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인(老人)의 성에 대한 인식들
2. 노인의 성에 대한 이해
3. 노인여성의 성
4. 노인남성의 성
5. 성기능장애(性機能障碍)
6. 성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질병
7. 노년 性생활은 건강의 바로미터
8. 동반자를 잃은 사람들, 독신의 성과 노인실버재혼
2. 노인의 성에 대한 이해
3. 노인여성의 성
4. 노인남성의 성
5. 성기능장애(性機能障碍)
6. 성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질병
7. 노년 性생활은 건강의 바로미터
8. 동반자를 잃은 사람들, 독신의 성과 노인실버재혼
본문내용
노인의 성문제
1. 노인(老人)의 성에 대한 인식들
사회통념으로는 노인들은 정력이나 기력의 쇠퇴로 성적(性的)인 존재가 아니라서(Asexual being) 성행위를 수행할 수도 없지만 또한 건강을 해치는 행위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고 노인들이 성에 관심을 가지면 색광적인 인물로 취급당하기 쉽다. 이렇게 젊음은 아름다운 것이고 늙음은 존경스러워야 하는 것이라는 단순한 사고방식과 모든 능력이 사라진 존재로 차별화되는 등 그릇된 사회 편견으로 인해 소외당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성욕(性慾:Sexual drive)은 노인이 되어도 변하지 않는다. 다만 성기능(性機能)과 함께 저하될 다름이다. 나이와 함께 남녀간에도 차이가 날 뿐이다.
인간은 20대 후반을 넘어서면 성 호르몬의 생산이 점차 감소되며 남성에게 있어서는 발기하는 시간의 지연, 사정양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수명과 함께 이런 현상은 증가한다. 삽입으로부터 사정까지의 시간도 길어지고 감수성의 둔화 성욕저하와 더불어 발기부전(임포텐스) 사정장애(射精障碍:조루증=早漏症)등이 나타난다. 여성들도 40대에 들어서면 질분비액(膣分泌液)이 10대와 유사하게 되고 40대 후반 내지 50대 초기에는 성호르몬의 분비가 거이 없어지기 때문에 폐경(閉經)과 함께 질벽(膣壁)도 얇아지고 위축(萎縮:vaginal atrophy)현상이 나타난다.
나이별 호칭
2-3세 : 해제(孩提)
15세 : 지학(志學)
20세 : 약관(弱冠)
30세 : 이립(而立)
40세 : 불혹(不惑)
48세 : 상수(桑壽)
50세 : 지명(知命)
60세 : 이순(耳順), 육순(六旬)
61세 : 환갑(還甲), 회갑(回甲)
62세 : 진갑(陳·進甲)
66세 : 미수(美壽)
70세 : 종심(從心), 고희(古稀), 칠순(七旬)
77세 : 희수(喜壽)
80세 : 산수(傘壽), 팔순(八旬)
88세 : 미수(米壽)
90세 : 졸수(卒壽)
91세 : 망백(望百)
99세 : 백수(白壽)
100세 : 상수(上壽)
유학(儒學)에서는 10대 지학(志學):공부를 하여, 20대 약관(若冠):과거(科擧)에 합격 벼슬길에 올라, 30에 이립(而立):자기 소신껏 인생설계의 기반을 다져, 40이 불혹(不惑):누가 뭐래도 소신을 굽히지 않고, 50에 지명(知命):인생이 무엇인가를 알고 자기 자신을 정리하고, 60이 이순(耳順):모든 것을 순리대로 하늘에 맡기고, 70은 고희(古稀): 옛부터 이 나이 되도록 생존하는 것은 희소한 일이라 종심(從心)이라 했으니, 육체는 부자유스러우며 오직 마음뿐이라는 뜻이라고 하겠고 이 나이가 되면 어떤 언동(言動)도 궤도(軌道)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라고 하였다.
우리나라 남도속요(南道俗謠)에 있는 정타령(情打令)에는 이런 대목이 있다.
