
2. 녹색계 염료식물(綠色系 染料植物)
3. 적색계 염료식물(赤色系 染料植物)
4. 자색계 염료식물(紫色系 染料植物)
5. 황색계 염료식물(黃色系 染料植物)
6. 갈색계 염료식물(褐色系 染料植物)
7. 흑색계 염료식물(黑色系 染料植物)
8. 회색계 염료식물(灰色系 染料植物)
Ⅴ.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방법
1. 홍색 염색[紅染]
2. 자색 염색[紫染]
3. 남색 염색[藍染]
4. 옥색 염색
5. 초록색 염색
6. 연두색 염색
7. 기타 식물성 염료에 의한 염색
8. 광물성 염료에 의한 염색
참고문헌
Ⅱ.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개념
Ⅲ.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역사
Ⅳ.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염료식물
1. 청색계 염료식물(靑色系 染料植物)
2. 녹색계 염료식물(綠色系 染料植物)
3. 적색계 염료식물(赤色系 染料植物)
4. 자색계 염료식물(紫色系 染料植物)
5. 황색계 염료식물(黃色系 染料植物)
6. 갈색계 염료식물(褐色系 染料植物)
7. 흑색계 염료식물(黑色系 染料植物)
8. 회색계 염료식물(灰色系 染料植物)
Ⅴ.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방법
1. 홍색 염색[紅染]
2. 자색 염색[紫染]
3. 남색 염색[藍染]
4. 옥색 염색
5. 초록색 염색
6. 연두색 염색
7. 기타 식물성 염료에 의한 염색
8. 광물성 염료에 의한 염색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또 주목의 심재(芯材)에는 적색소(Sciadopitysin)가 함유되어 있다.
4. 자색계 염료식물(紫色系 染料植物)
소목, 동백(冬柏), 포도, 감, 붉나무, 자초(紫草), 그 중 붉나무의 벌레집 오배자(五倍子) 색소는 탄닌성분이 함유되어 어두운 보라색을 염색할 수 있다.
5. 황색계 염료식물(黃色系 染料植物)
노목, 메밀, 치자, 회화나무, 물푸레나무, 순비기 강황, 신나무, 고삼, 양파, 제비꽃, 조개풀, 홍화, 당리목, 금잔화, 황벽, 황련, 정황나무 자소, 울금, 박태기 나무, 참나무, 참싸리, 참쑥, 석류 등이 있다. 이상의 황색계 염료 식물 중 갈색계열 식물과 회색계열, 녹색계열 등과 중복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중 색소를 예를 들면 치자의 열매에는 노랑색소인 Crocetin과 포도당이 되며, 청색색소를 얻을 수 있다. 또 순비기(만형자)에는 노랑색소, 플라바놀유도체인 Vitexicarpin을 함유하고 있다.
황련의 뿌리에는 노랑색소인 Berberine이 있고 황벽에도 천연염료 중 단 하나의 염기성 염료로 노란색소인 Berberine을 함유하고 있으며 목면에 염색할 때 tanin매염을 해야 한다. 그리고 자소 잎에 노란 Cyarin색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괴화 나무 꽃에는 노란색인 Rutin이 들어있다.
6. 갈색계 염료식물(褐色系 染料植物)
소목, 연자각, 메밀, 오리나무, 개오동나무, 개비름, 황련, 호도나무, 밤나무, 상수리나무, 맥문동, 황로, 뽕나무, 대추나무, 호도나무, 형엽, 홍차, 서울귀롱나무, 감나무 강황, 향나무 울금, 배나무, 대추나무, 자귀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신나무, 아카시나무, 칡산벗나무, 굴피나무, 말채나무, 층층나무, 물개암나무, 소나무, 개옻나무, 후박나무, 수수, 동백나무, 은행나무, 계수나무, 꽃개오동나무, 느릅나무, 잣나무, 매자나무, 노간주나무, 단풍나무, 고산 산벗나무, 쇠뜨기 오이풀, 생강나무 등에서 갈색계 색소가 함유되어 있다. 그 중 예를 들면 감나무 중 떫은 감에 Shibuol이라는 탄닌성분이 들어있어 갈색조를 나타내고 울금의 뿌리는 황갈색의 색소Curcumjin을 함유하고 있다.
