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절제술, thyroidectomy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갑상선절제술, thyroidectom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 유의하면서 하갑상동맥을 mosquito 2개로 잡고 metzenbaum으로 cutting 한 후 Vicryl 3-0로 tie 한다.
13) 갑상선 절제(resection of the thyroid gland)
kelly clamp나 Mosquito clamp로 trachea의 측면에서 회귀 후두 신경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며 thyroid gland를 조금씩 clamping하여 절제(resection)한다.
14) Thyroid gland 가 전부 박리되면 절제해내고 bovie로 coagulation 하거나 Vicryl 3-0로 suture 하여 bleeding control 한다.
→ Scrub Nurse가 박리된 thyroid gland를 사각포를 이용하여 받으면 인턴선생님이 조직을 절개하여 mess 양상을 확인 한 후 조직검사를 보낸다.
15) 상처봉합(closure of wound)
warm saline으로 수술절개부위 내부를 irrigation 한 후 bleeding 없으면 거즈로 닦고, 준비된 Greenplast kit 0.5ml를 suture 한 부위를 따라 바른다.
16) barovac ss 100M을 절개한 부위보다 아래에 삽입한 다음 그 부위를 A.Silk 2-0로 suture하고, 경부근막을 Vicryl 3-0를 이용해 suture한다.
17) 그 부위를 거즈로 닦고, Guardix-sol 1.5g을 뿌린다.
→ Guardix-sol 유착방지용액은 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생체 흡수성 물질이며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부착방지용 필름으로는 적용하기 어려운 수술 부위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발열성 및 유독성이 없는 제품이다. 수술 후 수술주변 조직의 유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고, 수술 후 수술 주변 조직에 일시적인 점조성/윤활성 코팅을 제공한다.
18) Vicryl 4-0를 이용해 광경근을 안쪽으로 suture한다. suture가 끝나면 Scrub Nurse는 음압을 걸어 barovac ss 100M을 연결시킨다.
19) 젖은 거즈로 닦고, 마른 거즈로 compress 시키면서 닦은 후, 잘게 잘려진 Steri-strip을 이용하여 세로로 촘촘히 붙인다. 그 위에 betadine으로 소독하고 Y-gauze를 배액관 부위에 놓은 다음 4*4 gauze를 2겹 하여 놓고, compress로 만들어진 ball 2개를 그 위에 놓은 후 다시 gauze를 2겹 하여 놓는다. Draping을 벗기고 Elatex Adhesive Bandage 7.5cm*5m 1개를 7등분 한 것을 5장을 이용하여 어깨까지 하여 넓게 붙인다.
수술마침 (봉합완료 - 10 : 25)
20) 마취과 의사는 대상자의 마취를 깨우는 작업을 Elatex 붙일 때부터 실시하였다. 산소를 투입하고 pygmin 15mg과 Glyco pyrrolate 0.4mg을 투여하고, section, O2 공급을 하면서 환자를 깨운다. 환자를 깨울 때는 supine position을 취해주고 line 정리를 모두 마친 후에 깨운다. 환자가 의식이 회복되고 호흡과 기침을 격려한 후에 회복실로 옮겼다.
(환자퇴실 - 10 : 40)
회복실에서
회복실에서 기계에 연결하여 혈압, 맥박(마취로부터 각성 전에 5분마다)을 측정하고, 환자가 마취에 깨어나면 추위를 느낄 수 있으므로 따뜻하게 해준다. 기도유지, 5L의 O2공급, 배액관, 도뇨관으로부터의 배액 및 출혈량을 관찰한다.
3. 수술 후 간호
관찰 : 갑상선 절제술 후에는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수술 후 첫 48시간 동안 환자를 면밀히 관찰한다.
→ 활력징후 및 호흡양상, 청색증, 의식수준, 불안, 목소리의 약화나 쉰 목소리 등 사정
기도 유지 : 수술 후 초기에 흡인하여 호흡기 분비물의 정체를 예방하고 기도를 개방시킨다. 심호흡과 기침을 권장하여 합병증을 예방한다. 지속적인 인후통은 의사에게 보고하고 가습기나 약물로 완화시킨다.
체위 : 수술 후 즉시 Semi Fowler 취하게 하여 수술부위의 배액이 잘 되도록 한다. 머리와 목은 신체자세와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하고, 작은 베개로 지지하여 수술 부위의 긴장감을 완화시킨다. 목은 굴곡과 과신전이 되지 않도록 하고, 머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머리 옆에 작은 베개나 모래주머니를 놓아준다. 부동자세로 이한 경부의 근육긴장이나 경련은 마사지로 완화할 수 있다.
통증완화 : 수술 후 첫 48시간 동안 진통제(meperidine, morphine) 투여하여 통증으로 인한 불편감과 불안을 완화시킨다. 약물 투여 전에 환자를 세심히 관찰하여 불편가의 원인을 파악한다. 갑상선 절제술 후 부종이 가라앉을 때까지 목에 압박감을 경험할 수 있다.
Ⅲ. 결 론
본 연구의 대상자는 70세 여성 정○○님으로 정기 검진 시 thyroid mass 발견되어 본원에서 조직검사 후 thyroid papillary cancer로 진단받아 수술위해 입원하여 2010.8.3에 total thyroidectomy를 하였다. 문헌 고찰과 수술 과정 관찰, 환자 chart, 수술실 간호기록지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환자가 8:25에 수술실로 옮겨져 환자본인, 수술준비물, 수술부위와 위치를 확인하였다. 환자의 체위는 supine으로 유지되었으며 8:30에 마취가 시작되었다. betadine을 이용해 피부를 소독하고 수술준비가 끝나고 8시 45분에 목의 피부를 절개한 후 흉쇄유돌근을 박리하였다. 그 후 갑상선 주위의 동맥, 신경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며 동맥을 결찰한 후 갑상선을 절제하고 봉합하였다. 환자는 2시간 동안의 수술을 10시 40분에 무사히 마쳤고, 회복실을 거쳐서 병동으로 이동했다.
< 참고문헌 >
고일선 외, 최신 임상간호매뉴얼Ⅰ, 서울: 현문사, 2004
김문실 , 최신 수술실환자간호, 서울: 수문사, 2004
윤혜상 , 수술실 환자간호, 서울: 청구문화사, 2004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하), 서울: 현문사, 2005
국가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
갑상선연구소 http://www.gap.pe.kr/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10.15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