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두바이 항만에 관한 분석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물동량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중 66만4450 TEU는
UAE가 최종 하역항 이었으며 171만5751 TEU는 UAE를 거쳐 제 3국으로 향하는 환
적 및 수출 화물이었다. 두바이 항구에 들어오는 총 물동량의 약 70%가 중동 기
타국가, 이란, 북아프리카 및 러시아(CIS)등지로 Tranship되고 있으며 물동량은
매년 증가추세이며 연도별 현황은 아래와 같다.
2002
2003
2004
수입(UAE 반입)
1,196,140
1,440,425
1,825,507
수출
904,187
1,096,326
1,381,745
환적
2,093,942
2,615,207
3,221,631
합계
4,194269
5,151,958
6,428,888
9. 두바이의 성장 배경
두바이가 중동지역의 비즈니스 및 관광의 허브로서 최근 급부상하고 있다. 두바이는 UAE(아랍에미리트)의 제2의 도시이면서 경제 수도인데, 국내에는 세계 3대 유종의 하나인 두바이유(Dubai Oil) 때문에 친숙하다. 두바이는 석유자원 고갈에 대비하여 80년대 중반 이후 자유무역지대 조성 등의 노력을 경주해 왔다. 지금은 무역항 중심의 중동지역 허브를 넘어서 산업 및 관광의 세계적 거점을 향하고 있다.
두바이의 성공요인에는 5가지의 축이 있는데 첫째, 개방외교와 정치적 리더쉽, 둘째, 중계무역의 지식산업 거점, 셋째, 대형 개발사업, 넷째, 관광 및 이벤트, 마지막으로 공항 및 항만개발로써 이루어져 있다. 특히, 세계 최고층 빌딩(Burj Dubai) 건설, 파리시 크기의 인공섬 개발 등은 대단한 상상력이 발휘된 사업으로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식 경제시대의 도래에 대응하기 위한 ‘Technology And Media Free Zone\' 조성사업 역시 두바이다운 발상이다.
두바이 사례는 동북아 허브를 지향하는 우리에게 의미있는 시사점을 준다. 허브화를 향한 정부의 확고한 리더쉽 발휘가 요구되며, 글로벌 경쟁에서 이길 수 있도록 소수의 산업, 물류, 관광 거점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지식서비스 산업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의 제안과 실행, 국가 이미지 제고, 세계 수준의 인프라 건설 등도 중점 추진해야 할 과제들이다.
① 지리적 성장 배경
가. 두바이의 발전은 지리적 이점의 활용에 기인하고 있다.
○ 두바이는 걸프만에서 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유일한 지역이며, 지정학적
으로 볼 때도 유럽~아시아, 아시아~아프리카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중동 뿐만
아니라, 유럽과 아프리카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두바이에 물류 거점을 확보하고 싶어한다.
② 정책적 성장 배경
가. UAE는 1971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온건하면서 균형된 외교노선을 견지
함에 따라 특정세력, 국가에 편향되지 않게 실용외교를 펼쳐왔다.
○ 이란~이라크전(1980~88년) 당시 아부다비는 이라크를, 두바이는 이란을
지지하였다.
○ 이란과의 영유권 분쟁, 오만과의 국경 분쟁이 있지만 직접 대응을 회피하고
있고, 걸프 협력위원회(Gulf Co-operation Council, GCC)의 결성을 주도하는
등 아랍국가 지도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나. 미군기지 설치를 허용하고 서방국가의 자본을 유치함으로써 군사적경제적
보호막을 형성하고 있다.
○ 미국과는 1990년 걸프전 이후 군사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두바이가
중동의 경제, 물류 및 관광의 중심도시로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보호막이
형성되었다.
다. 왜곡되어 있는 아랍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두바이는 2005년 4월 24일 마이크로소프트사와 공동으로 120여명의 아랍
고위층 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포럼을 개최하기도 하였다.
라. UAE는 아부다비, 두바이 등의 토호세력 지도자들이 역할을 분담하여 통치하고
있다.
○ 건국 당시 토호세력 지도자들이 아부다비 중심의 대통령제에 합의를 하였고,
건국 지도자들이 사망한 이후에도 안정된 통치체제를 유지하면서 현재 대통
령은 셰이크 칼리파(아부다비), 부통령 겸 수상은 셰이크 막툼(두바이)가 분 담 하고 있다.