7. 흑색계 염료식물(黑色系 染料植物)
노목, 양매, 석류, 석류나무, 계수나무, 주목 붉나무, 밤나무, 연자각, 오배자, 진피, 상수리나무, 단풍나무, 생강나무, 졸참나무 밤, 개옻나무, 동백, 정향나무로 염색가능하며 이 정향나무의 피목(皮目)에는 Eugenol이 들어있어 다황색(茶黃色)이나 흑색(黑色)으로 염색이 된다.
8. 회색계 염료식물(灰色系 染料植物)
석류나무, 사과 , 단풍나무, 붓꽃, 개옻나무, 생강나무, 졸참나무, 소방목, 감나무, 진달래, 철쭉나무, 배나무, 밤나무, 동백, 포도, 감, 석류, 은행나무, 뽕나무 등이 있다. 오방색 계열 중 흰색은 무채색이므로 섬유가 지닌 자연색으로 흰색을 뜻하며 고문헌에는 소색(素色)이라고 표현했다.
매염제로는 철장, 조반, 명반, 백반, 녹반, 청반, 석회: 고막, 굴, 조개를 태운 가루), 막걸리, 식초, 현미초, 오미자초, 오매초, 술, 단술, 미음, 아교, 콩즙, 잿물 등이 기록되어 있고, 잿물의 재료는 볏짚, 찰벼, 명아주, 콩깍지, 메밀대, 홍화대, 쪽대,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뽕나무, 솔나무, 다북쑥(봉호재:), 따복대 등으로 잿물을 만들어 사용하였던 기록이 있다. 현대에 와서는 천연매제와 성분이 같은 화약약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대부분 공해문제가 있어 천연매염제를 쓰는 것이 시간이 걸리고 까다롭지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큰 의의가 있다.
Ⅴ.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방법
1. 홍색 염색[紅染]
염료인 홍화[잇
4. 자색계 염료식물(紫色系 染料植物)
소목, 동백(冬柏), 포도, 감, 붉나무, 자초(紫草), 그 중 붉나무의 벌레집 오배자(五倍子) 색소는 탄닌성분이 함유되어 어두운 보라색을 염색할 수 있다.
5. 황색계 염료식물(黃色系 染料植物)
노목, 메밀, 치자, 회화나무, 물푸레나무, 순비기 강황, 신나무, 고삼, 양파, 제비꽃, 조개풀, 홍화, 당리목, 금잔화, 황벽, 황련, 정황나무 자소, 울금, 박태기 나무, 참나무, 참싸리, 참쑥, 석류 등이 있다. 이상의 황색계 염료 식물 중 갈색계열 식물과 회색계열, 녹색계열 등과 중복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중 색소를 예를 들면 치자의 열매에는 노랑색소인 Crocetin과 포도당이 되며, 청색색소를 얻을 수 있다. 또 순비기(만형자)에는 노랑색소, 플라바놀유도체인 Vitexicarpin을 함유하고 있다.
황련의 뿌리에는 노랑색소인 Berberine이 있고 황벽에도 천연염료 중 단 하나의 염기성 염료로 노란색소인 Berberine을 함유하고 있으며 목면에 염색할 때 tanin매염을 해야 한다. 그리고 자소 잎에 노란 Cyarin색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괴화 나무 꽃에는 노란색인 Rutin이 들어있다.