지학(志學)의 정은 번갯불 정이요,
이립(而立)의 정은 장작불 정이며,
불혹(不惑)의 정은 화롯불 정이요,
지명(知命)의 정은 담뱃불 정이며,
이순(耳順)의 정은 잿불 정이요,
종심(從心)의 정은 반
1. 노인(老人)의 성에 대한 인식들
사회통념으로는 노인들은 정력이나 기력의 쇠퇴로 성적(性的)인 존재가 아니라서(Asexual being) 성행위를 수행할 수도 없지만 또한 건강을 해치는 행위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고 노인들이 성에 관심을 가지면 색광적인 인물로 취급당하기 쉽다. 이렇게 젊음은 아름다운 것이고 늙음은 존경스러워야 하는 것이라는 단순한 사고방식과 모든 능력이 사라진 존재로 차별화되는 등 그릇된 사회 편견으로 인해 소외당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성욕(性慾:Sexual drive)은 노인이 되어도 변하지 않는다. 다만 성기능(性機能)과 함께 저하될 다름이다. 나이와 함께 남녀간에도 차이가 날 뿐이다.
인간은 20대 후반을 넘어서면 성 호르몬의 생산이 점차 감소되며 남성에게 있어서는 발기하는 시간의 지연, 사정양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수명과 함께 이런 현상은 증가한다. 삽입으로부터 사정까지의 시간도 길어지고 감수성의 둔화 성욕저하와 더불어 발기부전(임포텐스) 사정장애(射精障碍:조루증=早漏症)등이 나타난다. 여성들도 40대에 들어서면 질분비액(膣分泌液)이 10대와 유사하게 되고 40대 후반 내지 50대 초기에는 성호르몬의 분비가 거이 없어지기 때문에 폐경(閉經)과 함께 질벽(膣壁)도 얇아지고 위축(萎縮:vaginal atrophy)현상이 나타난다.
나이별 호칭
2-3세 : 해제(孩提)
15세 : 지학(志學)
20세 : 약관(弱冠)
30세 : 이립(而立)
40세 : 불혹(不惑)
48세 : 상수(桑壽)
50세 : 지명(知命)
60세 : 이순(耳順), 육순(六旬)
61세 : 환갑(還甲), 회갑(回甲)
62세 : 진갑(陳·進甲)
66세 : 미수(美壽)
70세 : 종심(從心), 고희(古稀), 칠순(七旬)
77세 : 희수(喜壽)
80세 : 산수(傘壽), 팔순(八旬)
88세 : 미수(米壽)
90세 : 졸수(卒壽)
91세 : 망백(望百)
99세 : 백수(白壽)
100세 : 상수(上壽)
유학(儒學)에서는 10대 지학(志學):공부를 하여, 20대 약관(若冠):과거(科擧)에 합격 벼슬길에 올라, 30에 이립(而立):자기 소신껏 인생설계의 기반을 다져, 40이 불혹(不惑):누가 뭐래도 소신을 굽히지 않고, 50에 지명(知命):인생이 무엇인가를 알고 자기 자신을 정리하고, 60이 이순(耳順):모든 것을 순리대로 하늘에 맡기고, 70은 고희(古稀): 옛부터 이 나이 되도록 생존하는 것은 희소한 일이라 종심(從心)이라 했으니, 육체는 부자유스러우며 오직 마음뿐이라는 뜻이라고 하겠고 이 나이가 되면 어떤 언동(言動)도 궤도(軌道)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라고 하였다.
우리나라 남도속요(南道俗謠)에 있는 정타령(情打令)에는 이런 대목이 있다.
지학(志學)의 정은 번갯불 정이요,
이립(而立)의 정은 장작불 정이며,
불혹(不惑)의 정은 화롯불 정이요,
지명(知命)의 정은 담뱃불 정이며,
이순(耳順)의 정은 잿불 정이요,
종심(從心)의 정은 반
추천자료
노인여가의 개념, 현황, 실태 및 노인여가에 대한 우리나라의 정책을 알아보고 그 문제점과 ...
노인의 성에 관한 조사
노인의 성에 관련된 개념과 실제, 문제들을 살펴보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
노인의 성 (노인의 성에 관련한 문제)
노년의 성 연구
[논문] 노인의 성
사회복지학과 노인복지 노인과 성
노인의 성(특징, 사회적편견, 실태및현황, 해결방안) 보고서
우리나라 노인의 성생활 현황과 성문제의 대안
노인의 성문제 이대로 둘 순 없다
노인간호학 (노인의 영양관리, 노인의 성, 노인의 심리적 및 인지적인 문제)
[성사랑사회C형] 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과 의료의 이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