마. 국제경험이 풍부한 두바이의 셰이크 모하메드 왕세자가 리더쉽을 발휘하였다.
○ 영국 군사학교를 졸업했으며 독립 직후부터 UAE 국방장관직을 수행하였다.
그의 형인 셰이크 막툼은 주로 영국에서 거주하여서 왕세자가 상당수 개발
사업 아이디어들을 내놓고 추진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섬(Palm Island) 개발, 인터넷 시티 등)
③ 경제적 성장 배경
가. 두바이는 중계무역을 위한 자유무역지대, 지식경제 대응을 위한 정보산업 클러 스터 등을 조성하고 있다.
○ 지리적 이점 활용, 비석유부문 육성의 목적으로 자유무역지대를 조성하고 외 국 기업들을 적극 유치하고 있다. 자유 무역 지대로는 쟈발알리(Jebel Ali) 자유무역지대(1985년 설치), 두바이 공항 자유무역지대(1996년) 등이 있다
○ IT, 방송 등 정보산업들을 집적시켜 정보산업도시로 육성하고 있다. 그 밖에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를 설립하여 기존 아랍세계 금융 중심지인 바레인 의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나. 중계무역의 거점, 쟈발알리 자유무역지대(Jebel Ali Free Zone : JAFZ)
○ 쟈발알리 자유무역지대는 1985년 설치된 중동 최초의 경제특구로서 쟈발알리
항구의 배후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 인근국가, 서남아시아, 아프리카,
동유럽 등을 연결하는 중계무역 거점을 지향하고 있다.
○ 지난 20년간 JAFZ는 외국기업 진출과 중계무역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쟈발알리에 직접 투자한 외자는 40억 달러를 상회하며 고용인력은 5만명에 달하
며, 두바이 교역의 40%가 이곳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중동지역에 진출한 대 부분 외국기업들이 물류센터를 설치하고 있다.
JAFZ의 성공요인 : 4無 2多
4無
無세금, 無제한 외환거래, 無스폰서, 無노동쟁의
- 각종 세금이 없으며, 경제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 전부를
본국에 송금이 가능하며, 외국인의 100% 기업소유권을
인정한다. (非 Free Zoned은 49%만 인정한다.)
2多
세계 최대 인공항구인 자
UAE가 최종 하역항 이었으며 171만5751 TEU는 UAE를 거쳐 제 3국으로 향하는 환
적 및 수출 화물이었다. 두바이 항구에 들어오는 총 물동량의 약 70%가 중동 기
타국가, 이란, 북아프리카 및 러시아(CIS)등지로 Tranship되고 있으며 물동량은
매년 증가추세이며 연도별 현황은 아래와 같다.
2002
2003
2004
수입(UAE 반입)
1,196,140
1,440,425
1,825,507
수출
904,187
1,096,326
1,381,745
환적
2,093,942
2,615,207
3,221,631
합계
4,194269
5,151,958
6,428,888
9. 두바이의 성장 배경
두바이가 중동지역의 비즈니스 및 관광의 허브로서 최근 급부상하고 있다. 두바이는 UAE(아랍에미리트)의 제2의 도시이면서 경제 수도인데, 국내에는 세계 3대 유종의 하나인 두바이유(Dubai Oil) 때문에 친숙하다. 두바이는 석유자원 고갈에 대비하여 80년대 중반 이후 자유무역지대 조성 등의 노력을 경주해 왔다. 지금은 무역항 중심의 중동지역 허브를 넘어서 산업 및 관광의 세계적 거점을 향하고 있다.
두바이의 성공요인에는 5가지의 축이 있는데 첫째, 개방외교와 정치적 리더쉽, 둘째, 중계무역의 지식산업 거점, 셋째, 대형 개발사업, 넷째, 관광 및 이벤트, 마지막으로 공항 및 항만개발로써 이루어져 있다. 특히, 세계 최고층 빌딩(Burj Dubai) 건설, 파리시 크기의 인공섬 개발 등은 대단한 상상력이 발휘된 사업으로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식 경제시대의 도래에 대응하기 위한 ‘Technology And Media Free Zone\' 조성사업 역시 두바이다운 발상이다.
두바이 사례는 동북아 허브를 지향하는 우리에게 의미있는 시사점을 준다. 허브화를 향한 정부의 확고한 리더쉽 발휘가 요구되며, 글로벌 경쟁에서 이길 수 있도록 소수의 산업, 물류, 관광 거점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지식서비스 산업 육성, 창의적 아이디어의 제안과 실행, 국가 이미지 제고, 세계 수준의 인프라 건설 등도 중점 추진해야 할 과제들이다.