6. 갈색계 염료식물(褐色系 染料植物)
소목, 연자각, 메밀, 오리나무, 개오동나무, 개비름, 황련, 호도나무, 밤나무, 상수리나무, 맥문동, 황로, 뽕나무, 대추나무, 호도나무, 형엽, 홍차, 서울귀롱나무, 감나무 강황, 향나무 울금, 배나무, 대추나무, 자귀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신나무, 아카시나무, 칡산벗나무, 굴피나무, 말채나무, 층층나무, 물개암나무, 소나무, 개옻나무, 후박나무, 수수, 동백나무, 은행나무, 계수나무, 꽃개오동나무, 느릅나무, 잣나무, 매자나무, 노간주나무, 단풍나무, 고산 산벗나무, 쇠뜨기 오이풀, 생강나무 등에서 갈색계 색소가 함유되어 있다. 그 중 예를 들면 감나무 중 떫은 감에 Shibuol이라는 탄닌성분이 들어있어 갈색조를 나타내고 울금의 뿌리는 황갈색의 색소Curcumjin을 함유하고 있다.
7. 흑색계 염료식물(黑色系 染料植物)
노목, 양매, 석류, 석류나무, 계수나무, 주목 붉나무, 밤나무, 연자각, 오배자, 진피, 상수리나무, 단풍나무, 생강나무, 졸참나무 밤, 개옻나무, 동백, 정향나무로 염색가능하며 이 정향나무의 피목(皮目)에는 Eugenol이 들어있어 다황색(茶黃色)이나 흑색(黑色)으로 염색이 된다.
8. 회색계 염료식물(灰色系 染料植物)
석류나무, 사과 , 단풍나무, 붓꽃, 개옻나무, 생강나무, 졸참나무, 소방목, 감나무, 진달래, 철쭉나무, 배나무, 밤나무, 동백, 포도, 감, 석류, 은행나무, 뽕나무 등이 있다. 오방색 계열 중 흰색은 무채색이므로 섬유가 지닌 자연색으로 흰색을 뜻하며 고문헌에는 소색(素色)이라고 표현했다.
매염제로는 철장, 조반, 명반, 백반, 녹반, 청반, 석회: 고막, 굴, 조개를 태운 가루), 막걸리, 식초, 현미초, 오미자초, 오매초, 술, 단술, 미음, 아교, 콩즙, 잿물 등이 기록되어 있고, 잿물의 재료는 볏짚, 찰벼, 명아주, 콩깍지, 메밀대, 홍화대, 쪽대,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뽕나무, 솔나무, 다북쑥(봉호재:), 따복대 등으로 잿물을 만들어 사용하였던 기록이 있다. 현대에 와서는 천연매제와 성분이 같은 화약약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대부분 공해문제가 있어 천연매염제를 쓰는 것이 시간이 걸리고 까다롭지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큰 의의가 있다.
Ⅴ. 전통염색(천연염색, 식물염색)의 방법
1. 홍색 염색[紅染]
염료인 홍화[잇
추천자료
날염인쇄는 과거의 틀염색에서 시작한 남염을 다량 생산화 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
현미경 사용법과 검경 및 미생물의 염색
[미생물학 실험]미생물의 현미경 관찰 - 단순, 그람, 매질 염색법에 의한 현미경 관찰 -
[조직학, 병리학] 조직 염색법 (일반, 특수)
생활 속의 과학 연구방법, 생활 속의 과학 사례1(숯불), 생활 속의 과학 사례2(지진), 생활 ...
[미생물실험]3,4.미생물의 염색(그람,아포,음화,항산성)
[일반생물학] Gram [그람]염색에 의한 미생물의 동정
[미생물 실험] 그람 염색법과 세균의 그람양성여부 판별시험
화학공학 기초 실험 - (결과) 염색 실험
[유기소재] 염색실험 - 분산염료를 이용한 Polyester섬유염색
그람(Gram)염색법과 현미경관찰
아동미술 표현기법 (스크래치, 면봉그리기, 번지기, 찍기, 염색, 마블링, 프로타주, 그림그리...
일반생물학 실험 - 미생물의 배양 및 관찰과 Gram 염색
일반생물학 실험 운핵생물(미생물 : 그람염색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