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렛말러의 분리개별화 이론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가렛말러의 분리개별화 이론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 소 개

1. 서 론

2. 본 론
1) 자폐기 : 생후 약 10~12주까지 외부자극에 잘 반응하지 않는 단계
2) 공생기 : 6주~1세까지 엄마와의 특별한 정서적 애착을 확립하는 정상적 공생관계를 보이는 단계
3) 분리개별화 단계 : 엄마와의 공생적 단일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심리적 과정. 엄마와 분리되어 자기와 대상을 개별적인 존재로 인식해가는 과정
① 1단계 : 분화단계
② 2단계 : 연습단계
③ 3단계 : 재접근단계
④ 4단계 : 대상항상성 단계

3. 결 론

본문내용

립으로 엄마가 보이지 않더라도 엄마가 실제로 있는 것처럼 위안을 얻을 수 있다.
네 번째 단계의 주요 과제는 일생을 통해 지속되는 뚜렷한 개별성을 성취하고, 어느 정도의 대상 항상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 시기에 아이는 자신의 개별성에 대한 감각뿐만 아니라 긍정적으로 리비도가 점유된 타인에 대한 내적 감각들을 획득해야한다.
정서적 대상 항상성은 긍정적으로 리비도가 점유된 어머니 상이 점차 내재화됨으로써 확립된다. 이것이 잘 확립된 아이들은 어느 정도의 긴장과 불편에도 불구하고 어머니로부터 분리되어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정서적 대상 항상성은 애정 대상이 부재하는 동안에 그 표상을 유지하는 것 이외에도, 어머니에 관한 좋은 대상 표상과 나쁜 대상 표상을 하나의 전체적 표상으로 통합시켰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공격 추동과 리비도 추동의 융합을 촉진하고, 공격성이 심해질 때 대상에 대한 증오를 완화시킨다. 이러한 정서적 대상 항상성을 수립하는데 영속적인 대상에 관한 상징적인 표상을 인지적으로 획득하는 것(Piaget, 1937)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밖에 추동 에너지의 중성화, 현실 검증, 좌절과 불안에 대한 내성 등이 관련된다.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는 몸짓 언어가 아직 남아있기는 하지만, 재접근기에서 시작한 언어적 의사소통은 네 번째 발달단계 동안 급속히 발달하여 다른 의사소통 양식들을 대체한다. 놀이는 보다 목적성을 띄게 되고 건설적이 된다. 그리고 환상놀이, 역할놀이, 가상놀이가 시작된다.
3. 결 론
몇몇 비판에도 불구하고 Mahler의 분리-개별화 이론은 유아의 대상관계 발달을 정신분석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그녀의 설명은 외디푸스 컴플렉스에 관한 프로이드의 기술 이후로 초기 아동기에 대한 설명 중에서도 단순하면서도 가장 강력한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으며(Greenberg & Mitchell, 1983), 그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것은 양육자의 적절한 정서적 가용성(emotional availability)과 엄마와 유아 간의 정동적인 상호작용(affective interchange)이 유아가 독립적인 정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심리 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reference
신경정신의학 2nd Edition.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중앙문화사
분리-개별화 이론의 재조망. 이용승. 임상심리학의 최근 동향(2002). 김중술 교수 정년퇴임 기념 심포지엄.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0.19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