① 지리적 성장 배경
가. 두바이의 발전은 지리적 이점의 활용에 기인하고 있다.
○ 두바이는 걸프만에서 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유일한 지역이며, 지정학적
으로 볼 때도 유럽~아시아, 아시아~아프리카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중동 뿐만
아니라, 유럽과 아프리카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두바이에 물류 거점을 확보하고 싶어한다.
② 정책적 성장 배경
가. UAE는 1971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온건하면서 균형된 외교노선을 견지
함에 따라 특정세력, 국가에 편향되지 않게 실용외교를 펼쳐왔다.
○ 이란~이라크전(1980~88년) 당시 아부다비는 이라크를, 두바이는 이란을
지지하였다.
○ 이란과의 영유권 분쟁, 오만과의 국경 분쟁이 있지만 직접 대응을 회피하고
있고, 걸프 협력위원회(Gulf Co-operation Council, GCC)의 결성을 주도하는
등 아랍국가 지도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나. 미군기지 설치를 허용하고 서방국가의 자본을 유치함으로써 군사적경제적
보호막을 형성하고 있다.
○ 미국과는 1990년 걸프전 이후 군사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두바이가
중동의 경제, 물류 및 관광의 중심도시로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보호막이
형성되었다.
다. 왜곡되어 있는 아랍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두바이는 2005년 4월 24일 마이크로소프트사와 공동으로 120여명의 아랍
고위층 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포럼을 개최하기도 하였다.
라. UAE는 아부다비, 두바이 등의 토호세력 지도자들이 역할을 분담하여 통치하고
있다.
○ 건국 당시 토호세력 지도자들이 아부다비 중심의 대통령제에 합의를 하였고,
건국 지도자들이 사망한 이후에도 안정된 통치체제를 유지하면서 현재 대통
령은 셰이크 칼리파(아부다비), 부통령 겸 수상은 셰이크 막툼(두바이)가 분 담 하고 있다.
마. 국제경험이 풍부한 두바이의 셰이크 모하메드 왕세자가 리더쉽을 발휘하였다.
○ 영국 군사학교를 졸업했으며 독립 직후부터 UAE 국방장관직을 수행하였다.
그의 형인 셰이크 막툼은 주로 영국에서 거주하여서 왕세자가 상당수 개발
사업 아이디어들을 내놓고 추진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섬(Palm Island) 개발, 인터넷 시티 등)
③ 경제적 성장 배경
가. 두바이는 중계무역을 위한 자유무역지대, 지식경제 대응을 위한 정보산업 클러 스터 등을 조성하고 있다.
○ 지리적 이점 활용, 비석유부문 육성의 목적으로 자유무역지대를 조성하고 외 국 기업들을 적극 유치하고 있다. 자유 무역 지대로는 쟈발알리(Jebel Ali) 자유무역지대(1985년 설치), 두바이 공항 자유무역지대(1996년) 등이 있다
○ IT, 방송 등 정보산업들을 집적시켜 정보산업도시로 육성하고 있다. 그 밖에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를 설립하여 기존 아랍세계 금융 중심지인 바레인 의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나. 중계무역의 거점, 쟈발알리 자유무역지대(Jebel Ali Free Zone : JAFZ)
○ 쟈발알리 자유무역지대는 1985년 설치된 중동 최초의 경제특구로서 쟈발알리
항구의 배후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 인근국가, 서남아시아, 아프리카,
동유럽 등을 연결하는 중계무역 거점을 지향하고 있다.
○ 지난 20년간 JAFZ는 외국기업 진출과 중계무역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쟈발알리에 직접 투자한 외자는 40억 달러를 상회하며 고용인력은 5만명에 달하
며, 두바이 교역의 40%가 이곳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중동지역에 진출한 대 부분 외국기업들이 물류센터를 설치하고 있다.
JAFZ의 성공요인 : 4無 2多
4無
無세금, 無제한 외환거래, 無스폰서, 無노동쟁의
- 각종 세금이 없으며, 경제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 전부를
본국에 송금이 가능하며, 외국인의 100% 기업소유권을
인정한다. (非 Free Zoned은 49%만 인정한다.)
2多
세계 최대 인공항구인 자
소개글